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두께관통형 미세기공을 가지는 고분자 또는 고분자복합재료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14030606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두께관통형 미세기공을 가지는 고분자 또는 고분자복합재료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매의 두께 방향의 일방향성 동결법에 의해 고분자 또는 고분자복합재료 멤브레인의 기공 구조가 두께 방향으로 미세기공들이 메쉬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두께관통형 미세기공을 갖게 되어, 두께 방향의 투과성이 향상되고, 미세기공의 크기와 기공 간 벽 두께의 균일도가 우수하여 다공성 지지체, 미세여과막 등에 사용할 수 있다.
Int. CL B01D 69/00 (2006.01) B01D 71/32 (2006.01) B01D 67/00 (2006.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00050319 (2010.05.28)
출원인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157514-0000 (2012.06.12)
공개번호/일자 10-2011-0130812 (2011.12.0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20620)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0.05.28)
심사청구항수 2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작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종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2 이민경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다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길 **, 신관 *층~*층, **층(역삼동, 광성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특별시 동작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0.05.28 수리 (Accepted) 1-1-2010-0344372-75
2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1.06.13 수리 (Accepted) 1-1-2011-0441935-13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1.07.20 수리 (Accepted) 4-1-2011-5148883-62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1.07.20 수리 (Accepted) 4-1-2011-5148879-89
5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1.12.2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1-0777816-60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2.02.03 수리 (Accepted) 1-1-2012-0090472-76
7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2.02.03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2-0090473-11
8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2.03.2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2-0180803-76
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1.03 수리 (Accepted) 4-1-2014-0000494-54
1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10.20 수리 (Accepted) 4-1-2014-5123944-33
11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07.04 수리 (Accepted) 4-1-2018-5125629-51
1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7.29 수리 (Accepted) 4-1-2019-5151122-15
1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8.01 수리 (Accepted) 4-1-2019-5153932-16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고분자 용액의 일방향성 동결(one directional freezing) 단계; 및상기 동결에 의해 고형화된 재료를 동결 건조하여 멤브레인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께관통형 기공을 갖는 고분자 또는 고분자복합재료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고분자는 C-F 결합을 갖는 불소계 고분자 및 소수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두께관통형 기공을 갖는 고분자 또는 고분자복합재료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3 3
제2항에 있어서,불소계 고분자는 플루오린화비닐리덴(VDF),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TFE), 퍼플루오로알콕시알칸(PFA), 비닐플루오라이드(VF),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TFE), 플루오르화된 에틸렌프로필렌(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 및 퍼플루오르(프로필 비닐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두께관통형 기공을 갖는 고분자 또는 고분자복합재료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4 4
제2항에 있어서,소수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설폰계, 폴리케톤계, 폴리에테르설폰계, 셀룰로오즈계, 셀룰로오즈아세테이트, 셀룰로오즈트라이아세테이트, 재생 셀룰로오즈, 아크릴수지계, 나일론계, 폴리아미드계, 에폭시계,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두께관통형 기공을 갖는 고분자 또는 고분자복합재료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고분자 용액은 물, 물 및 알코올의 혼합물, 또는 유기용매 하에서 고분자를 용해 또는 분산시켜 제조하는 두께관통형 기공을 갖는 고분자 또는 고분자복합재료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6 6
