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CA9 유전자 프로모터의 CpG 메틸화 변화를 이용한 전이성 난소암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

  • 기술번호 : KST2015189735
  • 담당센터 : 인천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2-420-358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CA9 (carbonic anhydrase 9) 유전자 프로모터의 CpG 부위의 메틸화 수준을 검출함으로써, 난소암 전이를 진단 또는 전이 위험성을 예측하기 위한 조성물, 키트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Int. CL C12Q 1/68 (2006.01) G01N 33/574 (2006.01) G01N 33/48 (2006.01)
CPC C12Q 1/6886(2013.01) C12Q 1/6886(2013.01) C12Q 1/6886(2013.01) C12Q 1/6886(2013.01) C12Q 1/688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30022243 (2013.02.28)
출원인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275267-0000 (2013.06.10)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130617)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3.02.28)
심사청구항수 1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안정혁 대한민국 서울 성동구
2 성혜윤 대한민국 서울 성동구
3 주웅 대한민국 서울 서초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유미특허법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 서림빌딩 **층 (역삼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3.02.28 수리 (Accepted) 1-1-2013-0183732-35
2 [우선심사신청]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3.04.29 수리 (Accepted) 1-1-2013-0377827-13
3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3.05.3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373118-1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CA9 (carbonic anhydrase 9) 유전자 프로모터의 CpG 부위의 메틸화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난소암의 전이 진단 또는 전이 위험성 예측용 조성물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프로모터의 CpG 부위의 메틸화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비메틸화 사이토신 염기를 변형시키는 화합물 또는 메틸화 민감성 제한효소, CA9 유전자 프로모터의 메틸화된 서열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및 비메틸화된 서열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메틸화 사이토신 염기를 변형시키는 화합물은 바이설파이트(bisulfite) 또는 이의 염인 조성물
4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화 민감성 제한효소는 SmaI, SacII, EagI, HpaII, MspI, BssHII, BstUI 또는 NotI인 조성물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프로모터의 CpG 부위는 서열번호 2 (9번 염색체의 35673849 내지 35673970 번째)의 염기서열 중에 나타나는 CpG 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6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소암의 전이 진단 또는 전이 위험성 예측용 키트
7 7
난소암 전이가 의심되는 환자의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CA9 유전자 프로모터의 CpG 부위의 메틸화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메틸화 수준을 원발 난소암 대조군 시료의 CA9 유전자 프로모터의 메틸화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소암의 전이 진단 또는 전이 위험성 예측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8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프로모터의 CpG 부위의 메틸화 수준의 측정 단계는,(a) 수득된 시료 내 게놈 DNA를 비메틸화 사이토신 염기를 변형시키는 화합물 또는 메틸화 민감성 제한효소로 처리하는 단계; 및 (b) 상기 처리된 DNA를 CA9 유전자 프로모터의 CpG 부위를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에 의해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프로모터의 CpG 부위는 서열번호 2 (9번 염색체의 35673849 내지 35673970 번째)의 염기서열 중에 나타나는 CpG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메틸화 사이토신 염기를 변형시키는 화합물은 바이설파이트(bisulfite) 또는 이의 염인 방법
11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화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은 메틸화 특이적 중합효소반응 (methylation-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실시간 메틸화 특이적 중합효소반응 (real time methylation-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메틸화 DNA 특이적 결합 단백질을 이용한 PCR, 정량 PCR, 파이로시퀀싱 및 바이설파이트 시퀀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12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가 환자의 조직, 세포, 전혈, 혈청, 혈장, 타액, 객담, 뇌척수액 또는 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13
제7항에 있어서, 원발 난소암 대조군 시료의 경우보다 환자 시료 내 CA9 유전자 프로모터의 CpG 부위가 저메틸화 상태로 측정되는 경우 난소암이 전이되거나 전이 위험성이 있다고 예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KR101275266 KR 대한민국 FAMILY
2 KR101275268 KR 대한민국 FAMILY
3 KR101275269 KR 대한민국 FAMILY
4 KR101275270 KR 대한민국 FAMILY
5 US20140243218 US 미국 FAMILY
6 WO2014133262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DOCDB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보건복지부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병원특성화연구센터 재발 조기 예측을 위한 후성유전학적 진단법 개발(2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