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분자 통신 시스템, 분자 통신 방법 및 분자 수신 나노머신(MOLECULAR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COMMUNICATING BASED ON MOLECULE AND MOLECULAR RECEPTION NANOMACHINE)

  • 기술번호 : KST2017018002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분자 통신 시스템은 분자 송신 나노머신들, 분자 수신 나노머신 및 분자 전달 채널을 포함한다. 분자 송신 나노머신들은 제1 공간 내에 무작위로 배치된다. 분자 수신 나노머신은 제1 공간 내에 배치되고, 분자 송신 나노머신들 중에서 l번째로 가까운 제l 분자 송신 나노머신으로부터 제1 데이터를 나타내는 정보 분자를 수신하여 제1 데이터를 획득한다. 분자 전달 채널은 제1 공간 내에서 정보 분자의 전달 경로를 제공하고, 비정상 확산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정보 분자가 이동한다. 분자 송신 나노머신들은 콕스 프로세스에 따라 제1 공간 내에 산재되어 있으며, 제l 분자 송신 나노머신에서 분자 수신 나노머신으로 정보 분자를 전송하는 과정은 확률적 나노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모델링된다.
Int. CL H04L 12/24 (2016.06.25) H04L 27/38 (2016.06.25) H04L 27/26 (2016.06.25) H04L 27/34 (2016.06.25)
CPC H04L 41/145(2013.01) H04L 41/145(2013.01) H04L 41/145(2013.01) H04L 41/14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063220 (2016.05.24)
출원인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7-0132425 (2017.12.0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6.05.24)
심사청구항수 19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신현동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2 듕 푸엉 트린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3 정영민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최영한 대한민국 서울 강남구 역삼동 ***-**호 세일빌딩 *, *층(**세기특허법률사무소)
2 지덕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 *층 **세기특허법률사무소 (역삼동, 세일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05.24 수리 (Accepted) 1-1-2016-0496116-97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6.11.10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6.12.20 수리 (Accepted) 9-1-2016-0051465-00
4 [대리인사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Resignation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17.01.18 불수리 (Non-acceptance) 1-1-2017-0062071-53
5 서류반려이유통지서
Notice of Reason for Return of Document
2017.01.2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7-0012184-91
6 [반려요청]서류반려요청(반환신청)서
[Request for Return] Request for Return of Document
2017.01.31 수리 (Accepted) 1-1-2017-0101654-10
7 서류반려통지서
Notice for Return of Document
2017.02.0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7-0016200-27
8 [대리인사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Resignation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17.02.07 수리 (Accepted) 1-1-2017-0124636-82
9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8.03.2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8-0218744-12
1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8.19 수리 (Accepted) 4-1-2019-5164254-26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제1 공간 내에 무작위로(randomly) 배치되는 복수의 분자 송신 나노머신(nanomachine)들;상기 제1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분자 송신 나노머신들 중에서 l(l은 자연수)번째로 가까운 제l 분자 송신 나노머신으로부터 제1 데이터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분자(information molecule)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획득하는 분자 수신 나노머신; 및상기 제1 공간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분자의 전달 경로를 제공하고, 비정상 확산(anomalous diffusion)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분자가 이동하는 비정상 확산 채널인 분자 전달 채널을 포함하고,상기 복수의 분자 송신 나노머신들은 콕스 프로세스(Cox process)에 따라 상기 제1 공간 내에 산재되어(scattered) 있으며, 상기 제l 분자 송신 나노머신에서 상기 분자 수신 나노머신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분자를 전송하는 과정은 확률적 나노네트워크(stochastic nanonetwork)를 이용하여 모델링되는 분자 통신 시스템
2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콕스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제1 공간 내에 산재되어 있는 복수의 간섭 분자(interference molecule)들을 더 포함하며,상기 제l 분자 송신 나노머신은 상기 정보 분자의 방출 시점을 조절하는 타이밍 변조(timing modulation) 방식에 기초하여 부호화 동작을 수행하고,상기 분자 수신 나노머신은 상기 복수의 간섭 분자들 중에서 미리 정해진 구간 동안에 상기 분자 수신 나노머신에 도달하는 간섭 분자들의 개수의 평균(mean)이 μI인 경우에, (μI+1)번째로 도달하는 분자를 상기 정보 분자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μI+1)번째로 도달하는 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 통신 시스템
