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다시점 실감 콘텐츠 생성 방법 및 그 장치(DEVICE FOR GENERATING MULTI-VIEW IMMERSIVE CONTENTS AND METHOD THEREOF)

  • 기술번호 : KST2016016332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다시점 실감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커브 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카메라로부터 다시점 배경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다시점 배경 영상을 모델링하여 상기 다시점 배경 영상에 대한 코드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카메라로부터 객체를 포함하는 다시점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생성된 코드북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한 다시점 영상으로부터 전경과 배경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전경에 포함된 객체와 가상 배경에 합성하여 상기 다시점 실감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t. CL H04N 21/81 (2011.01) H04N 13/00 (2016.01)
CPC H04N 21/816(2013.01) H04N 21/816(2013.01) H04N 21/81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50029168 (2015.03.02)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6-0106364 (2016.09.1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7.04.24)
심사청구항수 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정철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손형재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3 이범렬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4 정일권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지명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차우빌딩*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5.03.02 수리 (Accepted) 1-1-2015-0204995-32
2 [심사청구]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7.04.24 수리 (Accepted) 1-1-2017-0401697-21
3 선행기술조사의뢰 취소
Revocation of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7.08.11 수리 (Accepted) 9-1-0000-0000000-00
4 [우선심사신청]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7.08.28 수리 (Accepted) 1-1-2017-0827944-84
5 [우선심사신청]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7.08.29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6 [우선심사신청]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7.09.08 수리 (Accepted) 9-1-2017-0031248-75
7 예비심사결과통지서
2017.09.1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659186-87
8 면담 결과 기록서
2017.10.1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17-0151487-12
9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7.11.03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7-1093702-15
10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7.11.2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820173-2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a) 다수의 카메라가 획득한 객체에 대한 다시점 영상으로부터 전경과 배경을 분리하는 단계; 및(b) 상기 분리된 전경에 포함된 객체와 가상 배경을 합성하여 다시점 실감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a) 단계는,(a-1) 상기 다시점 영상의 RGB 컬러값을 HSV(Hue, Saturation, Value) 색 공간에서 표현되는 HSV 컬러값으로 변환하는 단계;(a-2) 색상(Hue)을 가로축으로, 명도(Value)를 세로축으로 하는 RGB-HSV 스펙트럼 그래프 상에서, 코드북에 저장된 다시점 배경 영상의 제1 HSV 컬러값(hsv1(h1, s1, v1))과 상기 다시점 영상의 제2 HSV 컬러값(hsv2(h2, s2, v2)) 사이에 형성되는 면적을 수학식 1과 2에 따라 계산하여 색상 차(Hue Difference)를 계산하는 단계; 및[수학식 1]fR, fG, fB: 어떤 임의의 HSV 컬러값에 대한 RGB 컬러값, mean(fR, fG, fB): RGB-HSV 스펙트럼 그래프 상에 나타나는 RGB 컬러값에 대한 최대 명도값(V)과 최소 명도값(V(1-S)) 사이의 중간 명도값, min(fR, fG, fB): RGB 컬러값에 대한 최소 명도값,[수학식 2]d(h1, s1, v1):제1 색상값(h1)에서의 최대 명도값(V)과 최소 명도값(V(1-S))의 차이, d(h2, s2, v2): 제2 색상값(h2)에서의 최대 명도값(V)과 최소 명도값(V(1-S))의 차이,(a-3) 상기 계산된 색상 차와 임계치를 비교하여 전경과 배경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다시점 실감 콘텐츠 생성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다시점 배경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시점 배경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가 위치하는 컨버젼스 포인트(convergence point)를 기준으로 일정한 반경을 형성하는 커브 형상의 레일 상에 배치된 상기 다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실감 콘텐츠 생성 방법
3 3
삭제
4 4
삭제
5 5
삭제
6 6
삭제
7 7
(a) 다수의 카메라가 획득한 객체에 대한 다시점 영상으로부터 전경과 배경을 분리하는 단계; 및(b) 상기 분리된 전경에 포함된 객체와 가상 배경을 합성하여 다시점 실감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a) 단계는,(a-1) 상기 다시점 영상의 각 픽셀이 갖는 RGB 컬러값을 명도(Intensity)를 중심축으로 하는 원추 형상의 HSI(Hue, Saturation, Intensity) 색 공간에서의 HSI 컬러값으로 변환하는 단계;(a-2) 상기 HSI 색공간에서 임의의 픽셀이 갖는 채도(Saturation) 값을 상기 HSI 색공간에서 나타낼 수 있는 최대 채도값으로 나눈 보정된 채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a-3) 상기 계산된 보정된 채도값과 코드북에 저장된 상기 임의의 픽셀에 대한 채도값을 비교하여 전경과 배경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2) 단계는, 상기 보정된 채도값(S)을 아래의 수학식 3, 4, 5에 따라 계산하는 단계로서,[수학식 3][수학식 4] [수학식 5] 로 계산되고, 여기서, 는 RGB 색공간에서 무채색으로 표현되는 직선의 단위 벡터이고, 는 상기 RGB 색공간에서 상기 임의의 픽셀을 나타내는 벡터 또는 상기 HSI 색공간에서 상기 임의의 픽셀을 나타내는 벡터이고, 은 상기 RGB 색공간에서 상기 의 좌표로부터 상기 직선까지의 수직 거리 또는 상기 HSI 색공간에서 상기 의 좌표로부터 상기 중심축까지의 수직 거리이고, 는 상기 를 갖는 벡터인 다시점 실감 콘텐츠 생성 방법
8 8
삭제
9 9
(a) 다수의 카메라가 획득한 객체에 대한 다시점 영상으로부터 전경과 배경을 분리하는 단계; 및(b) 상기 분리된 전경에 포함된 객체와 가상 배경을 합성하여 다시점 실감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a) 단계는,(a-1) 상기 다시점 영상의 각 픽셀이 갖는 RGB 벡터를 명도(Intensity)를 중심축으로 하는 원추 형상의 HSI(Hue, Saturation, Intensity) 색 공간에서의 HSI 벡터로 변환하는 단계;(a-2) 상기 HSI 색공간에서 임의의 픽셀이 갖는 명도(Intensity)값에 가중치 변수를 적용한 명도 경계(Intensity boundary)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a-3) 상기 계산된 명도 경계값과 코드북에 저장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전경과 배경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2) 단계에서, 상기 명도 경계값은 아래의 수학식 6으로 계산되고,[수학식 6]여기서, Ihigh는 프레임 단위로 수집된 픽셀들의 명도값 중 가장 높은 명도값, Ilow는 프레임 단위로 수집된 픽셀들의 명도값 중 가장 낮은 명도값, α, β(α003c# 1 003c# β)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상기 가중치 변수이고, τblack은 상기 명도 경계값의 최소 임계치인 다시점 실감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10 10
삭제
11 11
삭제
12 12
삭제
13 13
삭제
14 14
삭제
15 15
삭제
16 16
삭제
17 17
삭제
18 18
삭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09961330 US 미국 FAMILY
2 US20160261855 US 미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16261855 US 미국 DOCDBFAMILY
2 US9961330 US 미국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ETRI 범부처 GigaKOREA사업 기가급 대용량 양방향 실감 콘텐츠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