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귀금속 원자의 동적배치를 이용한 귀금속 단원자, 클러스터-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나노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수소생성반응용 또는 수소산화반응용 촉매 및 상기 촉매를 포함하는 전극

  • 기술번호 : KST2023010870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귀금속 단원자, 클러스터의 동적배치를 이용한 귀금속 단원자, 클러스터-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나노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수소생성반응용 또는 수소산화반응용 촉매 및 상기 촉매를 포함하는 전극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 상에만 귀금속 촉매를 단원자 또는 클러스터 형태의 원자규모구조로 선택적 동적 배치에 의해 균일하게 결합시켜 귀금속 단원자, 클러스터-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나노복합체를 제조함으로써 귀금속 촉매의 선택적 동적 배치를 통해 저함량 귀금속의 활용도를 높여 귀금속 함량 대비 촉매 활성 및 동역학적 특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귀금속 촉매 및 상기 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간의 강한 상호작용에 의해 고안정성을 가지며, 높은 일산화탄소 저항성을 가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귀금속 사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우수한 촉매 활성, 고안정성 및 높은 일산화탄소 저항성을 가져 산성 및 염기 조건에서의 전기화학적 수소생성반응용(hydrogen evolution reaction, HER) 또는 수소산화반응용(hydrogen oxidation reaction, HOR) 촉매로 적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아울러 간단한 합성법을 통해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상용화가 우수하다.
Int. CL C01B 32/949 (2017.01.01) C25B 11/091 (2021.01.01) C25B 1/04 (2022.01.01) B01J 27/22 (2006.01.01) B01J 21/18 (2006.01.01) C01B 32/05 (2017.01.01)
CPC C01B 32/949(2013.01) C25B 11/091(2013.01) C25B 1/04(2013.01) B01J 27/22(2013.01) B01J 21/18(2013.01) C01B 32/05(2013.01) C01P 2006/12(2013.01) C01P 2006/14(2013.01) C01P 2006/1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63019 (2022.05.23)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163201 (2023.11.3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5.23)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진우 대전광역시 유성구
2 김성빈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충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산로 **, *층(양재동, 베델회관)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5.23 수리 (Accepted) 1-1-2022-0544095-83
2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3.01.31 수리 (Accepted) 4-1-2023-5023571-05
3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3.05.04 수리 (Accepted) 4-1-2023-5110236-3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탄소 지지체;상기 탄소 지지체 상에 결합된 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 나노입자;상기 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 나노입자 상에 단원자, 클러스터(cluster) 또는 이들이 혼재된 상태로 분산되어 담지된 귀금속 촉매; 및상기 탄소 지지체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메조기공;을 포함하는 귀금속 단원자, 클러스터-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복합체로서, 상기 귀금속 촉매는 원자규모구조로 동적 배치되어 상기 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 나노입자 상에 선택적으로 결합된 것인 귀금속 단원자, 클러스터-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나노복합체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 나노입자는 α-MoC, β-Mo2C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인 귀금속 단원자, 클러스터-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나노복합체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귀금속 촉매는 Pt, Ir, Pd, Rh 및 R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인 것인 귀금속 단원자, 클러스터-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나노복합체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귀금속 촉매의 로딩량은 상기 귀금속 단원자, 클러스터-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나노복합체 100 중량%에 대하여 0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귀금속 단원자, 클러스터-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나노복합체는 기공 부피가 0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귀금속 단원자, 클러스터-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나노복합체는 BET 표면적이 190 내지 600 m2/g인 것인 귀금속 단원자, 클러스터-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나노복합체
7 7
제1항의 귀금속 단원자, 클러스터-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수소생성반응용 촉매
8 8
제1항의 귀금속 단원자, 클러스터-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수소산화반응용 촉매
9 9
제7항의 촉매를 포함하는 전극
10 10
제8항의 촉매를 포함하는 전극
11 11
제9항의 전극, 상대전극 및 전해질 또는 이온화 액체를 포함하는 수소생성장치
12 12
제10항의 전극, 상대전극 및 전해질 또는 이온화 액체를 포함하는 수소환원장치
13 13
(a) 용매에 양친성 블록공중합체, 몰리브덴 전구체, 탄소 전구체, 유기 고분자 및 귀금속 촉매 전구체를 혼합하는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b) 상기 혼합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증발유도 자가조립(evaporation-induced self-assembly, EISA)시켜 상기 양친성 블록공중합체의 친수성 고분자에 몰리브덴 전구체, 탄소 전구체, 유기 고분자 및 귀금속 촉매 전구체가 분산된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c) 상기 (b) 단계의 복합체를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 1차 열처리하여 상기 양친성 블록공중합체가 제거되면서 메조기공을 형성하여 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복합 지지체에 귀금속 촉매가 분산된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d) 상기 1차 열처리된 복합체를 불활성 가스 및 산소 가스 혼합 분위기 하에 2차 열처리하여 상기 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의 최외각 전자구조를 변화시키는 단계; 및(e) 상기 2차 열처리된 복합체를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3차 열처리하여 상기 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복합 지지체 상에 귀금속 촉매가 단원자, 클러스터(cluster) 또는 이들이 혼재된 상태로 재분산되어 결합된 귀금속 단원자, 클러스터-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나노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귀금속 촉매는 원자규모구조로 동적 배치되어 상기 귀금속 단원자, 클러스터-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나노복합체의 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 나노입자 상에 선택적으로 결합된 것인 귀금속 단원자, 클러스터-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14 14