3 3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콕스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제1 공간 내에 산재되어 있는 복수의 간섭 분자들을 더 포함하며,상기 제l 분자 송신 나노머신은 상기 정보 분자의 방출 개수를 조절하는 진폭 변조(amplitude modulation) 방식에 기초하여 부호화 동작을 수행하고,상기 분자 수신 나노머신은 상기 복수의 간섭 분자들 중에서 미리 정해진 구간 동안에 상기 분자 수신 나노머신에 도달하는 간섭 분자들의 개수의 평균 및 분산(variance)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분자에 대한 검출 문턱 값을 변경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구간 동안에 도달된 전체 분자들의 개수 및 상기 변경된 검출 문턱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 통신 시스템
4 4
제 1 항에 있어서,오더 시퀀스(order sequence) 와 파라미터 시퀀스(parameter sequence) 의 폭스 H-커널(Fox's H-kernel)에 기초한 함수 f(t)에 대한 H-변환(H-transform)을 나타내는 F(s)는, 하기의 [수학식 1]로 정의되고, 로 표기되며,상기 제l 분자 송신 나노머신과 상기 분자 수신 나노머신 사이의 제1 랜덤 거리(random distance) Rl은, 상기 H-변환을 기초로 정의되는 폭스 H-변량(Fox's H-variate)을 이용하여 획득되고, 로 표기되며, 음이 아닌 랜덤 변수 Rl이 상기 오더 시퀀스와 상기 파라미터 시퀀스에 기초한 H-분포(H-distribution)를 가짐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 통신 시스템
5 5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제l 분자 송신 나노머신은 상기 정보 분자의 방출 시점을 조절하는 타이밍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부호화 동작을 수행하고,상기 타이밍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부호화된 하나의 상기 정보 분자가 (α,β)-비정상 확산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전달되는 경우, 및 상기 제1 랜덤 거리가 인 경우에, 상기 제l 분자 송신 나노머신과 상기 분자 수신 나노머신 사이에서 수행되는 분자 통신의 비트 에러율을 나타내는 Pb,l은 하기의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 통신 시스템
6 6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콕스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제1 공간 내에 산재되어 있는 복수의 간섭 분자들을 더 포함하고,상기 복수의 간섭 분자들 중에서 상기 분자 수신 나노머신과 k(k는 자연수)번째로 가까운 제k 간섭 분자와 상기 분자 수신 나노머신 사이의 제2 랜덤 거리가 인 경우에, 상기 분자 통신의 비트 에러율을 나타내는 는 하기의 [수학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 통신 시스템
7 7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간섭 분자들 중에서 미리 정해진 구간 동안에 상기 분자 수신 나노머신에 도달하는 간섭 분자들의 개수의 평균이 μI이고 분산이 σI인 경우, 및 상기 분자 수신 나노머신이 (μI+1)번째로 도달하는 분자를 상기 정보 분자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μI+1)번째로 도달하는 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에, 상기 분자 통신의 비트 에러율을 나타내는 는 하기의 [수학식 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 통신 시스템
8 8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제l 분자 송신 나노머신은 상기 정보 분자의 방출 개수를 조절하는 진폭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부호화 동작을 수행하고,상기 진폭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부호화된 상기 정보 분자가 (α,β)-비정상 확산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복수 개 전달되는 경우, 및 상기 제1 랜덤 거리가 인 경우에, 상기 제l 분자 송신 나노머신과 상기 분자 수신 나노머신 사이에서 수행되는 분자 통신의 비트 에러율을 나타내는 Pb,l은 하기의 [수학식 5]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 통신 시스템
9 9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콕스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제1 공간 내에 산재되어 있는 복수의 간섭 분자들을 더 포함하고,상기 분자 통신의 비트 에러율을 나타내는 는 하기의 [수학식 6], [수학식 7] 및 [수학식 8]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 통신 시스템
10 10
제1 공간 내에 무작위로(randomly) 배치되는 복수의 분자 송신 나노머신(nanomachine)들 중에서 분자 수신 나노머신과 l(l은 자연수)번째로 가까운 제l 분자 송신 나노머신이, 제1 데이터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분자(information molecule)를 방출하는 단계;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분자가 상기 제1 공간 내에서 비정상 확산(anomalous diffusion)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단계; 및상기 분자 수신 나노머신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분자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제1 공간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분자의 전달 경로를 제공하는 분자 전달 채널은, 상기 비정상 확산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분자가 이동하는 비정상 확산 채널이고,상기 복수의 분자 송신 나노머신들은 콕스 프로세스(Cox process)에 따라 상기 제1 공간 내에 산재되어(scattered) 있으며, 상기 제l 분자 송신 나노머신에서 상기 분자 수신 나노머신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분자를 전송하는 과정은 확률적 나노네트워크(stochastic nanonetwork)를 이용하여 모델링되는 분자 통신 방법
11 11
제 10 항에 있어서,복수의 간섭 분자(interference molecule)들이 상기 콕스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제1 공간 내에 산재되어 있으며,상기 제l 분자 송신 나노머신은 상기 정보 분자의 방출 시점을 조절하는 타이밍 변조(timing modulation) 방식에 기초하여 부호화 동작을 수행하고,상기 분자 수신 나노머신은 상기 복수의 간섭 분자들 중에서 미리 정해진 구간 동안에 상기 분자 수신 나노머신에 도달하는 간섭 분자들의 개수의 평균(mean)이 μI인 경우에, (μI+1)번째로 도달하는 분자를 상기 정보 분자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μI+1)번째로 도달하는 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 통신 방법
12 12
