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뉴로피드백 턴키 시스템 개발

  • 기술번호 : KST2014066850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원의 일 실시예는 기능성 자기공명영상기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뇌 기능 자가 훈련을 돕는 장치가 기능성 자기공명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소정의 뇌 기능에 관한 패러다임을 실시중인 피험자에 대해, 상기 기능성 자기공명영상기를 이용하여, 상기 피험자 뇌를 공간적으로 구분한 복수의 뇌 영역 중 상기 패러다임에 대한 신경 활성도가 소정의 임계 이상인 둘 이상의 관심 영역을 포함한 적어도 일부에서의 신경 활성도에 대응하는제 1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패러다임에 대응한 상기 피험자 뇌의 신경 활성도 상태, 및 상기 뇌 기능의 개선 목표에 관한 데이터인 뉴로피드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뉴로피드백 데이터를 상기 피험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패러다임을 실시중인 피험자에 대해, 상기 기능성 자기공명영상기를 이용하여, 상기 둘 이상의 관심 영역에서의 신경 활성도에 대응하는 제 2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2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뉴로피드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자기공명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Int. CL A61B 5/055 (2006.01)
CPC G01R 33/4806(2013.01) G01R 33/4806(2013.01) G01R 33/480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20098587 (2012.09.06)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323318-0000 (2013.10.23)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131029)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2.09.06)
심사청구항수 1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종환 대한민국 서울 성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엠에이피에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 *층 (역삼동, 한동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특별시 성북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2.09.06 수리 (Accepted) 1-1-2012-0719166-30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3.07.29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3.08.26 수리 (Accepted) 9-1-2013-0071119-72
4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3.09.2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667275-36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2.11 수리 (Accepted) 4-1-2014-5018243-16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4.22 수리 (Accepted) 4-1-2014-5049934-62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0.10 수리 (Accepted) 4-1-2019-5210941-0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기능성 자기공명영상기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뇌 기능 자가 훈련을 돕는 장치가 기능성 자기공명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a) 소정의 뇌 기능에 관한 패러다임을 실시중인 피험자에 대해, 상기 기능성 자기공명영상기를 이용하여, 상기 피험자 뇌를 공간적으로 구분한 복수의 뇌 영역 중 상기 패러다임에 대한 신경 활성도가 소정의 임계 이상인 둘 이상의 관심 영역을 포함한 적어도 일부에서의 신경 활성도에 대응하는제 1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b) 상기 제 1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패러다임에 대응한 상기 피험자 뇌의 신경 활성도 상태, 및 상기 뇌 기능의 개선 목표에 관한 데이터인 뉴로피드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뉴로피드백 데이터를 상기 피험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d) 상기 패러다임을 실시중인 피험자에 대해, 상기 기능성 자기공명영상기를 이용하여, 상기 둘 이상의 관심 영역에서의 신경 활성도에 대응하는 제 2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2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뉴로피드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자기공명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2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뉴로피드백 데이터는상기 둘 이상의 관심 영역 각각에서의 혈중산소농도(Blood Oxygen Level Dependent: BOLD) 신호를 포함하는 상태 데이터;상기 둘 이상의 관심 영역 중 어느 한 쌍의 관심 영역이 소정의 시간 프레임 동안 함께 활성화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기능적 연관도(Functional Connectivity: FC) 데이터; 및상기 한 쌍의 관심 영역이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정도를 나타내는 인과적 연관도(Effective Connectivity: EC)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기능성 자기공명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3 3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뉴로피드백 데이터는상기 패러다임에 대응한 상기 피험자의 뇌 기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훈련 목표를 나타내는 목표 데이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목표 데이터는 상기 상태 데이터, 상기 기능적 연관도 데이터 및 상기 인과적 연관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향 또는 하향시키는 목표를 나타내는 것인 기능성 자기공명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4 4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뉴로피드백 데이터는 상기 피험자의 청각 또는 시각을 통해 제공되되,상기 뉴로피드백 데이터는 바그래프(bar graph), 박스플롯(boxplot), 라인그래프(line graph) 및 중첩이미지(overlapped image)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되어, 상기 피험자의 시각을 통해 제공되는 기능성 자기공명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5 5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d) 단계는상기 제 2 측정 데이터를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제 2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 데이터, 상기 기능적 연관도 데이터 및 상기 인과적 연관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뉴로피드백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 및상기 피험자에게 상기 갱신된 뉴로피드백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둘 이상의 제 2 측정 데이터를 전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측정 데이터에 대해 머리 움직임 보정(head motion correction)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기능성 자기공명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6 6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상태 데이터, 상기 기능적 연관도 데이터 및 상기 인과적 연관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는,상기 전처리된 제 2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자기공명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7 7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상태 데이터, 상기 기능적 연관도 데이터 및 상기 인과적 연관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한 쌍의 관심 영역 각각에서의 상기 시간 프레임에 대응한 혈중산소농도 신호의 신호 강도를 저하(demeaning)시키고, 유효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한 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시켜서 유효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유효신호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관심 영역 간의 기능적 연관도를 추정하여 상기 기능적 연관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자기공명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8 8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상태 데이터, 상기 기능적 연관도 데이터 및 상기 인과적 연관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는,상기 한 쌍의 관심 영역 각각에서의 혈중산소농도 신호의 신호 강도를 저하(demeaning)시키고, 유효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한 후, 벡터자기회기모형(Vector autoregression: VAR)에 적용하여 상기 한 쌍의 관심 영역 간의 인과적 연관도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인과적 연관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자기공명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9 9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d) 단계를 적어도 1회 반복한 이후에, 상기 뇌 기능의 향상 여부를 나타내는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상기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상기 패러다임을 실시중인 피험자에 대해, 상기 기능성 자기공명영상기를 이용하여 상기 피험자 뇌에서의 신경 활성도에 대응하는 평가용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상기 평가용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패러다임에 대응한 뇌 기능의 향상 여부를 나타내는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자기공명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10 10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의 뇌 영역 중 상기 둘 이상의 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상기 둘 이상의 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상기 패러다임을 실시중인 피험자에 대해, 상기 기능성 자기공명영상기를 이용하여, 상기 피험자 뇌에서의 신경 활성도에 대응하는 검사용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상기 검사용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뇌 영역 중 상기 패러다임에 대해 신경 활성도가 소정의 임계 이상으로 반응하는 둘 이상의 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자기공명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11 11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패러다임은 상기 소정의 뇌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과제 수행 기간과, 상기 소정의 뇌 기능을 휴식시키는 휴지 기간을 적어도 1회 반복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되, 상기 과제 수행 기간이 상기 휴지 기간보다 긴 블록 기반(block-related), 또는 상기 과제 수행 기간이 상기 휴지 기간보다 짧은 이벤트 기반(event-related)인 기능성 자기공명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