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TGF-β 신호전달 억제 펩타이드 분비 시스템 및 이의 용도

  • 기술번호 : KST2023009292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TGF-β 신호전달 억제 펩타이드의 발현 및 세포 밖 분비를 위한 벡터 시스템, 나아가 면역 세포에서 암 표적 CAR(Chimeric antigen receptor)와 동시 발현이 가능한 벡터 시스템 및 이의 용도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벡터 시스템은 세포 치료제, 특히 유전자 조작된 면역 세포, 예를 들어 CAR-NK 세포와 같은 면역 세포를 투여하여 TGF-β 신호전달 억제 펩타이드를 병용 투여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TGF-β 과량 축적에 따른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Int. CL C12N 15/85 (2006.01.01) C12N 15/62 (2006.01.01) C07K 7/08 (2006.01.01) C07K 14/725 (2006.01.01) C12N 5/0783 (2010.01.01) A61K 35/17 (2015.01.01) A61K 39/00 (2006.01.01)
CPC C12N 15/85(2013.01) C12N 15/625(2013.01) C07K 7/08(2013.01) C07K 14/7051(2013.01) C12N 5/0646(2013.01) A61K 35/17(2013.01) A61K 39/0011(2013.01) C12N 2510/00(2013.01) C07K 2317/24(2013.01) C07K 2319/0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46416 (2022.04.14)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147417 (2023.10.2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2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장미희 서울특별시 성북구
2 이영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3 윤한나 서울특별시 성북구
4 육채민 서울특별시 성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파도특허법인유한회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 ,*층 (대치동, 노벨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4.14 수리 (Accepted) 1-1-2022-0401161-3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5'에서 3' 방향으로, 프로모터, 분비성 단백질의 시그널 펩타이드 암호화 서열 및 TGF-β 신호 전달 억제 펩타이드 암호화 서열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TGF-β 신호 전달 억제 펩타이드의 세포 밖 분비를 위한 발현 벡터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비성 단백질의 시그널 펩타이드는 CD8, IL-15, 41BB, CD28 및 IL-2 중 어느 하나의 펩타이드로부터 유래된 시그널 펩타이드 서열인 발현 벡터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GF-β 신호 전달 억제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6으로 기재되는 하기 일반식 1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상기 서열과 8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인 발현 벡터
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TGF-β 신호 전달 억제 펩타이드는 상기 일반식 1의 아미노산 서열의 일 말단에 알라닌(A), 페닐알라닌(F), 발린(V), 류신(L), 세린(S) 또는 이들의 조합이 추가로 포함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발현 벡터
5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TGF-β 신호 전달 억제 펩타이드는 상기 일반식 1의 아미노산 서열의 C-말단에 알라닌(A), 페닐알라닌(F), 발린-류신-세린-류신(V-L-S-L) 또는 발린-류신-세린-페닐알라닌(V-LS-F)이 추가로 포함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발현 벡터
6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TGF-β 신호 전달 억제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 내지 8 중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상기 서열과 8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발현 벡터
7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TGF-β 신호 전달 억제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발현 벡터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 벡터는 Smad 결합요소(Smad binding element, SBE)의 암호화 서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발현 벡터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SBE 암호화 서열은 (GTCT)12, (CAGA)12, 또는 (GTCT_CAGA)12 로 표시되는 반복 서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포함하는 것인 발현 벡터
10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SBE 암호화 서열은 서열번호 20으로 이루어진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SBE_A; 서열번호 21로 이루어진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SBE_B; 및 서열번호 22로 이루어진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SBE_C 서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포함하는 것인 발현 벡터
11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 벡터는 β-gal, Luc, ALP 및 GF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리포터 유전자 서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발현 벡터
12 12
5'에서 3' 방향으로, 리포터 유전자 서열; 프로모터 서열; 분비 단백질로부터 유래되는 시그널 펩타이드의 암호화 서열; 및 TGF-β 신호 전달 억제 펩타이드의 암호화 서열을 포함하는 상시 펩타이드 분비(Constant peptide release, CPR) 벡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GF-β 신호 전달 억제 펩타이드의 세포 밖 분비를 위한 발현 벡터
13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시 펩타이드 분비(CPR) 벡터는 서열번호 27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컨스트럭트를 포함하는 것인, TGF-β 신호 전달 억제 펩타이드의 세포 밖 분비를 위한 발현 벡터
14 14
5'에서 3' 방향으로, SBE 암호화 서열; 프로모터 서열; 분비 단백질로부터 유래되는 시그널 펩타이드의 암호화 서열; TGF-β 신호 전달 억제 펩타이드의 암호화 서열 및 리포터 유전자 서열을 포함하는 유도성 펩타이드 분비(Inducible peptide release, IPR) 벡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GF-β 신호 전달 억제 펩타이드의 세포 밖 분비를 위한 발현 벡터
15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성 펩타이드 분비(IPR) 벡터는 서열번호 26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컨스트럭트를 포함하는 것인, TGF-β 신호 전달 억제 펩타이드의 세포 밖 분비를 위한 발현 벡터
16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 벡터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암호화 서열을 포함하는 유전자 컨스트럭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발현 벡터
17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는 BCMA, CD19, HER2, PSCA, PSMA, 암배아항원(CEA), 암 항원-125 (CA125), CA19-9, 뮤신1(MUC-1), 티로시나제, CD34, CD45, CD117, 단백질 멜란-A, 시냅토피시스, CD22, CD27, CD30, CD70, 강글리오시드 G2(GD2), EGFRvIII, PAP(prostatic acid phosphatise), 프로스테인, Trp-p8, STEAP1(six transmembrane epithelial antigen of the prostate I) 및 메소텔린(MSL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암 항원을 표적으로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현 벡터
18 18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발현 벡터가 도입된 면역 세포 치료제
19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세포는 수지상 세포, 킬러 수지상 세포, 비만 세포, 자연 킬러 (NK) 세포, B 세포 및 T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면역 세포 치료제
20 2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세포는 자연 킬러(NK) 세포인 것인, 면역 세포 치료제
21 21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발현 벡터; 또는 상기 벡터가 도입된 면역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GF-β 과다 축적에 의한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22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TGF-β 과다 축적에 의한 질환은 암, 뇌 신경 질환, 섬유성 피부 질환, 폐 섬유증, 간 섬유증, 신장 섬유증, 낭포성 섬유증, 심장 섬유증, 아테롬성 경화증, 동맥 경화증, 전신성 경화증, 및 안구 섬유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인 것인 약학 조성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