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차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기술번호 : KST2019000912
  • 담당센터 : 대구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3-550-145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차량 시스템은 제 1 토큰을 생성하고, 제 1 토큰을 제 1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 제 1 토큰을 저장하는 제 1 단말, 제 1 토큰에 대해 미리 저장된 제 1 암호키 및 제 1 인증키를 이용하여 제 1 단말에 저장된 제 1 토큰을 검증하는 차량, 및 제 1 단말과 상이한 제 2 단말을 포함하되, 제 1 단말은 제 2 단말에 권한을 위임하기 위해, 제 2 토큰을 생성하고, 제 1 토큰과 제 2 토큰을 제 2 단말에 전송하고, 제 2 단말은 제 1 토큰과 제 2 토큰을 저장하고, 차량은 제 1 암호키 및 제 1 인증키를 이용하여 제 2 단말에 저장된 제 1 토큰을 검증하고, 제 2 토큰에 대해 미리 저장된 제 2 암호키 및 제 2 인증키를 이용하여 제 2 단말에 저장된 제 2 토큰을 검증한다.
Int. CL B60R 25/24 (2013.01.01) B60R 25/102 (2013.01.01) G06Q 50/30 (2012.01.01) H04L 9/32 (2006.01.01) H04L 9/08 (2006.01.01) H04L 9/14 (2006.01.01)
CPC B60R 25/24(2013.01) B60R 25/24(2013.01) B60R 25/24(2013.01) B60R 25/24(2013.01) B60R 25/24(2013.01) B60R 25/2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70091246 (2017.07.19)
출원인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9-0009474 (2019.01.2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7.16)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진규환 대한민국 경기도 광명시 오리로 *** (하
2 김민경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3 오영섭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4 박찬익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5 신재복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세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 **층, **층(서초동, 태우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7.07.19 수리 (Accepted) 1-1-2017-0689948-62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09.18 수리 (Accepted) 4-1-2017-5150878-54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09.04 수리 (Accepted) 4-1-2018-5179063-18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7.25 수리 (Accepted) 4-1-2019-5148973-60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7.26 수리 (Accepted) 4-1-2019-5150191-76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1.20 수리 (Accepted) 4-1-2019-5243581-27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1.22 수리 (Accepted) 4-1-2019-5245997-53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1.25 수리 (Accepted) 4-1-2019-5247115-68
9 [심사청구]심사청구서·우선심사신청서
2020.07.16 수리 (Accepted) 1-1-2020-0739745-0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제 1 토큰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토큰을 제 1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상기 제 1 토큰을 저장하는 제 1 단말;상기 제 1 토큰에 대해 미리 저장된 제 1 암호키 및 제 1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단말에 저장된 제 1 토큰을 검증하는 차량; 및 상기 제 1 단말과 상이한 제 2 단말을 포함하되,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제 2 단말에 권한을 위임하기 위해, 제 2 토큰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토큰과 상기 제 2 토큰을 상기 제 2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제 1 토큰과 상기 제 2 토큰을 저장하고,상기 차량은 상기 제 1 암호키 및 제 1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단말에 저장된 제 1 토큰을 검증하고, 상기 제 2 토큰에 대해 미리 저장된 제 2 암호키 및 제 2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단말에 저장된 제 2 토큰을 검증하는 차량 시스템
2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서버는 상기 제 1 암호키 및 상기 제 1 인증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1 암호키와 제 1 인증키를 상기 차량에 전송하고,상기 차량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 1 암호키와 제 1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단말에 저장된 제 1 토큰을 검증하는 차량 시스템
3 3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제 2 암호키 및 상기 제 2 인증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2 암호키와 제 2 인증키를 상기 차량에 전송하고,상기 차량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 1 암호키와 제 1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단말에 저장된 제 1 토큰을 검증하고,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 2 암호키와 제 2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단말에 저장된 제 2 토큰을 검증하는 차량 시스템
4 4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서버와 상기 차량은 각각 상기 제 1 암호키 및 상기 제 1 인증키를 생성하고,상기 차량은 생성된 제 1 암호키와 제 1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단말에 저장된 제 1 토큰을 검증하는 차량 시스템
5 5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서버는 상기 제 1 단말의 공개키 및 상기 서버의 공개키에 기초하여 제 1 보안키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보안키와 상기 제 1 토큰을 상기 제 1 단말에 전송하고,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제 1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단말의 아이디를 암호화하고, 암호화 결과로서 생성된 제 1 검증키를 저장하며,상기 차량은 상기 제 1 단말에 저장된 제 1 검증키, 상기 차량에 미리 저장된 제 1 암호키, 및 상기 차량에 미리 저장된 상기 제 1 인증키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단말에 저장된 제 1 토큰을 검증하는 차량 시스템
6 6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제 1 단말의 공개키 및 상기 차량의 공개키에 기초하여 제 2 보안키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보안키와 상기 제 1 토큰과 상기 제 2 토큰을 상기 제 2 단말에 전송하고,상기 제 2 보안키는 상기 제 2 인증키이고,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제 2 보안키를 이용하여 제 2 단말의 아이디를 암호화하고, 암호화 결과로서 생성된 제 2 검증키를 저장하며,상기 차량은 상기 미리 저장된 제 2 암호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단말에 저장된 제 2 토큰을 복호화하고, 상기 제 2 토큰의 복호화 결과로서 도출된 제 2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검증키를 검증함으로써 상기 제 2 토큰을 검증하는 차량 시스템
7 7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차량은 상기 미리 저장된 제 1 암호키 및 제 1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단말에 저장된 제 1 토큰을 검증하는 차량 시스템
8 8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서버는 상기 제 1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단말의 아이디, 상기 제 1 보안키, 및 상기 제 1 단말의 권한값을 암호화하고, 암호화 결과로서 제 1 인증 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제 1 암호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단말의 아이디, 상기 제 1 보안키, 상기 제 1 단말의 권한값, 및 상기 제 1 인증 코드를 암호화하고, 암호화 결과로서 제 1 토큰을 생성하는 차량 시스템
