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방광 내 주입용 온도 감응성 부유 하이드로겔 약물전달체

  • 기술번호 : KST2023010526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방광 내 주입용 온도 감응성 부유 하이드로겔 약물전달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약물에 대하여 범용성 있게 약물전달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방광 내 주입용 온도 감응성 부유 하이드로겔 조성물 또는 제형(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특유의 조성으로 제조된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다양한 약물(일례로, 수용성 약물 또는 소수성 약물을 봉입한 나노입자)을 로딩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광 내 주입 시에 약물 방출 지속 시간이 현저히 길다. 이에 따라, 약물 투여 횟수를 감소시켰고, 약물 부작용 감소와 저용량의 약물 사용을 가능케 하였다. 그리고 종래 방광 적용 하이드로겔의 낮은 겔화 온도에 따른 투여 불편성을 현저히 개선하여 이를 통해 방광 내 주입이 용이하다. 또한 본원 발명 특유의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하이드로겔은 그 강도가 매우 견고하고 강하여, 충분한 시간 동안 방광 내에서 체류하며 서방성으로 지속적으로 약물을 방출하는 효과가 우수하다(소변을 보고 나서도, 방광 내에 서서히 소변이 모임에 따라 계속 부유되면서 지속적으로 약물 방출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 특유의 조성으로 제조된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종래의 하이드로겔이 방광 벽에 부착하거나 요로 폐색을 일으키는 등의 부작용을 일으켰던 것과는 달리, 우수한 부유 지속성을 가지기 때문에 요로 폐색이나 방광 점착에 따른 자극 위험이 현저히 감소된 것이 특징이다.
Int. CL A61K 9/00 (2006.01.01) A61K 9/06 (2006.01.01) A61K 47/10 (2017.01.01) A61K 47/32 (2017.01.01) A61K 47/02 (2006.01.01)
CPC A61K 9/0034(2013.01) A61K 9/06(2013.01) A61K 47/10(2013.01) A61K 47/32(2013.01) A61K 47/02(2013.01) A61K 9/002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151545 (2022.11.14)
출원인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2604867-0000 (2023.11.17)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231122)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11.14)
심사청구항수 1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작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최영욱 서울특별시 동작구
2 구윤태 서울특별시 금천구
3 윤영인 서울특별시 구로구
4 장인호 서울특별시 송파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명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 **층 (삼성동,본솔빌딩)(명진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특별시 동작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11.14 수리 (Accepted) 1-1-2022-1208448-38
2 [우선심사신청]심사청구서·우선심사신청서
2022.11.14 수리 (Accepted) 1-1-2022-1208813-01
3 [우선심사신청]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2.11.21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4 [우선심사신청]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2.11.22 수리 (Accepted) 9-1-2022-0018234-48
5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3.07.2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3-0663431-15
6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3.09.20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3-1044744-81
7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3.09.20 수리 (Accepted) 1-1-2023-1044757-74
8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23.11.1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3-1025215-0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폴록사머 407(Poloxamer 407);폴록사머 188(Poloxamer 188);기포제(bubling agent); 및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을 포함하는, 방광 내 주입용 온도 감응성 부유 하이드로겔 조성물로서,상기 기포제는 탄산수소나트륨(sodium bicarbonate)인 조성물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온도에 따른 졸-겔 변환(sol-gel transition)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은,평균 분자량이 100,000 내지 500,000 Da인 고분자량 폴리비닐피롤리돈(HMW-PV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폴리비닐피롤리돈은,폴록사머 407: 고분자량 폴리비닐피롤리돈의 중량비가 1 : 0
5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폴리비닐피롤리돈은,폴록사머 407 : 폴록사머 188 : 고분자량 폴리비닐피롤리돈의 중량비가 1 : 0
6 6
삭제
7 7
삭제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20 내지 30 %(w/v) 폴록사머 407;1 내지 10 %(w/v) 폴록사머 188;1 내지 10 %(w/v) 기포제(bubling agent); 및0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제가 탄산수소나트륨인 경우,탄산수소나트륨은 조성물 내에 1 내지 5 %(w/v)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겔화 온도가 20 내지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37℃ 기준 온도에서 겔화 소요시간이 5 내지 3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겔화 후 부유 지속시간이 5mL의 조성물을 기준으로 120 내지 30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고,상기 생리활성 물질은 수용성 약물 또는 소수성 약물인 조성물
14 14
삭제
15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약물은,젬시타빈(Gemcitabine), 미토마이신 C(Mitomycin C), 독소루비신 염산염(Doxorubicin HCl), 베타네콜(Bethanechol) 및 케토롤락(Ketorolac)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인 조성물
16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약물은 나노입자에 봉입되어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약물은,라파마이신(Rapamycin), 파클리탁셀(Paclitaxel), 트리메소프림(Trimethoprim), 데구엘린(Deguelin), 에피루비신(Epirubicin), 옥시부티닌(Oxybutynin) 및 리도카인(Lidocaine)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인 조성물
18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는 리포좀(liposome) 또는 미셀(micel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19
삭제
20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방광에 산성 완충액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