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광 검출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light detec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기술번호 : KST2018005054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광 검출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 검출 소자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제1 절연 층; 상기 제1 절연 층 상의 제1 다결정 실리콘 층; 상기 제1 다결정 실리콘 층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다결정 실리콘 층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2 절연 층; 상기 제1 개구부 내에서, 상기 제1 다결정 실리콘 층 상에 위치되는 다결정 게르마늄 층; 및 상기 제1 개구부 내에서, 상기 다결정 게르마늄 층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다결정 실리콘 층과 상이한 제2 다결정 실리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Int. CL H01L 21/205 (2006.01.01) H01L 21/02 (2006.01.01) H01L 21/3215 (2006.01.01) H01L 21/324 (2017.01.01) H01L 31/103 (2006.01.01) H01L 31/105 (2006.01.01) H01L 31/109 (2006.01.01) H01L 31/18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70027953 (2017.03.03)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8-0046339 (2018.05.0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60139507   |   2016.10.25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2.24)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상훈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김경옥 대한민국 대전시 유성구
3 장기석 대한민국 세종특별자치시
4 주지호 대한민국 세종특별자치시 나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고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길 ** *층(역삼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7.03.03 수리 (Accepted) 1-1-2017-0218808-65
2 [심사청구]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20.02.24 수리 (Accepted) 1-1-2020-0193551-9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기판;상기 기판 상의 제1 절연 층;상기 제1 절연 층 상의 제1 다결정 실리콘 층;상기 제1 다결정 실리콘 층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다결정 실리콘 층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2 절연 층;상기 제1 개구부 내에서, 상기 제1 다결정 실리콘 층 상에 위치되는 다결정 게르마늄 층; 및상기 제1 개구부 내에서, 상기 다결정 게르마늄 층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다결정 실리콘 층과 상이한 도전형을 갖는 제2 다결정 실리콘 층을 포함하는 광 검출 소자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결정 실리콘 층과 상기 제2 절연 층 상에 위치되는 제3 절연 층;상기 제3 및 제2 절연 층들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다결정 실리콘 층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비아; 및상기 제3 절연 층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다결정 실리콘 층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비아를 더 포함하는 광 검출 소자
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비아들의 각각과 연결되는 상기 제3 절연 층 상의 복수의 금속 패턴들을 더 포함하는 광 검출 소자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결정 실리콘 층은 p형 불순물 및 n형 불순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다결정 실리콘 층은 상기 p형 불순물 및 상기 n형 불순물 중 나머지를 포함하는 광 검출 소자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 층은, 상기 제1 다결정 실리콘 층과 접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대향되며 상기 제1 면과 중첩되는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다결정 게르마늄 층은, 상기 제2 다결정 실리콘 층과 접하며 상기 제1 및 제2 면들 사이에 위치되는 제4 면을 포함하는 광 검출 소자
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4 면들 간의 이격 거리는 100nm 내지 200nm인 광 검출 소자
7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결정 실리콘 층은, 상기 다결정 게르마늄 층과 접하는 제5 면과, 상기 제5 면과 대향된 제6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6 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는 광 검출 소자
8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결정 실리콘 층은, 상기 다결정 게르마늄 층과 접하는 제5 면과, 상기 제5 면과 대향된 제6 면을 포함하고,상기 제4 및 제6 면들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2 및 제4 면들 간의 이격 거리와 동일한 광 검출 소자
9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결정 실리콘 층은, 상기 제1 개구부와 중첩되고, 상기 제1 절연 층을 향해 함몰된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광 검출 소자
1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연 층들의 각각은, 산화물(oxide), 질화물(nitride), 및 산질화물(Oxynitride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광 검출 소자
11 11
기판 상에 제1 절연 층과, 제1 다결정 실리콘 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고;상기 제1 다결정 실리콘 층 상에, 상기 제1 다결정 실리콘 층과 접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대향된 제2 면을 갖는 제2 절연 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절연 층을 식각하여, 상기 제1 다결정 실리콘 층의 제1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를 형성하고;상기 제1 영역 상에 다결정 게르마늄 층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다결정 게르마늄 층 상에 상기 제1 다결정 실리콘 층과 상이한 제2 다결정 실리콘 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다결정 게르마늄 층을 형성하는 것은, 제1 공정 가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면들 사이의 위치까지 상기 다결정 게르마늄 층을 성장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광 검출 소자의 형성 방법
12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결정 실리콘 층과 상기 제2 절연 층 상에 제3 절연 층을 형성하고;상기 제2 및 제3 절연 층들을 식각하여, 상기 제1 다결정 실리콘 층을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비아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3 절연 층을 식각하여, 상기 제2 다결정 실리콘 층을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비아 개구부를 형성하고;상기 제1 비아 개구부 내에 상기 제1 다결정 실리콘 층과 연결되는 제1 비아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비아 개구부 내에 상기 제2 다결정 실리콘 층과 연결되는 제2 비아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광 검출 소자의 형성 방법
13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절연 층 상에 상기 제1 및 제2 비아들과 연결되는 복수의 금속 패턴들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광 검출 소자의 형성 방법
14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결정 실리콘 층은 n형 불순물 및 p형 불순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다결정 실리콘 층은 상기 n형 불순물 및 상기 p형 불순물 중 나머지를 포함하는 광 검출 소자의 형성 방법
15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결정 게르마늄 층을 성장시키는 것은, 350℃ 내지 700℃의 온도 및 30torr 내지 80torr의 압력 내에서 수행되는 광 검출 소자의 형성 방법
16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결정 실리콘 층을 형성하는 것은, 제2 공정 가스를 사용하여, 상기 다결정 게르마늄 층으로부터 상기 제2 면과 동일한 위치까지 상기 제2 다결정 실리콘 층을 성장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광 검출 소자의 형성 방법
17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결정 실리콘 층을 성장시키는 것은, 400℃ 내지 600℃의 온도 및 30torr 내지 760torr의 압력 내에서 수행되는 광 검출 소자의 형성 방법
18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 가스는 GeH4(g) 가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공정 가스는 SiH4(g) 가스, SiH2Cl2(g) 가스 및 SiCl4(g) 가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광 검출 소자의 형성 방법
19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결정 게르마늄 층은 감압화학기상증착공정(RPCVD) 또는 초고진동화학기상증착공정(UHVCVD)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다결정 실리콘 층 상에 형성되는 광 검출 소자의 형성 방법
20 20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제1 개구부를 형성한 후,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1 절연 층을 향해 함몰된 제2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광 검출 소자의 형성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융합연구사업 실리콘 포토닉 3D 인터커넥트 플랫폼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