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유기물 반도체층 기반 인공 실내 광전지 및 이의 성능 평가 방법

  • 기술번호 : KST2023010197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유기물 반도체층 기반 인공 실내 광전지 및 이의 성능 평가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광이 통과하는 투명전극; PM6(PBDB-T-2F), Y6(BTP-4F), PM7(PBDB-T-2Cl) 및 PC71BM로 구성되어 상기 실내 광에 의해 여기자를 생성하고 상기 여기자를 양전하와 음전하로 분리하는 도너층과 억셉터층을 포함하는 유기물 반도체층; 상기 음전하를 흡수하는 금속전극을 포함하는 인공 실내 광전지가 제공된다.
Int. CL H10K 30/00 (2023.01.01) H10K 30/80 (2023.01.01) H10K 99/00 (2023.01.01) G01R 31/392 (2019.01.01) G01R 22/06 (2006.01.01) G01R 31/52 (2020.01.01) G01R 31/56 (2020.01.01)
CPC H10K 30/20(2013.01) H10K 30/82(2013.01) H10K 30/451(2013.01) H10K 71/70(2013.01) G01R 31/392(2013.01) G01R 22/06(2013.01) G01R 31/52(2013.01) G01R 31/5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54170 (2022.05.02)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154581 (2023.11.0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5.02)
심사청구항수 1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심재원 서울특별시 성동구
2 김태혁 서울특별시 광진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윤형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길 ** (역삼동) 동림빌딩 *층(아이피즈국제특허법률사무소)
2 최관락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길 ** (역삼동) 동림빌딩 *층(아이피즈국제특허법률사무소)
3 송인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길 ** (역삼동) 동림빌딩 *층(아이피즈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5.02 수리 (Accepted) 1-1-2022-0468204-1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인공 실내 광전지로서, 실내 광이 통과하는 투명전극; PM6(PBDB-T-2F), Y6(BTP-4F), PM7(PBDB-T-2Cl) 및 PC71BM로 구성되어 상기 실내 광에 의해 여기자를 생성하고 상기 여기자를 양전하와 음전하로 분리하는 도너층과 억셉터층을 포함하는 유기물 반도체층; 및상기 음전하를 흡수하는 금속전극을 포함하는 인공 실내 광전지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M6 및 상기 PM7은 상기 도너층을 형성하고, 상기 Y6 및 상기 PC71BM은 상기 억셉터층을 형성하는 인공 실내 광전지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은 ITO/ZnO 또는 산화물/금속/산화물(OMO) mesh 중 하나로 구성되는 인공 실내 광전지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실내 광전지는, 미리 설정된 온도의 할로겐 램프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조사하여 얻어진 전력 변환 효율(PCE), 충진율(FF) 및 단락전류밀도(J)와, 라만 스펙트럼 조사 결과 및 상기 유기물 반도체층의 반치 전폭(full width at half maximum)을 통해 광열 안정성 평가가 수행되는 인공 실내 광전지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실내 광전지는,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의 스트레칭 테스트를 통해 얻어진 전력 변환 효율(PCE), 충진율(FF) 및 단락전류밀도(J)를 통해 기계적 안정성 평가가 수행되는 인공 실내 광전지
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실내 광전지는, 상기 스트레칭 테스트를 통한 방목 입사 X선 산란(Grazing-Incidence Wide-Angle X-ray Scattering, GIWAXs)의 결정 간섭 길이(Crystal coherence length, CCL) 및 분자 적층 거리(d-spacing)를 통해 기계적 안정성 평가가 수행되는 인공 실내 광전지
7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실내 광전지는, 상기 스트레칭 테스트를 통한 기계적 변형 전후의 표면 거칠기 및 표면 입자의 수를 통해 기계적 안정성 평가가 수행되는 인공 실내 광전지
8 8
투명전극, 유기물 반도체층 및 금속전극을 포함하는 인공 실내 광전지의 성능 평가 방법으로서, 미리 설정된 온도의 할로겐 램프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조사하여 얻어진 전력 변환 효율(PCE), 충진율(FF) 및 단락전류밀도(J)와, 라만 스펙트럼 조사 결과 및 상기 유기물 반도체층의 반치 전폭(full width at half maximum)을 통해 광열 안정성을 평가하는 단계; 및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의 스트레칭 테스트를 통해 얻어진 전력 변환 효율(PCE), 충진율(FF) 및 단락전류밀도(J)를 통해 기계적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유기물 반도체층은 PM6(PBDB-T-2F), Y6(BTP-4F), PM7(PBDB-T-2Cl) 및 PC71BM로 구성되어 상기 투명전극을 통해 조사된 실내 광에 의해 여기자를 생성하고 상기 여기자를 양전하와 음전하로 분리하는 도너층과 억셉터층을 포함하는 인공 실내 광전지 성능 평가 방법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스트레칭 테스트를 통한 방목 입사 X선 산란(Grazing-Incidence Wide-Angle X-ray Scattering, GIWAXs)의 결정 간섭 길이(Crystal coherence length, CCL) 및 분자 적층 거리(d-spacing)를 통해 기계적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 실내 광전지 성능 평가 방법
10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스트레칭 테스트를 통한 기계적 변형 전후의 표면 거칠기 및 표면 입자의 수를 통해 기계적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 실내 광전지 성능 평가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재부품기술개발(R&D) 고신축특성을 가지는 고신뢰성고내구성 점착필름 및 대면적 코팅 공정 기술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전일 동작 광전지 개발을 위한 약광 발전 한계 돌파 연구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동국대학교산학협력단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염료기반 반투과형 유기태양전지 소재 및 소자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