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포포나무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23009434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포포나무(Asimina triloba)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 EV)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포포나무 유래 세포 외 소포체는 천연물로서 피부에 안전하고 독성이 없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내 멜라닌 형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가져 피부 미백 용도 또는 피부 색소침착 질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포나무 유래 세포 외 소포체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저해하는 효과를 가져 항염증 및 염증성 질환 치료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Int. CL A61K 8/9783 (2017.01.01) A61Q 19/00 (2006.01.01) A61K 36/18 (2006.01.01) A61P 17/00 (2006.01.01) A61P 29/00 (2023.01.01)
CPC A61K 8/9783(2013.01) A61Q 19/00(2013.01) A61K 36/18(2013.01) A61P 17/00(2013.01) A61P 29/00(2013.01) A61K 2800/78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46825 (2022.04.15)
출원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농업회사법인 향지 유한회사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147900 (2023.10.2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농업회사법인 향지 유한회사 대한민국 전라북도 정읍시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류영배 대전광역시 유성구
2 김우식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경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 *층 (대치동, 보성빌딩)(교연특허법률사무소)
2 양용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 *층 (대치동, 보성빌딩)(교연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4.15 수리 (Accepted) 1-1-2022-0405329-0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포포나무(Asimina triloba)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 EV)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외 소포체는 직경이 50 내지 500 nm인, 화장료 조성물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외 소포체는 직경이 150 내지 250 nm인, 화장료 조성물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항염증, 피부 미백, 피부 보습, 항노화, 피부 재생, 상처 개선 및 여드름 개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미스트, 세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유연수, 유액,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파우더,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세안제, 트리트먼트, 미용액, 미용팩, 연고제, 겔제, 리니멘트제, 액제, 패치, 분무제, 입욕제, 선스크린제, 선오일 및 헤어제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지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포나무 유래 세포 외 소포체는 포포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포나무는 포포나무의 잎, 줄기 또는 수액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포포나무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1 mL의 단위부피 당 105개 내지 1010개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외 소포체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외 소포체는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1 11
포포나무(Asimina triloba)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 EV)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12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항염증, 피부 미백, 피부 보습, 항노화, 피부 재생, 상처 개선 및 여드름 개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13 13
포포나무(Asimina triloba)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 EV)를 포함하는 피부 색소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4 14
제13항에 있어서, 피부 색소침착 질환은 기미, 주근깨, 흑색점, 모반, 약물에 의한 색소침착, 염증 후 색소침착 및 피부염에서 발생하는 색소침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약학적 조성물
15 15
포포나무(Asimina triloba) 유래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 EV)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6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염증성 피부질환인, 약학적 조성물
17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피부질환은 아토피 피부염, 여드름, 건선, 접촉성 피부염, 습진성 피부염, 광선피부염, 지루피부염, 포진성피부염, 편평태선, 경화태선, 괴저성 노피증, 천포창, 수포성 표피박리증, 알러지 및 과민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약학적 조성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주요사업(2019-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