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나노선 다공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형성된 나노선 다공체

  • 기술번호 : KST2015087035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나노선 다공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형성된 나노선 다공체를 제공한다. 이 방법에서는 물과 유기용매를 혼합 및 교반하여 다량의 기포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함으로써, 나노선 다공체에 다공성을 보다 쉽게 보다 많이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나노선 다공체를 보다 쉽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나노선 다공체는, 나노선을 포함하여 흡착력이 증대되고, 고분자를 포함하여 유연성과 내구성이 증대된다.
Int. CL C08J 9/04 (2006.01) B82B 3/00 (2006.01) C08L 29/04 (2006.01) C08K 3/22 (2006.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00116816 (2010.11.23)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2-0055211 (2012.05.3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취하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윤용주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2 유한영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3 김약연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중구
4 장원익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고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길 ** *층(역삼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0.11.23 수리 (Accepted) 1-1-2010-0764312-86
2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15.01.14 수리 (Accepted) 1-1-2015-0036837-96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2.02 수리 (Accepted) 4-1-2015-0006137-4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나노선 용액과 고분자 용액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상기 나노선 용액과 상기 고분자 용액을 혼합하여 제 1 혼합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물과 유기용매를 혼합 및 교반하여 다량의 기포를 포함하는 제 2 혼합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제 1 혼합 용액과 상기 제 2 혼합용액을 섞고 교반하여 제 3 혼합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제 3 혼합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나노선 다공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선 다공체의 제조 방법
2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나노선 다공체에 대하여 표면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선 다공체의 제조 방법
3 3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표면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선 다공체의 제조 방법
4 4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나노선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나노선, 이온교환수지 및 물을 혼합 및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선 다공체의 제조 방법
5 5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나노선, 이온교환수지 및 물을 혼합 및 교반하는 단계는 48시간~96 시간 동안 진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선 다공체의 제조 방법
6 6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나노선은, 절연체, 반도체 및 금속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선 다공체의 제조 방법
7 7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절연체는 산화실리콘(SiO2) 또는 산화티타늄(TiO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선 다공체의 제조 방법
8 8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반도체는, 실리콘(Si), 게르마늄(Ge), 갈륨비소(GaAs), 질화갈륨(GaN), 인화갈륨(GaP), 인화인듐(InP), 황화아연(ZnS), 산화아연(ZnO), 산화인듐(In2O3), 산화주석(SnO),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 암모니움 메타바나데이트(NH4VO3), 산화바나듐(V2O5)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선 다공체의 제조 방법
9 9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은 금(Au), 은(Ag), 알루미늄(Al), 니켈(Ni), 백금(Pt), 납(Pd), 마그네슘(Mg), 티타늄(Ti), 리튬(Li), 크롬(Cr), 철(Fe), 세륨(Ce), 몰리브덴(Mo), 주석(Sn), 베릴륨(Be), 바나듐(V), 코발트(Co), 구리(Cu), 아연(Zn), 니오브(Nb), 인듐(In), 탄탈륨(Ta), 텅스텐(W), 및 이리듐(Ir)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선 다공체의 제조 방법
10 10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고분자와 물을 섞고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선 다공체의 제조 방법
11 11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는, 아크릴나이트릴 부타디엔 스틴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아크릴(PolyMethoy MethAcrylate, PMMA), 셀룰로이드(Celluloid), 셀룰로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사이크로올레핀 코폴리머(cycloolefin copolymer),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 에틸렌 비닐 알콜(Ethylene vinyl alcohol, EVOH), 플루오르플라스틱(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액정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 폴리아세탈(polyacetal),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s),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아미드이미드(polyamide-imide), 폴리부틸렌(polybutylene), 폴리에터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스티렌(polystylene, PS),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PVA),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염화비닐리덴 클로라이드(polyvinylidene chloride, PVD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아미드(polyamides, PA, 나일론), 폴리에스터(polyester, PES), 폴리우레탄(polyurehthanes, PU),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폴리이미드(polyimide)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선 다공체의 제조 방법
12 1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유기용매는, 아세트산(acetic acid, C2H4O2), 아세톤(acetone, C3H6O),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C2H3N), 벤젠(benzene, C6H6), 1-부타놀(1-butanol, C4H10O), 2-부타놀(2-butanol, C4H10O), 2-부타논(2-butanone, C4H8O), 터셔리-부틸알콜(t-butyl alcohol, C4H10O), 카본 테트라클로라이드(carbon tetrachloride, CCl4), 클로로벤젠(chlorobenzene, C6H5Cl), 클로로포름(chloroform, CHCl3), 시클로헥산(cyclohexane, C6H12), 1,2-디클로로에탄(1,2-dichloroethane, C2H4Cl2), 디에틸 에테르(diethyl ether, C4H10O),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C4H10O3), 디글리메(diglyme, C6H14O3), 1,2-디메톡시-에탄(1,2-dimethoxy-ethane, C4H10O2), 디메틸에테르(dimethylether, C2H6O),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 formamide, DMF, C3H7NO),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 C2H6OS), 디옥산(dioxane C4H8O2), 에타놀(ethanol, C2H6O),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C4H8O2),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C2H6O2), 글리세린(glycerin, C3H8O3), 헵탄(heptane, C7H16), 헥사메틸포스포르아미드(Hexamethylphosphoramide, HMPA, C6H18N3OP), 헥사메틸포스포로스 트리아미드(Hexamethylphosphorous triamide, HMPT, C6H18N3P), 헥산(hexane, C6H14), 메타놀(methanol, CH4O), 메틸 터셔리-부틸 에테르(methyl t-butyl ether, MTBE, C5H12O),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CH2Cl2), 노르말-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inone, NMP, CH5H9NO), 니트로메탄(nitromethane, CH3NO2), 펜탄(pentane, C5H12), 페트롤리엄 에테르(Petroleum ether, ligroine), 1-프로파놀(1-propanol, C3H8O), 2-프로파놀(2-propanol, C3H8O), 피리딘(pyridine, C5H5N), 테트라히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 C4H8O), 톨루엔(Toluene, C7H8),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C6H15N), 오르소-크실렌(o-xylene, C8H10), 메타-크실렌(m-xylene, C8H10), 및 파라-크실렌(p-xylene C8H10)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선 다공체의 제조 방법
13 13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혼합 용액에서 상기 나노선 용액과 상기 고분자 용액은 약 0
14 14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3 혼합 용액을 동결 건조하는 단계는 0~10 mTorr의 압력하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선 다공체의 제조 방법
15 15
바나듐 오산화물(V2O5)과 폴리비닐알콜을 포함하는 나노선 다공체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120129682 US 미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12129682 US 미국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지식경제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T성장동력기술개발 차세대 IT기반 기술사업화 기반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