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카테콜기를 함유한 접착 유도체가 도입된 생체 적합성 고분자로 표면 개질된 생체 재료 및 그 제조 방법(SURFACE-MODIFIED BIOMATERIALS BY BIOCOMPATIBLE POLYMER CONTAINING ADHESIVE CATECHOL DERIVATIV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 기술번호 : KST2016015558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카테콜기를 함유한 접착 유도체가 도입된 생체 적합성 고분자로 생체재료를 표면 개질하여 코팅 안정성 및 생체 적합성이 향상된 생체 재료 및 이와 같은 생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의료용 소재 및 용품, 또한, 생체 재료의 표면 개질 방법을 제공한다.
Int. CL A61L 27/34 (2006.01)
CPC A61L 27/34(2013.01) A61L 27/34(2013.01) A61L 27/34(2013.01) A61L 27/34(2013.01) A61L 27/3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50022541 (2015.02.13)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6-0100057 (2016.08.2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거절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5.02.13)
심사청구항수 1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동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2 정윤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3 강종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4 조영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5 이유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6 서시웅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티앤아이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 A동 ****호(문정동, 엠스테이트)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5.02.13 수리 (Accepted) 1-1-2015-0156901-02
2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5.06.02 수리 (Accepted) 1-1-2015-0532904-58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6.01.13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4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6.03.0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16-0028500-32
5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6.03.1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6-0192654-33
6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6.05.16 수리 (Accepted) 1-1-2016-0466155-19
7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6.06.15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6-0576163-87
8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6.06.15 수리 (Accepted) 1-1-2016-0576159-04
9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16.06.20 수리 (Accepted) 1-1-2016-0590631-72
10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16.10.1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6-0733697-86
11 [법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Extension of Legal Period] Request for Extension of Period (Reduction, Expiry Reconsideration)
2016.11.03 수리 (Accepted) 7-1-2016-0061989-22
12 [명세서등 보정]보정서(재심사)
Amendment to Description, etc(Reexamination)
2016.12.13 보정승인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6-1222813-22
13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6.12.13 수리 (Accepted) 1-1-2016-1222815-13
14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17.01.0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013824-35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카테콜기 함유 접착 유도체가 도입된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표면 개질된 생체 재료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콜기 함유 접착 유도체는 도파민(dopamine),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에피네프린(epinephrine), 3,4-디하이드록시벤질아민(3,4-dihydroxybenzylamine), 3,4-디하이드록신남산(3,4-dihydroxyhydrocinnamic acid), 3,4-디하이드로페닐아세트산(3,4-dihydroxyphenyl-acetic acid), 3, 4-디하이드록시만델산(3,4-dihydroxymandelic acid), 3,4-디하이드록시페닐락트산 (3,4-dihydroxyphenyl-lactic acid), 3,4-디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 (3,4-dihydroxyphenyl-alanine), 2-(3,4-디하이드록시페닐)에탄올 (2-(3,4-dihydroxyphenyl)ethanol), 3,4-디하이드록시페닐에틸렌글리콜(3,4-dihydroxyphenylethyleneglycol), 3,4-디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3,4-dihydroxyphenylacetaldehyde), 3,4-디하이드록시페닐글리콜알데하이드 (3,4-dihydroxyphenylglycolaldehyde), 이소프로테레놀(isoproterenol)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생체 재료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히알루론산, 술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포스포릴콜린 (MPC)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 헤파린, 히루딘 및 알부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생체 재료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재료는, 실리콘(silico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테프론(PTFE, Teflon),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스티렌(polystyrene), 나일론(Nylo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술폰(polysulfone, PS)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열가소성 고분자와 페놀수지(Phenol) 및 에폭시(epoxy resin)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열경화성 고분자의 비분해성 합성 고분자와 천연 고무; 폴리글리콜라이드(PGA), 폴리락타이드(PLLA), 폴리카프로락톤(PCL), PLGA, PLCL, 폴리다이옥산논(PDO), 폴리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PTMC),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오르쏘에스테르, 폴리포스파 및 그들의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분해성 고분자; 히알루론산, 알긴산, 키토산, 콜라겐, 젤라틴 및 폴리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천연 고분자; 스테인리스스틸(SS), 티타늄(Ti), 지르코늄(Zr), 코발트-크롬(Co-Cr), 백금-크롬, 탄탈륨, 티타늄, 니티놀, 금, 백금, 은, 마그네슘, 철 및 그의 합금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 하이드록시파아파타이트(HA) 또는 베타-트리칼슘 포스페이트(b-TCP)인 세라믹 및 이들의 복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생체 재료