제5항에 있어서,유기용매는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아세트알데하이드, 아세틱에시드, 아세토페논, 아세틸클로라이드, 아크릴로나이트릴, 아닐린, 벤질알콜, 1-부탄올, n-부틸아세테이트, 싸이클로헥사놀, 싸이클로헥사논, 1,2-디브로모에탄, 디에틸케톤, N, N-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N, N-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1,4-다이옥산, 에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포름산 에틸, 포름산, 글리세롤, 헥사메틸 포스포아마이드, 메틸 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N-메틸-2-피롤리돈, 니트로벤젠, 니트로메탄, 1-프로판올, 프로필렌-1,2-카보네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테트라메틸우레아, 트라이에틸 포스페이트, 트라이메틸 포스페이트, 에틸렌다이아민 및 NMMO(N-methylmorpholine N-ox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두께관통형 기공을 갖는 고분자 또는 고분자복합재료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7 7
제5항에 있어서,고분자는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8 8
제1항에 있어서,고분자 용액은 무기물 또는 난용 유기물을 더 포함하는 두께관통형 기공을 갖는 고분자 또는 고분자복합재료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9 9
제8항에 있어서,무기물은 산화티탄, 실리카, 훈증된 실리카(fumed silica), 실리콘 카바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스피넬, 실리콘옥시카바이드, 유리분말, 유리섬유, 탄소섬유, 그라펜, 나노튜브, 금 미세입자, 은 미세입자, 알루미나, 마그네시아, 실리콘니트리드, 지르코니아, 지르코니움 카바이드, 시알론(sialon), 나시콘, 실세람(silceram), 뮬라이드, 알루미늄, 동, 니켈, 스틸계, 티타늄, 티타늄 카바이드 및 티타늄이붕소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두께관통형 기공을 갖는 고분자 또는 고분자복합재료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10 10
제8항에 있어서,난용 유기물은 비닐론, 염화폴리비닐리덴, 염화폴리비닐,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아크릴, 아라미드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강화입자 및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두께관통형 기공을 갖는 고분자 또는 고분자복합재료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11 11
삭제
12 12
제10항에 있어서,섬유는 스펙트라섬유 및 아라미드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두께관통형 기공을 갖는 고분자 또는 고분자복합재료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13 13
제8항에 있어서,난용 유기물은 고분자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14 14
제1항에 있어서,고분자 용액의 동결은 액체질소에 의해 한쪽에서부터 일 방향으로 5 내지 500 ㎛/s의 속도로 실시하는 두께관통형 기공을 갖는 고분자 또는 고분자복합재료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15 15
제14항에 있어서,동결이 일어나지 않는 부분은 단열제에 의해 단열되는 두께관통형 기공을 갖는 고분자 또는 고분자복합재료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16 16
제1항에 있어서,동결에 의해 고형화된 재료는 동결건조기에서 1시간 내지 3일 동안 건조시키는 고분자 또는 고분자복합재료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17 17
제1항에 있어서,멤브레인의 용매 어닐링, 온도 어닐링, 신장 및 압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강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두께관통형 기공을 갖는 고분자 또는 고분자복합재료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18 18
넓이 방향으로 망(mesh) 구조의 미세기공을 가지며, 상기 미세기공은 두께방향으로 일방향성의 관통된 구조를 갖는 고분자 또는 고분자복합재료 멤브레인
19 19
제18항에 있어서,기공의 직경은 1000 내지 0
20 20
제18항의 고분자 또는 고분자복합재료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다공성 지지체, 미세여과막, 방수성 및 통풍성을 동시에 갖는 막, 또는 에너지소자의 확산조절용 막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
21 21
고분자 용액의 일방향성 동결(one directional freezing)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께관통형 기공을 갖는 고분자 또는 고분자복합재료 멤브레인의 기공 크기 제어방법
22 22
제21항에 있어서,동결 속도는 5 내지 500 ㎛/s인 두께관통형 기공을 갖는 고분자 또는 고분자복합재료 멤브레인의 기공 크기 제어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09999996 US 미국 FAMILY
2 US20120325737 US 미국 FAMILY
3 US20140210118 US 미국 FAMILY
4 WO2011149165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12325737 US 미국 DOCDBFAMILY
2 US2014210118 US 미국 DOCDBFAMILY
3 US9999996 US 미국 DOCDBFAMILY
4 WO2011149165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보건복지가족부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탄성 3D네트워크 macro/micro 튜브를 이용한 실로스타졸위체류 시스템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