9 9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제 1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단말의 아이디, 상기 제 2 보안키, 상기 제 2 단말의 권한값을 암호화하고, 암호화 결과로서 제 2 인증 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제 2 암호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단말의 아이디, 상기 제 2 보안키, 상기 제 2 단말의 권한값, 및 상기 제 2 인증 코드를 암호화하고, 암호화 결과로서 제 2 토큰을 생성하는 차량 시스템
10 10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제 2 단말의 위임 철회 요청 메시지를 상기 차량에 전송하고,상기 차량은 상기 위임 철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 2 단말과 관련된 정보를 삭제하는 차량 시스템
11 11
서버가 제 1 토큰을 생성하는 단계;상기 서버가 상기 제 1 토큰을 제 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제 1 단말과 상이한 제 2 단말에 권한을 위임하기 위해, 제 2 토큰을 생성하는 단계;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제 1 토큰과 상기 제 2 토큰을 상기 제 2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상기 제 2 단말이 상기 제 1 토큰과 상기 제 2 토큰을 저장하는 단계; 및차량이 미리 저장된 제 1 암호키 및 제 1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단말에 저장된 제 1 토큰을 검증하고, 상기 제 2 토큰에 대해 미리 저장된 제 2 암호키 및 제 2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단말에 저장된 제 2 토큰을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12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서버가 제 1 토큰을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상기 서버가 상기 제 1 암호키 및 제 1 인증키를 생성하는 단계; 및상기 서버가 생성된 제 1 암호키 및 제 1 인증키를 상기 차량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상기 제 1 토큰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제 1 암호키 및 제 1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단말에 저장된 제 1 토큰을 검증하는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13 13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제 1 토큰과 상기 제 2 토큰을 상기 제 2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제 2 암호키 및 제 2 인증키를 생성하는 단계; 및상기 제 1 단말이 생성된 제 2 암호키 및 제 2 인증키를 상기 차량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상기 제 2 토큰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 2 암호키 및 제 2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단말에 저장된 제 2 토큰을 검증하는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14 14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서버가 제 1 토큰을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상기 서버와 상기 차량이 각각 상기 제 1 암호키 및 제 1 인증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상기 제 1 토큰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제 1 암호키 및 제 1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단말에 저장된 제 1 토큰을 검증하는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15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서버가 제 1 토큰을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상기 서버가 상기 제 1 단말의 공개키 및 상기 서버의 공개키에 기초하여 제 1 보안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상기 서버가 상기 제 1 토큰을 제 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제 1 보안키와 상기 제 1 토큰을 상기 제 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토큰을 검증하고 상기 제 2 토큰을 검증하는 단계 이전에,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제 1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단말의 아이디를 암호화하고, 암호화 결과로서 생성된 제 1 검증키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 1 토큰을 검증하고 상기 제 2 토큰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상기 제 1 단말에 저장된 제 1 검증키, 상기 차량에 미리 저장된 제 1 암호키, 및 상기 차량에 미리 저장된 상기 제 1 인증키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단말에 저장된 제 1 토큰을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16 16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제 1 토큰과 상기 제 2 토큰을 상기 제 2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의 공개키 및 상기 차량의 공개키에 기초하여 제 2 보안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보안키와 상기 제 1 토큰과 상기 제 2 토큰을 상기 제 2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제 2 보안키는 상기 제 2 인증키이고,상기 제 2 단말이 상기 제 1 토큰과 상기 제 2 토큰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단말이 상기 제 2 보안키를 이용하여 제 2 단말의 아이디를 암호화하고, 암호화 결과로서 생성된 제 2 검증키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제 1 토큰을 검증하고 상기 제 2 토큰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상기 미리 저장된 제 2 암호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단말에 저장된 제 2 토큰을 복호화하고, 상기 제 2 토큰의 복호화 결과로서 도출된 제 2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검증키를 검증함으로써 상기 제 2 토큰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17 17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단말에 저장된 제 1 토큰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저장된 제 1 암호키 및 제 1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단말에 저장된 제 1 토큰을 검증하는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18 18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서버가 제 1 토큰을 생성하는 단계는,상기 서버가 상기 제 1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단말의 아이디, 상기 제 1 보안키, 및 상기 제 1 단말의 권한값을 암호화하고, 암호화 결과로서 제 1 인증 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제 1 암호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단말의 아이디, 상기 제 1 보안키, 상기 제 1 단말의 권한값, 및 상기 제 1 인증 코드를 암호화하고, 암호화 결과로서 제 1 토큰을 생성하는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19 19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보안키를 생성하는 단계는,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제 1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단말의 아이디, 상기 제 2 보안키, 상기 제 2 단말의 권한값을 암호화하고, 암호화 결과로서 제 2 인증 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제 2 암호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단말의 아이디, 상기 제 2 보안키, 상기 제 2 단말의 권한값, 및 상기 제 2 인증 코드를 암호화하고, 암호화 결과로서 제 2 토큰을 생성하는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20 20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제 2 단말의 위임 철회 요청 메시지를 상기 차량에 전송하는 단계; 및상기 차량이 상기 위임 철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 2 단말과 관련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CN109286649 CN 중국 FAMILY
2 US10630651 US 미국 FAMILY
3 US20190028443 US 미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CN109286649 CN 중국 DOCDBFAMILY
2 DE102017222833 DE 독일 DOCDBFAMILY
3 US10630651 US 미국 DOCDBFAMILY
4 US2019028443 US 미국 DOCDBFAMILY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