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알츠하이머 치료제에 대한 동반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기술번호 : KST2023009974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MRI를 기반으로 알츠하이머 관련 바이오마커 축적 정도를 예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동반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영상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을 이용하거나 또는 뇌척수액 (cerebrospinal fluid; CSF)에서 요추천자 (lumbar puncture)를 통해 알츠하이머 관련 바이오마커의 축적값을 직접적으로 측정하지 않고도 정확하게 대상의 뇌 영역별 알츠하이머 관련 바이오마커의 축적 정도를 예측할 수 있어, 다양한 신경퇴행성 질환의 진단 및 동반진단에 이용될 수 있다.
Int. CL A61B 5/00 (2021.01.01) A61B 5/055 (2006.01.01) A61B 6/03 (2006.01.01) A61B 6/00 (2006.01.01) G06T 7/60 (2017.01.01) G16H 20/10 (2018.01.01) G16H 50/20 (2018.01.01)
CPC A61B 5/4088(2013.01) A61B 5/055(2013.01) A61B 5/4064(2013.01) A61B 6/037(2013.01) A61B 6/501(2013.01) G06T 7/60(2013.01) G16H 20/10(2013.01) G16H 50/20(2013.01) G06T 2207/10088(2013.01) G06T 2207/30016(2013.01) G06T 2207/2008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30141898 (2023.10.23)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153322 (2023.11.0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분할
원출원번호/일자 10-2022-0016537 (2022.02.08)
관련 출원번호 1020220016537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3.10.23)
심사청구항수 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준경 서울특별시 강남구
2 이화진 서울특별시 성북구
3 김승욱 서울특별시 성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에스알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길 **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3.10.23 수리 (Accepted) 1-1-2023-1159709-56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의료 영상을 이용하여 알츠하이머 치료제에 대한 동반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대상 뇌의 영역별 제1대뇌 피질 두께 (cortical thickness) 데이터를 얻는 수득 단계; 가중치 정보 및 제1대뇌 피질 두께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의 뇌 영역별 아밀로이드 및 타우의 축적값의 예측값을 산출하는 예측 단계;대상의 제1뇌영역에 축적된 아밀로이드 및 제1뇌영역과 인접한 제3뇌영역에 축적된 아밀로이드 사이의 상호작용을 점수화한 아밀로이드 상호작용값과, 제1뇌영역의 타우 예측값으로부터 제1아밀로이드-타우 점수를 계산하는 제1계산 단계;대상의 제2뇌영역의 아밀로이드 예측값과 타우 예측값으로부터 제2아밀로이드-타우 점수를 계산하는 제2계산 단계;제1뇌영역에서 아밀로이드 및 타우의 양성과 음성이 구분되는 제1역치값과 제1아밀로이드-타우 점수를 비교하는 제1비교단계; 및제2뇌영역에서 아밀로이드 및 타우의 양성과 음성이 구분되는 제2역치값과 제2아밀로이드-타우 점수를 비교하는 제2비교단계;를 포함하고,상기 가중치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2대뇌 피질 두께 데이터와 하나 이상의 아밀로이드-타우 데이터 사이에서 정의되는 것인, 알츠하이머 치료제에 대한 동반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아밀로이드 상호작용값은 상기 제1뇌영역 및 상기 제3뇌영역의 아밀로이드 예측값과 신경망 가중치값으로부터 계산되고,상기 신경망 가중치값은 제1뇌영역과 제3뇌영역 사이의 신경망의 강도를 통해 도출되는 것인, 알츠하이머 치료제에 대한 동반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제1아밀로이드-타우 점수가 제1역치값 이하인 경우 대상을 1군으로 분류하고, 제1아밀로이드-타우 점수가 제1역치값을 초과하면서 제2아밀로이드-타우 상호작용점수가 제2역치값 이하인 경우 대상을 2군으로 분류하고, 및 제2아밀로이드-타우 점수가 제2역치값을 초과하는 경우 대상을 3군으로 분류하는 분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알츠하이머 치료제에 대한 동반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상기 제2대뇌 피질 두께 데이터와 상기 아밀로이드-타우 데이터를 입력받아 연관정도를 도출하여 가중치 정보를 결정하는 결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알츠하이머 치료제에 대한 동반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5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상기 제2대뇌 피질 두께 데이터와 상기 아밀로이드-타우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중치 정보를 추출 및 학습하는 학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알츠하이머 치료제에 대한 동반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