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2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시트 가스 감지 물질 및 그 제조 방법

  • 기술번호 : KST2018007552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2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시트 가스 감지 물질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2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시트 가스 감지 물질은 발열 특성을 나타내는 전도성 네트워크가 내장된 플라스틱 기판; 및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상단에 형성된 2차원 판상 구조의 금속산화물 나노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산화물 나노시트는 광소결 공정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나노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Int. CL G01N 27/327 (2006.01.01)
CPC G01N 27/3278(2013.01) G01N 27/327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163210 (2016.12.02)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8-0063471 (2018.06.1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6.12.02)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동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일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최선진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3 박희정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양성보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길 ** (논현동) 삼성빌딩 *층(피앤티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동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12.02 수리 (Accepted) 1-1-2016-1183335-50
2 직권정정안내서
Notification of Ex officio Correction
2016.12.0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6-0176331-73
3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16.12.0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6-0176330-27
4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6.12.21 수리 (Accepted) 1-1-2016-1253899-53
5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7.09.13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6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7.11.10 수리 (Accepted) 9-1-2017-0037452-12
7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8.02.0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8-0089599-05
8 [출원서 등 보정(보완)]보정서
2018.02.21 수리 (Accepted) 1-1-2018-0180198-11
9 [공지예외적용 보완 증명서류]서류제출서
2018.02.21 수리 (Accepted) 1-1-2018-0180199-67
10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8.03.09 수리 (Accepted) 1-1-2018-0238152-15
11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8.07.0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8-0446024-05
1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4.24 수리 (Accepted) 4-1-2019-5081392-49
1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5.15 수리 (Accepted) 4-1-2020-5108396-12
1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12 수리 (Accepted) 4-1-2020-5131486-6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발열 특성을 나타내는 전도성 네트워크가 내장된 플라스틱 기판; 및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상단에 형성된 2차원 판상 구조의 금속산화물 나노시트를 포함하고,상기 금속산화물 나노시트는 광소결 공정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나노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시트 가스 감지 물질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네트워크는 전도성 나노선, 전도성 나노튜브, 전도성 나노섬유, 전도성 나노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시트 가스 감지 물질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네트워크는 Ti, Ni, Cu, Ag, Ru, Rh, Pd, Ir, Pt, Au, C 중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시트 가스 감지 물질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플라스틱 기판은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carbonates (PC), Polyethersulfone (PES), polyimide (PI), Cyclic olefin copolymer (COC), poly-di-methyl-siloxane (PDM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시트 가스 감지 물질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플라스틱 기판은 24 ℃ 내지 200 ℃의 온도 범위에서 발열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시트 가스 감지 물질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산화물 나노시트는 두께가 0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산화물 나노시트는 투과도가 40% 내지 99%의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시트 가스 감지 물질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나노기공은 직경이 0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산화물 나노시트는 Ru oxide, Mn oxide, Ti oxide, V oxide, Cr oxide, Fe oxide, Co oxide, Ni oxide, Cu oxide, Zn oxide, Zr oxide, Nb oxide, Mo oxide, Rh oxide, La oxide, Hf oxide, Ta oxide, W oxide, Ir oxide, Pt oxide, Pd oxide, Os oxide, NiCo2O4, Ba5Ta4O15, CaNaNb3O102-, Sr2Nb3O10-, TiTaO5-, Ti5NbO143-, TiNbO5-, Ca2Nan-3NbnO3n+1- (n = 4, 5, 6), Ca2Nb3-xTaxO10-(x = 0
10 10
(a) 발열 특성을 나타내는 전도성 네트워크가 내장된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b) 2차원 판상 구조를 가지는 금속산화물 나노시트를 제조하는 단계;(c)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상단에 상기 금속산화물 나노시트를 코팅하는 단계; 및(d) 광소결 공정을 통해 상기 금속산화물 나노시트의 표면에 다수의 나노기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2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시트 가스 감지 물질 제조방법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a) 단계에서, 5% 내지 40%의 상기 전도성 네트워크가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에 노출되고 나머지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내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시트 가스 감지 물질 제조방법
12 12
제10항에 있어서,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금속산화물 나노시트는 물리적인 방법 또는 화학적인 방법으로 단일 원자층 또는 다층의 나노시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시트 가스 감지 물질 제조방법
13 13
제10항에 있어서,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금속산화물 나노시트는 0
14 14
제10항에 있어서,상기 (c) 단계에서, 스핀 코팅 (spin coating), 스프레이 코팅 (spray coating), 레이어 바이 레이어 코팅 (layer-by-layer coating), 드랍 코팅 (drop coating), 스크린 프린팅 (screen printing) 셀프 어셈플리를 이용한 코팅 (self-assembly coating)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상단에 상기 금속산화물 나노시트를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시트 가스 감지 물질 제조방법
15 15
제10항에 있어서,상기 (c) 단계 이전에,상기 금속산화물 나노시트에 상기 금속산화물 나노시트의 전기적인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전극을 패터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2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시트 가스 감지 물질 제조방법
16 16
제10항에 있어서,상기 (d) 단계에서의 상기 광소결 공정은 인가전압이 150 V 내지 450 V, 광원 에너지가 0
17 17
제10항에 있어서,상기 (d) 단계에서의 상기 광소결 공정은 광원의 파장이 200 ㎚ 내지 1100 ㎚의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시트 가스 감지 물질 제조방법
18 18
제10항에 있어서,상기 (d) 단계에서의 상기 광소결 공정은 제논 (xenon) 램프, 할로겐 램프, 수은 증기 램프, 레이저 중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시트 가스 감지 물질 제조방법
19 19
제10항에 있어서,상기 (a) 단계 내지 상기 (d) 단계를 통해 제조된 2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시트 가스 감지 물질은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발열 특성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환경 유해가스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소재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시트 가스 감지 물질 제조방법
20 20
제10항에 있어서,상기 (a) 단계 내지 상기 (d) 단계를 통해 제조된 2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시트 가스 감지 물질은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센서 소재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시트 가스 감지 물질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한국과학기술원 산업기술혁신사업 (RCMS)주변 환경 유해인자 기체 감지 및 필터링 복합기능 스마트센서 개발(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