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다공성 산화물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다공성 산화물 나노섬유

  • 기술번호 : KST2015085549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다공성 산화물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다공성 산화물 나노섬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산화물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은 산화물 전구체, 고분자, 고분자 비드, 및 솔벤트를 혼합하여 복합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복합용액을 전기방사하여 고분자 비드를 함유한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섬유로부터 솔벤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솔벤트가 제거된 복합섬유를 하소하여 산화물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 산화물 나노섬유는 비표면적이 크고, 집진성 및 통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고감도 산화물 나노섬유 가스센서로서 보다 정확하고 빠른 유해가스의 측정과 제어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산화물, 나노섬유, 고분자 비드
Int. CL B82B 3/00 (2006.01) D01D 5/00 (2006.01)
CPC D01D 5/00(2013.01) D01D 5/00(2013.01) D01D 5/00(2013.01) D01D 5/00(2013.01) D01D 5/00(2013.01) D01D 5/00(2013.01) D01D 5/0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090113122 (2009.11.23)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1-0056689 (2011.05.3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취하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진아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중구
2 문제현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이수재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4 김성현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5 정태형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6 추혜용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문용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길 ** 디타워 D* **층(법무법인세종)
2 이용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길 ** 디타워 D* **층(법무법인세종)
3 강신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길 ** 디타워 D* **층(법무법인세종)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09.11.23 수리 (Accepted) 1-1-2009-0716819-38
2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13.10.04 수리 (Accepted) 1-1-2013-0900589-76
3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13.10.1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3-0122861-46
4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3.10.22 수리 (Accepted) 1-1-2013-0953434-39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2.02 수리 (Accepted) 4-1-2015-0006137-4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산화물 전구체, 고분자, 고분자 비드, 및 솔벤트를 혼합하여 복합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복합용액을 전기방사하여 고분자 비드를 함유한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섬유로부터 솔벤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솔벤트가 제거된 복합섬유를 하소하여 산화물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공성 산화물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2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 전구체는 Zn, Sn, Ti, In, W, Cu, Ni, Ca, La, Y, Ce, Zr, Fe, V, Co, Al, K, Te, Ta, Pr, Nd, Nb, Li, Sm, Eu, Gd, Tb, Dy, Er, Yb, Bi, Ga, Si, Sr, Ba, Pt, Pd, Ag, Au, Ni, Ti, Cr, Ru, Mo, Rh 및 이들의 조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산화물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3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및 고분자 비드는 폴리비닐알콜(PVA),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 폴리비닐페놀(PVP),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스티렌(PS), 폴리비닐부틸알(PB),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아미드 및 이들의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산화물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4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비드는 직경이 1nm 내지 1mm인 나노구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산화물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5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비드는 산화물 전구체, 고분자 및 솔벤트와 용해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산화물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6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비드의 열분해 온도는 고분자의 열분해 온도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산화물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7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벤트는 헵탄(Heptane), 헥산(Hexane), 펜탄(Pent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카본테트라클로라이드(Carbon tetrachloride), 디이소프로필에테르(Di-Iso-propyl Ether), 톨루엔(Toluene), 메틸부틸에테르(Methyl-t-Butyl Ether), 크실렌(Xylene), 벤젠(Benzene),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디클로로에탄(1,2-Dychloroethane), 부틸아세테이트(Butyl acetate),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n-부탄올(n-Butanol), 테트라히드로퓨란(Tetrahydrofuran), n-프로판올(n-Propanol),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2-부타논(2-Butanone), 디옥산(Dioxane), 아세톤(Acetone),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아세트산(Acetic Acid),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물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산화물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8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벤트의 제거는 솔벤트의 휘발온도에서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 범위 내에서 상기 복합섬유를 베이킹하는 것으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산화물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9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섬유의 하소는 고분자 성분이 완전히 연소되고 산화물의 결정화가 발생되는 온도 이상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산화물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10 10
제 1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산화물 나노섬유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