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측면 동력전달 휠을 구비한 2차원 트레드밀(2-dimensional treadmill using side power transmission wheel assembly)

  • 기술번호 : KST2018001163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트레드부를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각각 별개로 구동함으로써 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2차원 트레드밀(treadmill)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X축 방향으로 회전운동은 체인에 체결하여 동력을 전달하고 Y축 방향으로의 회전은 트레드부 내부에 모터를 탑재하여 자체 동력을 생성함으로 인해 트레드부의 전체 무게가 증가하여 X축 방향으로의 가감속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고, 또한, 트레드부 내부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설치하여 간접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구성됨으로 인해 동력 전달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2차원 트레드밀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트레드부를 Y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Y축 구동부에 트레드의 측면에서 트레드의 외측면에 접하는 동력전달 휠을 구비하여 동력전달을 원활히 하는 것과 함께 트레드와의 접촉면적을 넓히도록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트레드부의 경량화가 가능한 동시에, Y축 구동부가 미끄러지거나 헛도는 현상을 방지하여 Y축 방향으로의 회전을 위한 동력 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측면 동력전달 휠을 구비한 2차원 트레드밀이 제공된다.
Int. CL A63B 22/02 (2016.09.02) A63B 24/00 (2016.09.02) A63B 71/06 (2016.09.02) A63B 69/00 (2016.09.02)
CPC A63B 22/0235(2013.01) A63B 22/0235(2013.01) A63B 22/0235(2013.01) A63B 22/0235(2013.01) A63B 22/0235(2013.01) A63B 22/023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092765 (2016.07.21)
출원인 한국기계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8-0010523 (2018.01.3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기계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차무현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남용윤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이근호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4 임채환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5 한정우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정수 대한민국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로 ***(방이동) *층(이수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07.21 수리 (Accepted) 1-1-2016-0710792-96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11.28 수리 (Accepted) 4-1-2017-5193093-7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측면 동력전달 휠을 구비한 2차원 트레드밀에 있어서, 트레드밀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프레임; 벨트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트레드가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나란히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각각의 상기 트레드의 회전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는 무한궤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 전체가 회전되는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하고, 상기 트레드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상기 트레드가 개별적으로 회전되는 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할 때, 상기 트레드부를 X축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해 상기 메인프레임의 Y축 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체인벨트의 형태로 형성되는 X축 구동부; 및 상기 트레드부의 각각의 상기 트레드를 Y축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트레드의 Y축 방향의 적어도 한쪽 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동력전달 휠을 포함하여 상기 트레드부에 설치되는 Y축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동력전달 휠을 구비한 2차원 트레드밀
2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밀은, 상기 X축 구동부와 상기 Y축 구동부의 동작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트레드밀과 연결되는 컴퓨터 또는 상기 트레드밀의 외부에 구비되는 별도의 제어장치의 형태로 구성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동력전달 휠을 구비한 2차원 트레드밀
3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X축 구동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되는 X축 구동부 몸체; 상기 X축 구동부 몸체의 X축 방향 양단에 X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X축 회전체; 및 상기 X축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순환하는 체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트레드부의 Y축 방향의 양단과 연결되어 상기 트레드부를 전체적으로 X축 방향으로 순환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동력전달 휠을 구비한 2차원 트레드밀
4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복수 개를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단위프레임; 상기 단위프레임의 양단측에 배치되는 회전롤러; 및 상기 단위프레임과 상기 회전롤러를 둘러싸는 벨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순환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트레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트레드 유닛이 상기 단위프레임에 의해 X축 방향으로 각각 나란하게 결합 및 연결되어 무한궤도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동력전달 휠을 구비한 2차원 트레드밀
5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트레드가 표면에 돌기가 형성된 치형 벨트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 휠은 상기 치형 벨트의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트레드에 맞물릴 수 있는 기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트레드의 측면에 복수 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동력전달 휠을 구비한 2차원 트레드밀
6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트레드가 표면에 돌기가 형성된 치형 벨트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 휠은 상기 트레드부의 X축 길이만큼의 길이로 일체로 형성되는 기어축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기어홈 부분에는 코팅처리가 수행되거나 또는 윤활유가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동력전달 휠을 구비한 2차원 트레드밀
7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는, 별도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지 않고 단순히 상기 Y축 구동부에 의한 상기 트레드의 Y축 방향으로의 순환을 돕는 역할만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동력전달 휠을 구비한 2차원 트레드밀
8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 휠은, 상기 트레드의 측면에 상기 회전롤러의 중심보다 상부의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동력전달 휠을 구비한 2차원 트레드밀
9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 휠은, 상기 트레드의 측면에 상기 회전롤러의 중심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동력전달 휠을 구비한 2차원 트레드밀
10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 휠은, 상기 트레드의 측면의 상기 회전롤러의 중심보다 하부의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동력전달 휠을 구비한 2차원 트레드밀
11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밀은, 상기 트레드의 내측에 벨트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한 텐션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동력전달 휠을 구비한 2차원 트레드밀
12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Y축 구동부는, Y축 방향으로 순환되는 상기 트레드의 정확한 속도 제어를 위해 상기 트레드부의 Y축 방향 양단에 한 쌍이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동력전달 휠을 구비한 2차원 트레드밀
13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유닛은, 상기 회전롤러 대신에, 상기 단위프레임의 Y축 방향 양단에서 상기 트레드의 상부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트레드회전체; 상기 단위프레임의 Y축 방향 양단에서 상기 트레드의 하부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하부 트레드회전체; 및 상기 단위프레임의 Y축 방향 양단에서 상기 트레드의 중앙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중앙 트레드회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트레드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 트레드회전체 및 상기 하부 트레드회전체 보다 상기 중앙 트레드회전체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동력전달 휠을 구비한 2차원 트레드밀
14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회전체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트레드회전체와 상기 하부 트레드회전체 중 적어도 하나가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동력전달 휠을 구비한 2차원 트레드밀
15 15
걷기나 달리기를 포함하는 운동에 대한 실험이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운동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각종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운동에 따른 사용자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 측정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정부는,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측면 동력전달 휠을 구비한 2차원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시뮬레이션 시스템
16 16
사용자에게 게임이나 가상현실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이동이나 동작에 의해 해당하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명령에 따른 처리가 수행되는 처리부; 상기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시각 및 청각을 통해 전달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입력부는,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측면 동력전달 휠을 구비한 2차원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시스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기계연구원 주요사업 안전신뢰성 기반 Smarter 모바일 작업 기계시스템 기술 개발 (2/3)
2 국방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방부-국가연구개발사업(III) 최고가속도 3m/sec2급 2차원 트레드밀 타입 이동인터페이스 개발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