(a) 용매에 양친성 블록공중합체, 몰리브덴 전구체, 탄소 전구체 및 유기 고분자를 혼합하는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b) 상기 혼합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증발유도 자가조립(evaporation-induced self-assembly, EISA)시켜 상기 양친성 블록공중합체의 친수성 고분자에 몰리브덴 전구체, 탄소 전구체 및 유기 고분자가 분산된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c) 상기 (b) 단계의 복합체를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 1차 열처리하여 상기 양친성 블록공중합체가 제거되면서 메조기공을 형성하여 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복합 지지체를 제조하는 단계;(d) 상기 1차 열처리된 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복합 지지체를 불활성 가스 및 산소 가스 혼합 분위기 하에 2차 열처리하여 상기 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의 최외각 전자구조를 변화시키는 단계;(e) 상기 2차 열처리된 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복합 지지체를 포함한 분산용액에 귀금속 촉매 전구체 용액을 분산시킨 후 습식 함침법에 의해 귀금속 촉매 전구체를 상기 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복합 지지체에 담지시키는 단계; 및(f) 상기 귀금속 촉매 전구체가 담지된 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지지체를 3차 열처리하여 상기 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복합 지지체 상에 귀금속 촉매가 단원자, 클러스터(cluster) 또는 이들이 혼재된 상태로 재분산되어 결합된 귀금속 단원자, 클러스터-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나노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f) 단계는 상기 귀금속 촉매는 원자규모구조로 동적 배치되어 상기 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나노복합체의 몰리브덴 탄화물 나노입자 상에 선택적으로 결합된 것인 귀금속 단원자, 클러스터-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15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양친성 블록공중합체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블록-폴리스타이렌 블록공중합체(poly(ethylene oxide)-b-poly(styrene)), 폴리에틸렌옥사이드-블록-폴리메틸메타크리레이트 블록공중합체(poly(ethylene oxide)-b-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아이소프렌-블록-폴리에틸렌옥사이드 블록공중합체(poly(isoprene)-b-poly(ethylene oxide)), 폴리아이소프렌-블록-폴리스타이렌-블록-폴리에틸렌옥사이드 블록공중합체(polye(isoprene)-b-poly(styrene)-b-poly(ethylene oxide)), 폴리(4-터트-부틸)스티렌-블록-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4-tert-butyl)styrene-block-polyethylene oxide) 및 플루로닉(Pluronic)계 상용 블록공중합체(P123, F127, F10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귀금속 단원자, 클러스터-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16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상기 귀금속 촉매 전구체는 Pt, Ir, Pd, Rh 및 R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한 전구체인 것인 귀금속 단원자, 클러스터-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17 17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상기 (b) 단계에서 증발유도 자기조립은 40 내지 80 ℃에서 수행하는 것인 귀금속 단원자, 클러스터-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18 18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상기 (b) 단계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90 내지 120 ℃에서 45 내지 52 시간 동안 어닐링(annealing)하여 상기 복합체 내 탄소 전구체 및 유기 고분자를 중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귀금속 단원자, 클러스터-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19 19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양친성 블록공중합체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블록-폴리스타이렌 블록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블록-폴리메틸메타크리레이트 블록공중합체 및 폴리아이소프렌-블록-폴리에틸렌옥사이드 블록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상기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상기 몰리브덴 전구체는 포스포몰리브데산, 몰리브데닐아세틸아세토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상기 탄소 전구체는 페놀-포름알데하이드이고,상기 유기 고분자는 멜라민-포름알데하이드이고,상기 귀금속 촉매는 Pt, Rh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상기 (b) 단계에서 증발유도 자기조립은 45 내지 60 ℃에서 수행하고,상기 (b) 단계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90 내지 120 ℃에서 45 내지 52 시간 동안 어닐링(annealing)하여 상기 복합체 내 탄소 전구체 및 유기 고분자를 중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상기 1차 열처리 온도는 630 내지 780 ℃이고,상기 2차 열처리 온도는 130 내지 160 ℃이고,상기 3차 열처리 온도는 1000 내지 1200 ℃이고,상기 불활성 가스는 각각 아르곤이고,상기 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 나노입자는 α-MoC 및 β-Mo2C의 혼합물이고,상기 귀금속 촉매의 로딩량은 상기 귀금속 단원자, 클러스터-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나노복합체 100 중량%에 대하여 4 내지 6 중량%이고,상기 귀금속 단원자, 클러스터-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나노복합체는 기공 부피가 0
20 20
제19항에 있어서,상기 양친성 블록공중합체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블록-폴리스타이렌 블록공중합체(poly(ethylene oxide)-b-poly(styrene))이고,상기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이고,상기 몰리브덴 전구체는 포스포몰리브데산이고,상기 탄소 전구체는 페놀-포름알데하이드이고,상기 유기 고분자는 멜라민-포름알데하이드이고,상기 귀금속 촉매는 Pt이고,상기 (b) 단계에서 증발유도 자기조립은 48 내지 53 ℃에서 수행하고,상기 (b) 단계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90 내지 120 ℃에서 45 내지 52 시간 동안 어닐링(annealing)하여 상기 복합체 내 탄소 전구체 및 유기 고분자를 중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상기 1차 열처리 온도는 670 내지 720 ℃이고,상기 2차 열처리 온도는 145 내지 155 ℃이고,상기 3차 열처리 온도는 1050 내지 1150 ℃이고,상기 불활성 가스는 각각 아르곤이고,상기 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 나노입자는 α-MoC 및 β-Mo2C의 혼합물이고,상기 귀금속 촉매의 로딩량은 상기 귀금속 단원자, 클러스터-다공성 몰리브덴 탄화물/탄소 나노복합체 100 중량%에 대하여 4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