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세포의 커패시턴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셀센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 기술번호 : KST2015125404
  • 담당센터 :
  • 전화번호 :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세포의 커패시턴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셀센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전극 사이에 세포를 부착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전극 간의 커패시턴스를 실시간으로 측정함으로써 생체 분자가 세포 표면의 수용체를 통해 엔도시토시스 되는 과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셀센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세포의 커패시턴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셀센서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격된 공간에 주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포가 부착되도록 하는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각각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세포가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의 상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시베이션 레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세포의 커패시턴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셀센서 및 이를 이용한 세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은 전극 사이에 특정 생체 분자의 수용체를 가지는 세포를 부착시킨 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전극 간의 커패시턴스를 실시간으로 측정함으로써 생체 분자가 세포 표면의 수용체를 통하여 엔도시토시스 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셀센서, 커패시턴스, 엔도시토시스, 특이 결합
Int. CL G01N 27/327 (2006.01) C12Q 1/02 (2006.01) G01N 33/48 (2006.01)
CPC G01N 33/4836(2013.01) G01N 33/483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090031298 (2009.04.10)
출원인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023251-0000 (2011.03.10)
공개번호/일자 10-2010-0112818 (2010.10.2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10321)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09.04.10)
심사청구항수 2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유경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2 윤채옥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3 김동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4 이리미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서구
5 김규정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작구
6 김평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은평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우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 *층(역삼동, 중평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주식회사 캔티스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09.04.10 수리 (Accepted) 1-1-2009-0217852-19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0.08.18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0.09.13 수리 (Accepted) 9-1-2010-0056694-92
4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1.03.0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1-0127254-98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1.12.15 수리 (Accepted) 4-1-2011-5252006-10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3.04.24 수리 (Accepted) 4-1-2013-5062749-37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3.06.24 수리 (Accepted) 4-1-2013-5088566-87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9.25 수리 (Accepted) 4-1-2014-5114224-7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기판; 상기 기판상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격된 공간에 주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포가 부착되도록 하는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각각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세포가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의 상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시베이션 레이어; 를 포함하는 세포의 커패시턴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셀센서
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금, 백금, 전도성 폴리머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의 커패시턴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셀센서
3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세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의 커패시턴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셀센서
4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각각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패시베이션 레이어 사이의 이격 간격은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의 이격 간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의 커패시턴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셀센서
5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베이션 레이어는 비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의 커패시턴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셀센서
6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베이션 레이어는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실리콘 옥사이드(Si0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의 커패시턴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셀센서
7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의 커패시턴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셀센서는 상기 이격된 공간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이격된 공간에 상기 세포와 항원 항체 반응을 하는 생체분자 또는 세포 사멸 유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주입하기 위한 입구(Inlet) 및 상기 이격된 공간으로부터 상기 생체분자 또는 상기 세포 사멸 유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기 위한 출구(Outlet)를 포함하는 플루이딕 채널(Fluidic channel);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의 커패시턴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셀센서
8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이딕 채널은 아크릴(acryl) 또는 PDMS(Polydimethylsiloxa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의 커패시턴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셀센서
9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이딕 채널은 상기 기판 및 상기 제 1, 2 전극에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의 커패시턴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셀센서
10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의 커패시턴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셀센서는 상기 이격된 공간에 주입된 세포를 배양하기 위한 세포 배양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웰;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의 커패시턴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셀센서
11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웰은 아크릴(acryl) 또는 PDMS(Polydimethylsiloxa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의 커패시턴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셀센서
12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을 공통으로 하고, 상기 기판상에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전극 쌍이 어레이(array)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의 커패시턴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셀센서
13 13
세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1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셀 센서의 상기 이격된 공간에 표적 수용체가 있는 세포를 주입하고 상기 세포 배양을 위한 세포 배양 미디아(medium)를 주입하여 배양시키는 단계; (b) 상기 세포 배양액에 의해 배양된 상기 세포의 표적 수용체와 특이 결합(Specific binding)을 하는 생체 분자를 주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를 거친 상기 세포를 배양하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커패시턴스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
14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아데노바이러스와 Car-antibody의 표적 수용체(Receptor)인 CAR(coxsackie and adenovirus receptor)가 발달되어 있는 HEP1 세포 또는 허셉틴(herceptin)의 표적 수용체인 ErbB-2 (HER2/neu) 과발현 되어있는 유방암 세포주인 435 세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방법
15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배양 미디아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RPMI(Rosewell Park Memorial Institue) 1640 Medium, MEM(Minimum Essential Medium)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
16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분자는 아데노바이러스, Car-antibody 또는 허셉틴(herceptin)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
17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커패시턴스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기 세포 표면의 수용체를 통하여 상기 생체 분자가 상기 세포 내로 엔도시토시스(endocytosis) 되는 시점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
18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전에 상기 세포 배양액을 이용하여 상기 생체 분자의 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
19 19
세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1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셀센서의 상기 이격된 공간에 표적 수용체가 있는 세포를 주입하고 상기 세포 배양을 위한 세포 배양 미디아(medium)를 주입하여 배양시키는 단계; (b) 상기 세포 배양액에 의해 배양된 세포에 금속 입자 또는 사멸 유도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를 거친 상기 세포를 배양하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커패시턴스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
20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멸 유도 물질은 TRAIL(Tumor necrosis factor Related Apoptosis Inducing Ligand)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핵산, 약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
21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커패시턴스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기 세포 표면의 수용체를 통하여 또는 흡착(adsorption)을 통하여 상기 사멸 유도 물질이 상기 세포 내로 엔도시토시스(endocytosis)되는 시점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
22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전에 상기 세포 배양액을 이용하여 상기 사멸 유도 물질의 농도를 조절하거나 상기 금속 입자의 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
23 23
세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1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셀센서의 상기 이격된 공간에 표적 수용체가 있는 세포를 주입하고 상기 세포 배양을 위한 세포 배양 미디아(medium)를 주입하여 배양시키는 단계; (b) 상기 세포 배양액에 의해 배양된 세포의 표적 수용체와 특이 결합을 하는 생체 분자와 사멸 유도 물질을 함께 주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를 거친 상기 세포를 배양하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커패시턴스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
24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전에 상기 세포 배양액을 이용하여 상기 생체 분자 또는 상기 사멸 유도 물질 중 적어도 하나의 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120064513 US 미국 FAMILY
2 WO2010117212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3 WO2010117212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12064513 US 미국 DOCDBFAMILY
2 WO2010117212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3 WO2010117212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한국과학재단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도연구센터-학제간융합분야(NCRC) 나노메디컬 1-1세부-유경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