5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한 쪽 또는 양쪽 말단에 반응성기를 갖는 분자량 200 내지 10,000의 범위의 것인 생체 재료
6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은 분자량 1,000 내지 5,000,000의 범위의 것인 생체 재료
7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술폰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분자량 200 내지 10,000의 범위의 것인 생체 재료
8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포릴콜린 유도체는 분자량 1,000 내지 200,000을 갖는 것인 생체 재료
9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은 분자량 1,000 내지 100,000을 갖는 것인 생체 재료
10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파린은 분자량 1,000 내지 20,000을 갖는 것인 생체 재료
11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히루딘은 분자량 1,000 내지 20,000을 갖는 것인 생체 재료
12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부민은 분자량 40,000 내지 90,000을 갖는 것인 생체 재료
13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생체 재료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의료용 소재 또는 용품으로서, 카테터, 드레인, 션트, 케뉼라, 튜브, 가이드와이어, 뼈칩, 도관, 핀, 막대, 나사, 판, 봉합사, 패취, 풍선, 스텐트, 혈관, 멤브레인, 센서, 치과 임플란트, 치과 재료, 조직재생용 지지체 및 약물 또는 유전자 전달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의료용 소재 또는 용품
14 14
카테콜기 함유 접착 유도체가 도입된 생체 적합성 고분자로 생체 재료를 코팅하는 것을 포함하는 생체 재료의 표면 개질 방법
15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콜기 함유 접착 유도체는 도파민(dopamine),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에피네프린(epinephrine), 3,4-디하이드록시벤질아민(3,4-dihydroxybenzylamine), 3,4-디하이드록신남산(3,4-dihydroxyhydrocinnamic acid), 3,4-디하이드로페닐아세트산(3,4-dihydroxyphenyl-acetic acid), 3, 4-디하이드록시만델산(3,4-dihydroxymandelic acid), 3,4-디하이드록시페닐락트산 (3,4-dihydroxyphenyl-lactic acid), 3,4-디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 (3,4-dihydroxyphenyl-alanine), 2-(3,4-디하이드록시페닐)에탄올 (2-(3,4-dihydroxyphenyl)ethanol), 3,4-디하이드록시페닐에틸렌글리콜(3,4-dihydroxyphenylethyleneglycol), 3,4-디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 (3,4-dihydroxyphenylacetaldehyde), 3,4-디하이드록시페닐글리콜알데하이드 (3,4-dihydroxyphenylglycolaldehyde), 이소프로테레놀(isoproterenol)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생체 재료의 표면 개질 방법
16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히알루론산, 술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포스포릴콜린 (MPC)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 헤파린, 히루딘 및 알부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생체 재료의 표면 개질 방법
17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재료는, 실리콘(silico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테프론(PTFE, Teflon),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스티렌(polystyrene), 나일론(Nylo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술폰(polysulfone, PS)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열가소성 고분자와 페놀수지(Phenol) 및 에폭시(epoxy resin)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열경화성 고분자의 비분해성 합성 고분자와 천연 고무; 폴리글리콜라이드(PGA), 폴리락타이드(PLLA), 폴리카프로락톤(PCL), PLGA, PLCL, 폴리다이옥산논(PDO), 폴리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PTMC),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오르쏘에스테르, 폴리포스파겐 및 그들의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분해성 고분자; 히알루론산, 알긴산, 키토산, 콜라겐, 젤라틴 및 폴리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천연 고분자; 스테인리스스틸(SS), 티타늄(Ti), 지르코늄(Zr), 코발트-크롬(Co-Cr), 백금-크롬, 탄탈륨, 티타늄, 니타놀, 금, 백금, 은, 마그네슘, 철 및 그의 합금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 하이드록시파아파타이트(HA) 또는 베타-트리칼슘 포스페이트(b-TCP)인 세라믹 및 이들의 복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생체 재료의 표면 개질 방법
18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적합성 분자의 코팅은 pH 4
19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적합성 분자의 코팅은 10 내지 150 ℃의 온도 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인 생체 재료의 표면 개질 방법
20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적합성 분자의 코팅은 1 내지 48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인 생체 재료의 표면 개질 방법
21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적합성 분자의 코팅은 1 내지 10 회 반복 처리됨으로써 코팅 두께 및 카테콜기를 함유한 접착 유도체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인 생체 재료의 표면 개질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주)바이오알파 핵심소재원천기술개발 관상동맥용 완전 생분해성 다중제어 고분자 스텐트개발
2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미래유망융합기술파이오니아사업 관상동맥용 약물방출제어 나노표면 스텐트 개발
3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줄기세포연구사업 줄기세포/후기내피전구세포 기반 관상동맥용 지내피화 미래세대 스텐트 개발
4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신장조직재생용 3차원 생체모방 염증억제 지지체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