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ICOS와의 결합력이 향상된 ICOS-L 변이체

  • 기술번호 : KST2023010280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ICOS와의 결합력이 증대된 ICOS-L 변이체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ICOS-L 변이체는 야생형 ICOS-L 및 종래의 ICOS-L 변이체에 비해 현저히 증가된 ICOS와의 결합력 (~약 100배)을 가지며, 거대분자인 IgG 항체에 비해 크기가 현저히 작아 종양 미세환경으로의 침투가 용이하고, 생산이 쉽고 다양한 면역 치료제와의 융합을 통한 치료제 및 이미징 분자로의 응용이 용이하므로, 암 치료 및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Int. CL C07K 14/705 (2006.01.01) A61K 39/00 (2006.01.01) A61P 35/00 (2006.01.01) G01N 33/574 (2006.01.01)
CPC C07K 14/70532(2013.01) A61K 39/4631(2013.01) A61P 35/00(2013.01) G01N 33/574(2013.01) C07K 2319/02(2013.01) C07K 2319/03(2013.01) G01N 2800/5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30048083 (2023.04.12)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155960 (2023.11.1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20054766   |   2022.05.03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3.04.12)
심사청구항수 3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정상택 서울특별시 강남구
2 하지연 서울특별시 강동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위병갑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 *층(대영빌딩)(위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3.04.12 수리 (Accepted) 1-1-2023-0411136-16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야생형(Wild type) ICOS-L(Inducible T cell costimulator-ligand)의 아미노산 서열 중 4번째, 51번째, 52번째, 54번째, 57번째, 74번째, 130번째 및 234번째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야생형의 아미노산과 다른 서열로 치환된, ICOS-L 변이체
2 2
제 1항에 있어서, 야생형 ICOS-L의 아미노산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ICOS-L 변이체
3 3
제 1항에 있어서, E4D, Q51P, Q51H, Q51P, N52S, S54N, N57H, L74R, S130C 및 K234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ICOS-L 변이체
4 4
제 1항에 있어서, Q51P 및 N57H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ICOS-L 변이체
5 5
제 1항에 있어서, Q51H, S54N 및 S130C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ICOS-L 변이체
6 6
제 1항에 있어서, N52S 및 K234R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ICOS-L 변이체
7 7
제 1항에 있어서, E4D 및 Q51P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ICOS-L 변이체
8 8
제 1항에 있어서, Q51P 및 L74R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ICOS-L 변이체
9 9
제 1항에 있어서, 막관통 도메인을 추가로 포함하는, ICOS-L 변이체
10 10
제 9항에 있어서, 막관통 도메인에 연결된 세포질 시그널링 도메인을 추가로 포함하는, ICOS-L 변이체
11 11
제 1항의 ICOS-L 변이체, 및 면역 글로불린의 Fc 도메인 또는 이의 변이체를 포함하는 면역조절 단백질
12 12
제 11항에 있어서, Fc 도메인 변이체는 야생형 인간 IgG1의 Fc 도메인에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면역조절 단백질
13 13
제 11항에 있어서, Fc 도메인 변이체는 야생형 인간 IgG1의 Fc에 비해 감소된 효과기 기능(effector function)을 나타내는 Fc 도메인 변이체인, 면역조절 단백질
14 14
제 11항에 있어서, Fc 도메인 변이체는 야생형 인간 IgG1의 Fc 도메인에서 카밧 넘버링 시스템(Kabat numbering system)에 따라 넘버링된 234, 235 또는 329 위치의 아미노산이 야생형의 아미노산과 다른 서열로 치환된, 면역조절 단백질
15 15
제 11항에 있어서, Fc 도메인 변이체는 L234A, L235A 및 P329G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면역조절 단백질
16 16
제 1항의 ICOS-L 변이체 또는 제 11항의 면역조절 단백질, 및 표적화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컨쥬게이트
