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스타이렌과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클레이트의 랜덤 고분자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분산 용액

  • 기술번호 : KST2015145607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스타이렌(styrene)과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클레이트(dimethyl amino ethyl methacrylate)로 이루어진 랜덤 고분자(random copolymer)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의 분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에 관한 것으로, 유기 용매에서의 탄소나노튜브의 용해성과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이금속 화합물(Mtn+Xn)과 리간드(L)를 포함하는 전이금속 착물을 유기물과 함께 유기 용매내에서 원자이동라디칼반응(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으로 랜덤 고분자(random copolymer)를 준비한다. 랜덤 고분자는 스타이렌을 포함하고 있으며 유기용매 내에서 탄소나노튜브와 함께 넣고 분산하면, 랜덤 고분자와 탄소나노튜브와 비공유결합하여 유기용매 내에서 탄소나노튜브를 분산시킨다.
Int. CL C08F 2/38 (2006.01) B82B 3/00 (2006.01) C08F 4/639 (2006.01)
CPC C01B 32/16(2013.01) C01B 32/16(2013.01) C01B 32/16(2013.01) C01B 32/16(2013.01) C01B 32/16(2013.01) C01B 32/1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00023161 (2010.03.16)
출원인 전자부품연구원,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1-0104180 (2011.09.2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거절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0.03.16)
심사청구항수 1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금정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종훈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2 신권우 대한민국 경기도 화성시
3 백현종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금정구
4 박상우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남구
5 김건우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서구
6 김봉수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금정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종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길 * (구로동, 에이스하이엔드타워*차) ***호(한림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0.03.16 수리 (Accepted) 1-1-2010-0165092-97
2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10.03.1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0-0024312-12
3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0.03.29 수리 (Accepted) 1-1-2010-0197618-07
4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1.07.20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5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1.08.12 수리 (Accepted) 9-1-2011-0065557-91
6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1.12.2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1-0762201-51
7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2.02.20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2-0134193-53
8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2.02.20 수리 (Accepted) 1-1-2012-0134192-18
9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12.07.3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2-0442174-23
1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3.04.17 수리 (Accepted) 4-1-2013-0013766-37
11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1.02 수리 (Accepted) 4-1-2014-0000027-56
1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6.01.13 수리 (Accepted) 4-1-2016-5004891-78
1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01.09 수리 (Accepted) 4-1-2017-5004005-98
1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01.10 수리 (Accepted) 4-1-2017-5004797-18
1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8.24 수리 (Accepted) 4-1-2020-5189497-5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랜덤 고분자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방법에 있어서, 유기 라디칼을 형성할 수 있는 단위체(monomer)를 가지는 유기물을 마련하는 과정과, 상기 유기물에 전이금속 착물을 혼합하여 원자이동 라디칼 첨가 중합 반응시킴으로써 랜덤 고분자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랜덤 고분자를 유기 용매에서 탄소나노튜브와 혼합하여 상기 랜덤 고분자와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비공유결합시켜 상기 유기용매 내에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분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고분자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은 다음의 화학식, 으로 표시되는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클레이트 및 스타이렌을 각각 갖는 제1 유기물 및 제2 유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고분자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고분자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유기물은 Cl, Br 및 I을 포함하는 할로겐원소, 알콕시, SR1, SeR1, OC(=O)R1, OP(=O)R1, OP(=O)(OR1)2, OP(=O)OR1, O-N(R1)2 및 S-C(=S)N(R1)2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작용기를 포함하며,R1은 아릴 또는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 또는 분지상 알킬기이고, N(R1)2에서 두개의 R1은 서로 연결되어 5, 6, 또는 7-원자로 이루어진 헤테로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고분자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이중벽 탄소나노튜브(DWCNT; double-walled carbon nanotube),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 multi-walled carbon nanotube) 또는 다발형 탄소나노튜브(rope carbon nanotube)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고분자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 착물은 화학식 Mtn+Xn/L로 표시되는 전이금속 화합물 및 리간드를 포함하며, 상기 Mtn+Xn는 전이금속 화합물을 상기 L은 리간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고분자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 화합물 중 전이금속인 Mtn+은 Cu1+, Cu2+, Fe2+, Fe3+, Ru2+, Ru3+, Cr2+, Cr3+, Mo0, Mo+, Mo2+, Mo3+, W2+, W3+, Rh3+, Rh4+, Co+, Co2+, Re2+, Re3+, Ni0, Ni+, Mn3+, Mn4+, V2+, V3+, Zn+, Zn2+, Au+, Au2+, Ag+ 및 Ag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n은 전이금속의 형식전하로서 0≤n≤7인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고분자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방법
