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무세포 단백질 합성 시스템을 이용한 아미노산의 정량 방법

  • 기술번호 : KST2019000565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무세포 단백질 합성 시스템을 이용한 아미노산의 정량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a) 목적 아미노산이 포함되지 않은 무세포 단백질 합성 반응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무세포 단백질 합성 반응 혼합물에 목적 아미노산이 포함된 분석 시료를 혼합하여 무세포 단백질 합성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합성된 단백질의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측정된 신호의 세기를 표준 시료를 이용하여 제작한, 단백질의 신호에 따른 각 아미노산에 대한 표준 농도 곡선과 비교하여 목적 아미노산의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미노산의 정량 방법, 상기 정량 방법을 이용하는 아미노산 대사 관련 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아미노산 대사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및 트랜스아미나제 기질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산의 정량 방법은 저렴한 비용으로 짧은 시간에 아미노산을 정량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산업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Int. CL G01N 33/68 (2006.01.01) C12P 21/00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80085988 (2018.07.24)
출원인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9-0011223 (2019.02.0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70093657   |   2017.07.24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8.07.24)
심사청구항수 2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동명 대전광역시 서구
2 유태현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3 이경호 대전광역시 유성구
4 장연재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한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 *층(문정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8.07.24 수리 (Accepted) 1-1-2018-0731242-13
2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8.12.27 수리 (Accepted) 1-1-2018-1312055-33
3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9.07.2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542167-89
4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9.09.27 수리 (Accepted) 1-1-2019-0992269-78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9.09.27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9-0992270-14
6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20.02.1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102787-9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a) 목적 아미노산이 포함되지 않은 무세포 단백질 합성 반응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b) 상기 무세포 단백질 합성 반응 혼합물에 목적 아미노산이 포함된 분석 시료를 혼합하여 무세포 단백질 합성을 수행하는 단계;(c) 상기 합성된 단백질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d) 상기 측정된 신호의 세기를 표준 시료를 이용하여 제작한, 단백질의 신호에 따른 각 아미노산에 대한 표준 농도 곡선과 비교하여 목적 아미노산의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미노산의 정량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아미노산은 아르기닌(arginine), 이소류신(isoleucine), 류신(leucine), 리신(lysine), 메티오닌(methion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타이로신(tyrosine), 발린(valine), 알라닌(alanine), 시스테인(cysteine), 세린(serine), 글라이신(glycine), 히스티딘(histidine), 트레오닌(threonine), 프롤린(proline), 트립토판(tryptophan),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아스파라긴(asparagine), 글루탐산(glutamic acid) 및 글루타민(glutam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세포 단백질 합성 반응 혼합물은 세포 추출물 또는 재조합 단백질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추출물은 대장균, 밀배아(Wheat germ), 토끼 망상적혈구(Rabbit reticulocyte), 효모, 중국 햄스터 난소세포(Chinese Hamster Ovary cell) 또는 헬라 세포(HeLa cell) 추출물인 것인, 방법
5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단백질은 개시 인자, 신장 인자, 방출 인자, 종결 인자, 아미노아실-tRNA 합성효소(aminoacyl-tRNA synthetases), 메티오닐-tRNA 포르밀기전달효소(methionyl-tRNA transformylase), RNA 중합효소(RNA polymerase) 및 리보솜(ribosome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세포 단백질 합성 반응 혼합물은 리포터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터 단백질은 sfGFP(superfolder green fluorescence protein), GFP(Green fluorescent protein), YFP(Yellow fluorescent protein), RFP(Red fluorescent protein), mCherry 형광 단백질, 락타마아제(lactamase), 갈락토시다아제(galactosidase), HRP(Horseradish peroxidase) 또는 글루코스 옥시다아제(glucose oxidase)인 것인, 방법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시료는 사료, 식품 또는 화학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서 유래된 것인 것인, 방법
9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시료는 생물로부터 분리된 것인, 방법
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시료는 혈액, 혈장, 혈청, 암조직 및 암세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방법
11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시료는 열처리 및 여과된 것인, 방법
12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시료는 아미노산 대사 관련 질환을 가진 환자로부터 분리된 것인, 방법
13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대사 관련 질환은 아미노산 대사 이상 질환 또는 암인 것인, 방법
14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대사 이상 질환은 아르기닌 분해효소 결핍증(arginase deficiency), 시스틴뇨증(cystinuria), 단풍당밀뇨증(maple syrup urine disease), 고라이신혈증(hyperlysinemia), 호모시스틴뇨증(homocystinuria), 고메티오닌혈증(hypermethioninemia) 및 페닐케톤뇨증(phenylketonuri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방법
15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10 nM 내지 150 μM 농도의 아미노산을 정량하는 것인, 방법
16 16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정량한 아미노산의 농도를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대사 관련 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17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대사 관련 질환은 아미노산 대사 이상 질환 또는 암인 것인, 방법
18 18
(a) 생물로부터 분리된 분석 시료에 아미노산 대사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후보물질을 처리하는 단계;(b)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상기 후보물질이 처리된 분석 시료에 포함된 목적 아미노산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c) 상기 단계 (b)의 아미노산 농도를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대사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19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대사 관련 질환은 아미노산 대사 이상 질환 또는 암인 것인, 방법
20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대사 이상 질환은 아르기닌 분해효소 결핍증, 시스틴뇨증, 단풍당밀뇨증, 고라이신혈증, 호모시스틴뇨증, 고메티오닌혈증 및 페닐케톤뇨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방법
21 21
(a) 후보 아민제공기질 및 아민수용기질의 혼합물에 트랜스아미나제를 반응시키는 단계;(b) 상기 반응 후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아미노산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c) 상기 단계 (b)의 아미노산 농도를 대조군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랜스아미나제 기질의 스크리닝 방법
22 22
삭제
23 23
(a) 아민제공기질 및 아민수용기질의 혼합물에 후보 효소를 반응시키는 단계;(b) 상기 반응 후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아미노산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c) 상기 단계 (b)의 아미노산 농도를 대조군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랜스아미나제의 스크리닝 방법
24 24
삭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19022467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19022467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충남대학교 거대과학연구개발사업 유용물질 생합성 해양미세조류 대사경로의 고속탐색 및 엔지니어링을 위한 무세포 합성 생물학 플랫폼 개발
2 미래창조과학부 충남대학교 원천기술개발사업 C1 가스와 부산물 이용 효소 및 시스템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