제 10 항에 있어서,복수의 간섭 분자들이 상기 콕스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제1 공간 내에 산재되어 있으며,상기 제l 분자 송신 나노머신은 상기 정보 분자의 방출 개수를 조절하는 진폭 변조(amplitude modulation) 방식에 기초하여 부호화 동작을 수행하고,상기 분자 수신 나노머신은 상기 복수의 간섭 분자들 중에서 미리 정해진 구간 동안에 상기 분자 수신 나노머신에 도달하는 간섭 분자들의 개수의 평균 및 분산(variance)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분자에 대한 검출 문턱 값을 변경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구간 동안에 도달된 전체 분자들의 개수 및 상기 변경된 검출 문턱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 통신 방법
13 13
제 10 항에 있어서,오더 시퀀스(order sequence) 와 파라미터 시퀀스(parameter sequence) 의 폭스 H-커널(Fox's H-kernel)에 기초한 함수 f(t)에 대한 H-변환(H-transform)을 나타내는 F(s)는, 하기의 [수학식 9]로 정의되고, 로 표기되며,상기 제l 분자 송신 나노머신과 상기 분자 수신 나노머신 사이의 제1 랜덤 거리(random distance) Rl은, 상기 H-변환을 기초로 정의되는 폭스 H-변량(Fox's H-variate)을 이용하여 획득되고, 로 표기되며, 음이 아닌 랜덤 변수 Rl이 상기 오더 시퀀스와 상기 파라미터 시퀀스에 기초한 H-분포(H-distribution)를 가짐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 통신 방법
14 14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제l 분자 송신 나노머신은 상기 정보 분자의 방출 시점을 조절하는 타이밍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부호화 동작을 수행하고,상기 타이밍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부호화된 하나의 상기 정보 분자가 (α,β)-비정상 확산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전달되는 경우, 및 상기 제1 랜덤 거리가 인 경우에, 상기 제l 분자 송신 나노머신과 상기 분자 수신 나노머신 사이에서 수행되는 분자 통신의 비트 에러율을 나타내는 Pb,l은 하기의 [수학식 10]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 통신 방법
15 15
제 14 항에 있어서,복수의 간섭 분자들이 상기 콕스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제1 공간 내에 산재되어 있으며,상기 복수의 간섭 분자들 중에서 상기 분자 수신 나노머신과 k(k는 자연수)번째로 가까운 제k 간섭 분자와 상기 분자 수신 나노머신 사이의 제2 랜덤 거리가 인 경우에, 상기 분자 통신의 비트 에러율을 나타내는 는 하기의 [수학식 1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 통신 방법
16 16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간섭 분자들 중에서 미리 정해진 구간 동안에 상기 분자 수신 나노머신에 도달하는 간섭 분자들의 개수의 평균이 μI이고 분산이 σI인 경우, 및 상기 분자 수신 나노머신이 (μI+1)번째로 도달하는 분자를 상기 정보 분자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μI+1)번째로 도달하는 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에, 상기 분자 통신의 비트 에러율을 나타내는 는 하기의 [수학식 1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 통신 방법
17 17
제1 공간 내에 무작위로(randomly) 배치되는 복수의 분자 송신 나노머신(nanomachine)들 중에서 l(l은 자연수)번째로 가까운 제l 분자 송신 나노머신으로부터 방출되고 제1 데이터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분자(information molecule)를 수신하는 분자 수신부;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분자에 대한 복호화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획득하는 복호화부; 및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분자를 저장, 분해 또는 배출하는 분자 처리부를 포함하고,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분자는 상기 분자 수신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공간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분자의 전달 경로를 제공하는 분자 전달 채널 내에서 비정상 확산(anomalous diffusion)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이동하며,상기 복수의 분자 송신 나노머신들은 콕스 프로세스(Cox process)에 따라 상기 제1 공간 내에 산재되어(scattered) 있으며, 상기 제l 분자 송신 나노머신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분자가 전송되는 과정은 확률적 나노네트워크(stochastic nanonetwork)를 이용하여 모델링되는 분자 수신 나노머신
18 18
제 17 항에 있어서,복수의 간섭 분자(interference molecule)들이 상기 콕스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제1 공간 내에 산재되어 있으며,상기 제l 분자 송신 나노머신은 상기 정보 분자의 방출 시점을 조절하는 타이밍 변조(timing modulation) 방식에 기초하여 부호화 동작을 수행하고,상기 복수의 간섭 분자들 중에서 미리 정해진 구간 동안에 상기 분자 수신 나노머신에 도달하는 간섭 분자들의 개수의 평균(mean)이 μI인 경우에, (μI+1)번째로 도달하는 분자를 상기 정보 분자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μI+1)번째로 도달하는 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 수신 나노머신
19 19
제 17 항에 있어서,복수의 간섭 분자들이 상기 콕스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제1 공간 내에 산재되어 있으며,상기 제l 분자 송신 나노머신은 상기 정보 분자의 방출 개수를 조절하는 진폭 변조(amplitude modulation) 방식에 기초하여 부호화 동작을 수행하고,상기 복수의 간섭 분자들 중에서 미리 정해진 구간 동안에 상기 분자 수신 나노머신에 도달하는 간섭 분자들의 개수의 평균 및 분산(variance)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분자에 대한 검출 문턱 값을 변경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구간 동안에 도달된 전체 분자들의 개수 및 상기 변경된 검출 문턱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자 수신 나노머신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170346572 US 미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17346572 US 미국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일반연구자지원사업(모험연구) 분자 나노통신 핵심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