8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 화합물 중 상기 전이금속과 결합되는 음이온인 X는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6인 알콕시, (SO4)1/2, (PO4)1/3, (HPO4)1/2, (H2PO4), 트리플레이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메탄설포네이트, 아릴설포네이트, SeR1, CN 및 R2CO2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R1은 아릴 또는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 또는 분지상 알킬기이고, R2는 H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인 직쇄 또는 분지상 알킬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고분자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방법
9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라디칼 전이 반응(radical transfer reaction)을 일으키지 않는 유기 용매로서, 벤젠, 톨루엔, 아니솔, 디클로로벤젠을 포함하는 방향족류, 알콜류, 물, THF, 아세톤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고분자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방법
10 10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은 상기 단위체로 스타이렌을 갖는 제1 유기물 및 상기 단위체로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클레이트를 갖는 제2 유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고분자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방법
11 11
랜덤 고분자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방법으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분산 용액에 있어서, 유기 라디칼을 형성할 수 있는 단위체를 가지는 유기물과 전이금속 착물을 혼합하여 원자이동 라디칼 첨가 중합 반응시킴으로써 랜덤 고분자를 얻고, 얻어진 랜덤 고분자를 유기 용매 내에서 탄소나노튜브와 혼합함으로써 얻어지는 탄소나노튜브 분산 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고분자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방법으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분산 용액
12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은 다음의 화학식, 으로 표시되는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클레이트 및 스타이렌을 각각 갖는 제1 유기물 및 제2 유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고분자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방법으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분산 용액
13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고분자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방법으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분산 용액
14 14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유기물은 Cl, Br 및 I을 포함하는 할로겐원소, 알콕시, SR1, SeR1, OC(=O)R1, OP(=O)R1, OP(=O)(OR1)2, OP(=O)OR1, O-N(R1)2 및 S-C(=S)N(R1)2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작용기를 포함하며,R1은 아릴 또는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 또는 분지상 알킬기이고, N(R1)2에서 두개의 R1은 서로 연결되어 5, 6, 또는 7-원자로 이루어진 헤테로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고분자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방법으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분산 용액
15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이중벽 탄소나노튜브(DWCNT; double-walled carbon nanotube),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 multi-walled carbon nanotube) 또는 다발형 탄소나노튜브(rope carbon nanotube)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고분자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방법으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분산 용액
16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 착물은 화학식 Mtn+Xn/L로 표시되는 전이금속 화합물 및 리간드를 포함하며, 상기 Mtn+Xn는 전이금속 화합물을 상기 L은 리간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고분자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방법으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분산 용액
17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 화합물 중 전이금속인 Mtn+은 Cu1+, Cu2+, Fe2+, Fe3+, Ru2+, Ru3+, Cr2+, Cr3+, Mo0, Mo+, Mo2+, Mo3+, W2+, W3+, Rh3+, Rh4+, Co+, Co2+, Re2+, Re3+, Ni0, Ni+, Mn3+, Mn4+, V2+, V3+, Zn+, Zn2+, Au+, Au2+, Ag+ 및 Ag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n은 전이금속의 형식전하로서 0≤n≤7인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고분자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방법으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분산 용액
18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 화합물 중 상기 전이금속과 결합되는 음이온인 X는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6인 알콕시, (SO4)1/2, (PO4)1/3, (HPO4)1/2, (H2PO4), 트리플레이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메탄설포네이트, 아릴설포네이트, SeR1, CN 및 R2CO2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R1은 아릴 또는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 또는 분지상 알킬기이고, R2는 H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인 직쇄 또는 분지상 알킬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고분자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방법으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분산 용액
19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라디칼 전이 반응(radical transfer reaction)을 일으키지 않는 유기 용매로서, 벤젠, 톨루엔, 아니솔, 디클로로벤젠을 포함하는 방향족류, 알콜류, 물, THF, 아세톤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고분자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방법으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분산 용액
20 20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은 상기 단위체로 스타이렌을 갖는 제1 유기물 및 상기 단위체로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클레이트를 갖는 제2 유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고분자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방법으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분산 용액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지식경제부 전자부품연구원 전략기술개발사업 고전기열전도성 CNT-고분자 복합재 기반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