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고분자 표면 개질층을 이용한 양자점 단일층 발광 다이오드

  • 기술번호 : KST2015124155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고분자 표면 개질층을 이용한 양자점 단일층 발광 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전극 위에 고분자인 에톡시화된 폴리에틸렌이민(PEIE; Polyethylenimine ethoxylated)을 표면 개질층으로 이용하여 그 개질층에 함유된 아민기의 표면 쌍극자(surface dipole)와 양자점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양자점 단일층을 형성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투명전극을 음극으로 극치환시킨 인버티드(inverted) 구조로 전환하여 우수한 색 구현과 수명 연장이 가능하도록 개선한 고분자 표면 개질층을 이용한 양자점 단일층 발광 다이오드에 관한 것이다.
Int. CL H01L 51/50 (2006.01)
CPC H01L 51/502(2013.01) H01L 51/50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40029849 (2014.03.13)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5-0107249 (2015.09.2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거절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4.03.13)
심사청구항수 1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최원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양천구
2 황도경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3 손동익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
4 김홍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라특허법인(유한) 대한민국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서초동, 남강빌딩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4.03.13 수리 (Accepted) 1-1-2014-0245034-52
2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5.01.1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5-0033993-21
3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5.03.13 수리 (Accepted) 1-1-2015-0247790-21
4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5.04.16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5-0370854-18
5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5.04.16 수리 (Accepted) 1-1-2015-0370853-62
6 심사처리보류(연기)보고서
Report of Deferment (Postponement) of Processing of Examination
2015.08.2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15-0067427-10
7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5.10.0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5-0683101-56
8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15.12.1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5-0883870-73
9 대리인선임신고서
Report on Appointment of Agent
2015.12.23 수리 (Accepted) 1-1-2015-5033520-4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기판 위에 적층된 투명전극층 위에 PEIE (Polyehthylenimine ethoxylated)로 이루어진 고분자 표면 개질층이 적층되어 있고, 그 고분자 표면 개질층 위에 양자점 단일층이 적층되어 있으며, 양자점 단일층 위에 정공 수송층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표면 개질층을 이용한 양자점 단일층 발광 다이오드
2 2
청구항 1에 있어서, 기판은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이소설포네이트(PES)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단일층 발광 다이오드
3 3
청구항 1에 있어서, 고분자 표면 개질층은 1~20nm의 두께로 형성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단일층 발광 다이오드
4 4
청구항 1에 있어서, 양자점 단일층은 코어(Core), 쉘(Shell) 및 리간드(Ligand); 또는 코어, 쉘, 쉘 및 리간드; 또는 코어와 쉘로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단일층 발광 다이오드
5 5
청구항 1에 있어서, 양자점 단일층의 양자점은 카드뮴셀레나이드(CdSe), 카드뮴설파이드(CdS), 카드뮴텔레라이드(CdTd), 징크셀레나이드(ZnSe), 징크텔레라이드(ZnTe) 또는 징크설파이드(ZnS)의 2~6족 반도체 화합물, 및 인듐아세나이드((InAs) 또는 인듐포스파이드(InP)의 3~5족 반도체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양자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단일층 발광 다이오드
6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정공수송층은 NPB(N,N`-bis(1-naphtalenyl)-N-N`-bis(phenyl-benzidine)), DMFL-NPB(N,N0-Bis(naphthalen-1-yl)-N,N0-bis(phenyl)-9,9-dimethyl-fluorene), DPFL-NPB(N,N'-di(naphthalen-1-yl)-N,N'-diphenyl-9,9'-diphenyl-fluorene), Spiro-NPB(N,N'-di(naphthalen-1-yl)-N,N'-diphenyl-spiro), TPD(N,N'-bis(3-methylphenyl)-N,N'-bis(phenyl)-benzidine), Poly-TPD(poly(N,N0-bis(4-butylphenyl)-N,N0-bis(phenyl)benzidine), CBP(4, 4'-N, N'-dicarbazole-biphenyl), PVK(tetraphenyl-diaminophenyl/poly-vinylcarbazole),F8BT (poly (9,9-din-octyl-fluorene-alt-benzothiadiazolo),α-NPD(N,N'-diphenyl-N,N'-bis(1=naphtyl)-1,1'-biphenyl-4,4''-diamine), TATC(4,4',4''-tris(N-carbazolyl)-triphenylamine),DNTPD(N,N'-di(4-(N,N'-diphenyl-amino)phenyl)-N
7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정공수송층은 Poly TPD/PVK(tetraphenyl-di aminophenyl/poly-vinylcarbazole) 혼합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단일층 발광 다이오드
8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정공 수송층 위에 MoO3/Ag, Au 또는 Pt 의 양극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단일층 발광 다이오드
9 9
청구항 1에 있어서, 투명전극층이 극치환되어 음극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단일층 발광 다이오드
10 10
청구항 1에 있어서, 기판 위에 ITO(Indium Tin Oxide)층과 PEIE 고분자 표면 개질층 및 CdSe/ZnS 양자점 단일층이 차례로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 Poly TPD/PVK 정공 수송층과 MoO3/Ag 양극층이 차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단일층 발광 다이오드
11 11
청구항 1에 있어서, 기판 위에 적층된 투명전극층과 PEIE 로 이루어진 고분자 표면 개질층 사이에 전자수송층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표면 개질층을 이용한 양자점 단일층 발광 다이오드
12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기판 위에 ITO(Indium Tin Oxide)층에 ZnO 전자 수송층을 형성한 후 PEIE 고분자 표면 개질층 및 CdSe/ZnS 양자점 단일층이 차례로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 Poly TPD/PVK 정공 수송층과 MoO3/Ag 양극층이 차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단일층 발광 다이오드
13 13
기판 위에 투명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전극층 위에 PEIE (Polyehthylenimine ethoxylated)로 고분자 표면 개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 표면 개질층 위에 양자점 콜로이드 용액을 코팅하여 양자점 단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양자점 단일층 위에 발광재료를 코팅하여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표면 개질층을 이용한 양자점 단일층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14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투명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고분자 표면 개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사이에 전자수송층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단일층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15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코팅은 스핀 코팅(Spin Coating), 노즐 코팅(Nozzle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잉크젯(Inkjet) 및 슬릿 코팅(Slit Coating) 중에서 선택된 방식으로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단일층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16 16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정공 수송층 위에 MoO3/Ag, Au 또는 Pt로 양극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단일층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17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에 따른 양자점 단일층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조기반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생산시스템) Flexible OLED/OPV 제작공정 및 시스템 개발
2 산업통상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조기반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생산시스템) Flexible OLED/OPV 소자 성능 평가 및 향상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