17 17
제 16항에 있어서, 표적화 모이어티는 면역 세포 표면의 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컨쥬게이트
18 18
제 17항에 있어서, 면역 세포는 항원 제시 세포(APC) 또는 림프구인, 컨쥬게이트
19 19
제 16항에 있어서, 표적화 모이어티는 종양 표면의 분자에 결합하는 종양-국소화 모이어티인, 컨쥬게이트
20 20
제 16항에 있어서, 표적화 모이어티는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인, 컨쥬게이트
21 21
제 20항에 있어서, 항체는 세툭시맙, 파니투무맙, 잘루투무맙, 니모투주맙, 트라스투주맙, 아도-트라스투주맙, 엠타신, 토시투모맙(Bexxar?), 리툭시맙(리툭산, 맙테라),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제발린), 다클리주맙(제나팍스), 겜투주맙(마일로타르그), 알렘투주맙, CEA-스캔 Fab 단편, OC125 모노클로날 항체, ab75705, B72
22 22
제 1항의 ICOS-L 변이체, 제 11항의 면역조절 단백질 또는 제 16항의 컨쥬게이트를 포함하는 T-세포 활성화제
23 23
제 22항에 있어서, T-세포는 세포독성 T 세포 또는 CAR(chimeric antigen receptor)-T 세포인, T-세포 활성화제
24 24
제 9항의 ICOS-L 변이체를 암호화하는 핵산 및 재조합 항원 수용체의 하나 이상의 사슬을 암호화하는 하나 이상의 핵산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25 25
제 24항에 있어서, 재조합 항원 수용체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또는 조작된 T 세포 수용체 (T cell receptor, TCR)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
26 26
제 1항의 ICOS-L 변이체, 제 11항의 면역조절 단백질 또는 제 16항의 컨쥬게이트를 포함하는 조작된 세포
27 27
제 26항에 있어서,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 또는 조작된 T-세포 수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작된 세포
28 28
제 1항의 ICOS-L 변이체, 제 11항의 면역조절 단백질, 제 16항의 컨쥬게이트 또는 제 26항의 조작된 세포를 포함하는 항암 보조제
29 29
제 28항에 있어서, 면역 관문 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s)의 항암 효과를 증진시키는 면역 항암 보조제인, 항암 보조제
30 30
제 28항에 있어서, 면역 관문 억제제와 동시에, 별도로, 또는 순차적으로 병용 투여되는 항암 보조제
31 31
제 29항에 있어서, 면역 관문 억제제가 항-PD-1 항체, 항-PD-L1 항체, 항-CTLA-4 항체, 또는 이의 변이체인, 항암 보조제
32 32
제 1항의 ICOS-L 변이체, 제 11항의 면역조절 단백질, 제 16항의 컨쥬게이트 또는 제 26항의 조작된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33 33
제 32항에 있어서, 암은 뇌종양, 흑색종, 골수종, 비소세포성폐암, 구강암, 간암, 위암, 결장암, 유방암, 폐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대장암, 소장암, 직장암, 나팔관암종, 항문부근암, 자궁내막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Hodgkin's disease), 식도암, 임파선암, 방광암, 담낭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신장 또는 수뇨관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암종, 중추신경계 종양, 1차 중추신경계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 신경교종 및 뇌하수체 선종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암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34 34
제 1항의 ICOS-L 변이체, 제 11항의 면역조절 단백질, 제 16항의 컨쥬게이트 또는 제 26항의 조작된 세포를 포함하는 암 진단용 조성물
35 35
제 34항에 있어서, 발색효소, 방사성 동위원소, 크로모포어(chromopore), 발광물질 및 형광물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암 진단용 조성물
36 36
a) 대상으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와 제 34항의 조성물을 접촉시키는 단계;b) 시료에서 ICOS의 발현을 확인하는 단계; 및c) 정상 대조군 시료에서의 ICOS의 발현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
37 37
면역 관문 억제제를 처리한 대상으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제 1항의 ICOS-L 변이체, 제 11항의 면역조절 단백질, 제 16항의 컨쥬게이트 또는 제 26항의 조작된 세포를 이용하여 ICOS의 발현양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면역 관문 억제제에 대한 치료 반응성 예측 또는 예후 진단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