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저산소증 완화능을 갖는 페길화 헤모글로빈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항암 화학-광역학 치료용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23008795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저산소증 완화능을 갖는 페길화 헤모글로빈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항암 화학-광역학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고형 종양의 화학-PDT 치료시 저산소증(Hypoxia)을 개선하고 치료효율을 높이며, 종양 표적화에 의하여 부작용을 저감함로써, 본 발명의 항암 화학-광역학 치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Int. CL A61K 9/00 (2006.01.01) A61K 41/00 (2020.01.01) A61K 47/54 (2017.01.01) A61P 35/00 (2006.01.01)
CPC A61K 9/0026(2013.01) A61K 41/0057(2013.01) A61K 41/0071(2013.01) A61K 47/557(2013.01) A61K 31/704(2013.01) A61P 35/0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40695 (2022.03.31)
출원인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141306 (2023.10.1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3.31)
심사청구항수 1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재영 서울특별시 관악구
2 이한솔 대전광역시 중구
3 유소열 대전광역시 유성구
4 구장모 대전광역시 유성구
5 이동환 대전광역시 유성구
6 유지훈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공간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서로 ***, *층(둔산 *동, 산업은행B/D)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3.31 수리 (Accepted) 1-1-2022-0349626-5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광역학치료(Photo Dynamic Therapy)을 위한 광증감제가 접합되며, 비오틴화된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변형된 헤모글로빈(Hb)을 포함하는 페길화 헤모글로빈 나노클러스터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페길화 헤모글로빈 나노클러스터는 헤모글로빈 : 폴리에틸렌 글리콜 : 광증감제가 1 : 1~8 : 4~24 의 몰비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페길화 헤모글로빈 나노클러스터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증감제는, 포르피린, 클로린, 박테리오클로린, 프탈로시아닌, 나프탈로시아닌, 페오포르바이드(pheophorbides), 푸르푸린(purpurins), m-THPC, 클로린 e6, 박테리오클로린, 프탈로시아닌, 벤조포르피린 유도체 및 아미노레불린 산(AL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길화 헤모글로빈 나노클러스터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페길화 헤모글로빈 나노클러스터는 고형 종양으로 표적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길화 헤모글로빈 나노클러스터
5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고형 종양은 자궁경부암, 난소암, 전립선암, 폐암, 담관암, 신장암, 위암, 간암, 망막아세포종, 융모상피암, 소장암, 대장암 및 직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악성 종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길화 헤모글로빈 나노클러스터
6 6
제4항에 있어서,상기 페길화 헤모글로빈 나노클러스터는 고형 종양의 저산소증(hypoxia)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길화 헤모글로빈 나노클러스터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페길화 헤모글로빈 나노클러스터에 항암제를 추가로 담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길화 헤모글로빈 나노클러스터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항암제는 독소루비신(doxorubicin), 파클리탁셀(paclitaxel), 젬시타빈(gemcitabine), 카보플라틴(carboplatin), 토포테칸(topotecan), 도세탁셀(docetaxel),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시스플라틴(cisplatin), 비노렐빈(vinorelbine) 및 플루오로우라실(5-fluorouraci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길화 헤모글로빈 나노클러스터
9 9
제7항에 있어서,상기 항암제는 독소루비신(doxorubicin)이며, 독소루비신을 담지한 페길화 헤모글로빈 나노클러스터는 다분산 지수 (polydispersity indices) 0
10 10
광역학치료(Photo Dynamic Therapy)을 위한 광증감제가 접합되며, 비오틴화된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변형된 헤모글로빈(Hb)을 포함하며, 헤모글로빈 : 폴리에틸렌 글리콜 : 광증감제가 1 : 4 : 12 의 몰비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페길화 헤모글로빈 나노클러스터
11 11
광역학치료(Photo Dynamic Therapy)을 위한 광증감제가 접합되며, 비오틴화된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변형된 헤모글로빈(Hb)을 포함하며, 헤모글로빈 : 폴리에틸렌 글리콜 : 광증감제가 1 : 1~8 : 4~24 의 몰비로 이루어지며, 독소루비신(doxorubicin)을 담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길화 헤모글로빈 나노클러스터
12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페길화 헤모글로빈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화학-광역학 치료용 조성물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항암 화학-광역학 치료용 조성물은 자궁경부암, 난소암, 전립선암, 폐암, 담관암, 신장암, 위암, 간암, 망막아세포종, 융모상피암, 소장암, 대장암 및 직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악성 종양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화학-광역학 치료용 조성물
14 14
클로린 e6(Chlorin e6),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EDC) 및 N-히드록시숙신이미드(NHS)를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에 용해시켜 용해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A);상기 (A)단계의 용해혼합물을 물에 용해된 헤모글로빈(Hb)에 첨가하여 반응시켜 헤모글로빈-클로린e6 복합체(Hb-Ce6, HC)를 수득하는 단계(B); 상기 (B)단계의 헤모글로빈-클로린e6 복합체(Hb-Ce6, HC)에 비오틴화 폴리에틸렌글리콜(biotin-PEG)을 Hb : PEG의 몰비가 1:4가 되도록 추가하여 페길화 헤모글로빈 나노클러스터를 제조하는 단계(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길화 헤모글로빈 나노클러스터를 제조하는 방법
15 15
제14항에 있어서,상기 (C)단계 이후, 상기 (C)단계에서 제조한 페길화 헤모글로빈 나노클러스터를 물에 용해시킨 후, DMSO에 용해된 항암제와 혼합하여 볼 밀링(ball milling)을 통하여 항암제가 담지된 페길화 헤모글로빈 나노클러스터를 제조하는 단계(D);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길화 헤모글로빈 나노클러스터를 제조하는 방법
16 16
제15항에 있어서,상기 항암제는 독소루비신(doxorubicin), 파클리탁셀(paclitaxel), 젬시타빈(gemcitabine), 카보플라틴(carboplatin), 토포테칸(topotecan), 도세탁셀(docetaxel),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시스플라틴(cisplatin), 비노렐빈(vinorelbine) 및 플루오로우라실(5-fluorouraci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길화 헤모글로빈 나노클러스터를 제조하는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충남대학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종양미세환경 극복 및 암조직 표적화를 위한 재조합 히알루론산분해효소 융합단백질 기반 나노약물전달플랫폼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충남대학교 집단연구지원(R&D) 세포분화 대사추적 기초연구실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서울대학교 나노·소재기술개발(R&D) 종양 표적 MRI 조영 및 치료용 나노입자의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