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대용량 RDF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Large scale RDF data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 기술번호 : KST2016007467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대용량 RDF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용량 RDF 데이터 관리 방법은, 제 1 배열 순서를 갖는 트리플 요소들로 구성된 제 1 RDF 데이터를 제 1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 1 RDF 데이터를 구성하는 트리플 요소들이 제 n(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 배열 순서를 갖도록 재배열하여, 상기 재배열된 트리플 요소들로 구성된 제 n RDF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n RDF 데이터를 제 n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들이 RDF 데이터의 저장, 검색 및 추론 등을 원하는 경우, 해당 동작들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Int. CL G06F 16/00 (2019.01.01) G06F 17/27 (2006.01.01)
CPC G06F 17/30339(2013.01) G06F 17/30339(2013.01) G06F 17/30339(2013.01) G06F 17/30339(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40114327 (2014.08.29)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6-0027455 (2016.03.1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취하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유윤식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권순현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서구
3 김말희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4 박동환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5 방효찬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로 ***(가산동, KCC웰츠밸리) ***-***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4.08.29 수리 (Accepted) 1-1-2014-0828837-61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2.02 수리 (Accepted) 4-1-2015-0006137-4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대용량 RDF 데이터 관리 방법으로서, 제 1 배열 순서를 갖는 트리플 요소들로 구성된 제 1 RDF 데이터를 제 1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 1 RDF 데이터를 구성하는 트리플 요소들이 제 n(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 배열 순서를 갖도록 재배열하여, 상기 재배열된 트리플 요소들로 구성된 제 n RDF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n RDF 데이터를 제 n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RDF 데이터 관리 방법
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n RDF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트리플 요소들이 주어(subject)-술어(predicate)-목적어(object) 순서로 배열된 상기 제 1 RDF 데이터의 트리플 요소들을 재배열하여, 상기 트리플 요소들이 술어-목적어-주어 순서로 배열된 제 2 RDF 데이터 및 목적어-주어-술어 순서로 배열된 제 3 RDF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RDF 데이터 관리 방법
3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테이블은, RDF 데이터를 사전식 순서(lexicographical order)로 저장하는 RDF 데이터 관리 방법
4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테이블은, 트리플 요소들을 키(key)로서 갖는 테이블인 RDF 데이터 관리 방법
5 5
제 2 항에 있어서, 데이터 검색을 위한 트리플 형식의 질의를 입력받고, 상기 질의에 포함된 트리플 요소들 중 상수인 트리플 요소들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상수로 확인된 트리플 요소들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내지 제 n 테이블 중 어느 하나의 테이블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테이블로부터 상기 상수로 확인된 트리플 요소들을 키로 갖는 RDF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RDF 데이터 관리 방법
6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RDF 데이터 및 상기 입력된 질의를 기반으로 데이터 추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RDF 데이터 관리 방법
7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RDF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상수로 확인된 트리플 요소들을 기반으로 검색할 키의 범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범위에 따라 RDF 데이터를 사전식 순서(lexicographical order)로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RDF 데이터 관리 방법
8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상수로 확인된 트리플 요소들이 주어이거나 주어 및 술어인 경우 상기 제 1 테이블을 선택하고, 상기 상수로 확인된 트리플 요소들이 술어이거나 술어 및 목적어인 경우 제 2 테이블을 선택하고, 상기 상수로 확인된 트리플 요소들이 목적어이거나 목적어 및 주어인 경우 제 3 테이블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RDF 데이터 관리 방법
9 9
대용량 RDF 데이터 관리 장치로서, 제 1 배열 순서를 갖는 트리플 요소들로 구성된 제 1 RDF 데이터를 입력받는 RDF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제 1 RDF 데이터를 제 1 테이블에 저장하고, 상기 제 1 RDF 데이터를 구성하는 트리플 요소들이 제 n(여기서, n은 2이상의 자연수) 배열 순서를 갖도록 재배열하여 상기 재배열된 트리플 요소들로 구성된 제 n RDF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 n RDF 데이터를 제 n 테이블에 저장하는 RDF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하는 RDF 데이터 관리 장치
10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RDF 데이터 저장 영역은, 트리플 요소들이 주어(subject)-술어(predicate)-목적어(object) 순서로 배열된 상기 제 1 RDF 데이터의 트리플 요소들을 재배열하여, 상기 트리플 요소들이 술어-목적어-주어 순서로 배열된 제 2 RDF 데이터 및 목적어-주어-술어 순서로 배열된 제 3 RDF 데이터를 생성하는RDF 데이터 관리 장치
11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테이블은, RDF 데이터를 사전식 순서(lexicographical order)로 저장하는 RDF 데이터 관리 장치
12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테이블은, 트리플 요소들을 키(key)로서 갖는 테이블인 RDF 데이터 관리 장치
13 13
제 10 항에 있어서, 데이터 검색을 위한 트리플 형식의 질의를 입력받고, 상기 질의에 포함된 트리플 요소들 중 상수인 트리플 요소들을 확인하며, 상기 상수로 확인된 트리플 요소들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내지 제 n 테이블 중 어느 하나의 테이블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테이블로부터 상기 상수로 확인된 트리플 요소들을 키로 갖는 RDF 데이터를 검색하는 RDF 데이터 추론부 를 더 포함하는 RDF 데이터 관리 장치
14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RDF 데이터 추론부는, 상기 검색된 RDF 데이터 및 상기 입력된 질의를 기반으로 데이터 추론을 수행하는 RDF 데이터 관리 장치
15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RDF 데이터 추론부는, 상기 상수로 확인된 트리플 요소들을 기반으로 검색할 키의 범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범위에 따라 RDF 데이터를 사전식 순서(lexicographical order)로 검색하는 RDF 데이터 관리 장치
16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RDF 데이터 추론부는, 상기 상수로 확인된 트리플 요소들이 주어이거나 주어 및 술어인 경우 상기 제 1 테이블을 선택하고, 상기 상수로 확인된 트리플 요소들이 술어이거나 술어 및 목적어인 경우 제 2 테이블을 선택하고, 상기 상수로 확인된 트리플 요소들이 목적어이거나 목적어 및 주어인 경우 제 3 테이블을 선택하는 RDF 데이터 관리 장치
17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테이블은, NoSQL(Not only Structured Query Language) 기반의 분산 데이터 노드에 나누어 저장되는 RDF 데이터 관리 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