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반도체의 불순물농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 기술번호 : KST2015131114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열전탐침을 이용하여 반도체 불순물 농도분포를 나노스케일 및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도성 다이아몬드 탐침의 실리콘과 전도성 다이아몬드 박막이 이루는 열전쌍을 교류전류로 가열함과 동시에, 나노 열전쌍 접점부의 온도변동을 측정하고, 또한 그와 동시에 상기 탐침의 첨단을 반도체 샘플과 전기적 접촉을 이루도록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탐침과 반도체 샘플의 접점에서 발생하는 열전 전압를 측정하므로, 첫째로 다이아몬드 탐침과 실리콘 샘플의 접촉면의 열전계수를 측정하므로 측정되는 신호의 크기가 접촉면의 크기와 무관하게 일정 값을 가져서 정전용량과 같이 측정되는 신호의 크기가 접촉면의 면적에 비례하는 SCM(Scanning Capacitance MicroScopy)에 비해서는 높은 공간분해능을 가지고, 둘째로 측정되는 신호의 크기가 탐침과 실리콘 샘플 접촉면의 크기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SSRM(Scanning Spreading Resistance MicroScopy)에 비해 정량적 측정에 있어서 우월하고, 마지막으로 공간적 분해능에 있어서는 SThEM(Scanning Thermo-Electric MicroScopy)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되어 실용성, 간편성 및 정량적 측정가능의 면에 있어서 훨씬 뛰어나다.다이아몬드탐침, 열전쌍, 열전계수
Int. CL B82Y 35/00 (2011.01) H01L 21/66 (2011.01)
CPC G01R 31/2601(2013.01) G01R 31/2601(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060019780 (2006.03.02)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0687796-0000 (2007.02.21)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070302)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06.03.02)
심사청구항수 1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권오명 대한민국 서울 도봉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현종철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 **, *층 특허법인충현 (신당동, 두지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2006.03.02 수리 (Accepted) 1-1-2006-0150501-02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06.12.06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07.01.12 수리 (Accepted) 9-1-2007-0000932-25
4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07.02.1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07-0085850-98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7.03.22 수리 (Accepted) 4-1-2007-5043540-16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8.03.05 수리 (Accepted) 4-1-2008-5034712-96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9.06.09 수리 (Accepted) 4-1-2009-5111177-32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0.08.12 수리 (Accepted) 4-1-2010-5149278-93
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2.11 수리 (Accepted) 4-1-2014-5018243-16
1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4.22 수리 (Accepted) 4-1-2014-5049934-62
11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0.10 수리 (Accepted) 4-1-2019-5210941-0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헤비도핑(heavy doping)된 실리콘과 열전쌍을 이루도록 전도성 다이아몬드가 외부에 적층된 다이아몬드 열전탐침;상기 열전탐침에 교류전기를 인가하여 열전쌍 접점부를 국소 가열하는 교류전원;상기 열전쌍 접점부에서 발생하는 온도변동(ΔTjunc)에 의해 열전전압(ΔVtip)을 측정하도록 상기 열전쌍 탐침에 연결된 제1 전압측정장치; 및상기 다이아몬드 박막과 반도체 샘플에 연결되어 열전전압(ΔVtip-sample)을 측정하여 반도체 표면의 열전계수를 도출하는 제2 전압측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의 불순물농도 측정장치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다이아몬드 탐침은, 헤비도핑(heavy doping)된 원추형 실리콘;상기 실리콘의 단부를 제외한 외면에 적층된 부도체인 이산화규소(SiO2) 박막; 및상기 이산화규소 박막과 상기 실리콘 단부의 외부에 적층되며 탐침의 첨단을 이루는 다이아몬드 박막;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의 불순물농도 측정장치
3 3
전도성 다이아몬드박막이 적층되어 있는 열전쌍 탐침을 샘플표면에 접촉시켜 나노단위의 접점을 형성시킨 후, 상기 탐침의 열전쌍에 교류전류를 가하여 열전쌍 접점부를 국소적으로 발열시키는 제1 단계;상기 발열에 의한 열전쌍 접점부의 온도변동(ΔTjunc)으로 발생된 열전전압(ΔVtip)을 제1 전압측정장치로 측정한 후, 상기 열전전압(ΔVtip) 및 실리콘과 다이아몬드간의 열전계수(Ssi-dia)를 이용하여 탐침첨단의 온도변동(ΔTtip)을 산출하는 제2 단계;상기 전도성 다이아몬드박막의 첨단과 반도체 샘플표면사이에 형성된 탐침접점의 열전전압(ΔVtip-sample)을 제2 전압측정장치로 측정한 후, 상기 열전전압(ΔVtip-sample)과 온도변동(ΔTtip)을 이용하여 다이아몬드 박막과 샘플표면의 열전계수 차이(Sdia-sub)를 산출하는 제3 단계; 및상기 열전계수(Sdia-sub)를 이용하여 샘플표면의 열전계수(Ssample)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열전계수(Ssample)로부터 반도체의 불순물농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제4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의 불순물농도 측정방법
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의 열전전압(ΔVtip)은 측정된 열전전압에서 주파수ω의 구동전압을 분리하여 산출된 제벡효과(Seebeck effect)로 발생한 주파수 2ω의 열전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의 불순물농도 측정방법
5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실리콘과 다이아몬드 박막간의 열전계수(Ssi-dia)는 실험에 의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의 불순물농도 측정방법
6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실리콘과 다이아몬드 박막간의 열전계수(Ssi-dia)는 하기의 수학식에 의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의 불순물농도 측정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의 열전계수(Ssi)와 다이아몬드 박막의 열전계수(Sdia)는 각각 불순물의 농도 및 종류에 따라 하기의 수학식에 의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의 불순물농도 측정방법
8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n과 Sp는 하기 수학식에 의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의 불순물농도 측정방법
9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탐침첨단의 온도변동(ΔTtip)은 하기의 수학식에 의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의 불순물농도 측정방법
10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의 열전전압(ΔVtip-sample)은 측정된 열전전압에서 주파수ω의 구동전압을 분리하여 산출된 제벡효과(Seebeck effect)로 발생한 주파수 2ω의 열전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의 불순물농도 측정방법
11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다이아몬드 박막과 샘플표면간의 열전계수(Sdia-sample)는 하기 수학식에 의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의 불순물농도 측정방법
12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샘플표면의 열전계수(Ssample)는 산출된 열전계수(Sdia-sample)에서 다이아몬드박막의 열전계수(Sdia)를 분리함으로써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의 불순물농도 측정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