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에지 서버,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동통신망의 베어러 관리 방법

  • 기술번호 : KST2019005985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이동통신망에서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지 서버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또는 S-GW(Serving Gateway)와 송수신되는 제어 메시지를 처리하는 GTP-C 처리부,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패킷이 포함된 제1GTP-U 패킷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 패킷에 대응하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패킷에 대한 에지 컴퓨팅 서비스 처리를 수행하는 서비스 처리부, 및 상기 제1GTP-U 패킷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제1GTP-U 패킷으로부터 상기 제1GTP 헤더를 제거하여 상기 서비스 처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서비스 처리부에 의해 에지 컴퓨팅 서비스 처리된 서비스 패킷에 제2GTP 헤더를 결합하여 제2GTP-U 패킷을 생성하며, 상기 제2GTP-U 패킷을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S-GW로 전달하는 GTP-U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t. CL H04W 28/02 (2009.01.01) H04W 28/06 (2009.01.01) H04W 76/10 (2018.01.01) H04W 8/26 (2009.01.01) H04W 88/18 (2019.01.01)
CPC H04W 28/0252(2013.01) H04W 28/0252(2013.01) H04W 28/0252(2013.01) H04W 28/0252(2013.01) H04W 28/025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70155932 (2017.11.21)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9-0058763 (2019.05.3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오현주 대한민국 대전시 서구
2 김성경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3 나지현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팬코리아특허법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길 **, 역삼***빌딩 (역삼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7.11.21 수리 (Accepted) 1-1-2017-1160917-7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이동통신망에서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지 서버에 있어서,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또는 S-GW(Serving Gateway)와 송수신되는 제어 메시지를 처리하는 GTP-C 처리부,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패킷이 포함된 제1GTP-U 패킷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 패킷에 대응하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패킷에 대한 에지 컴퓨팅 서비스 처리를 수행하는 서비스 처리부, 및상기 제1GTP-U 패킷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제1GTP-U 패킷으로부터 상기 제1GTP 헤더를 제거하여 상기 서비스 처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서비스 처리부에 의해 에지 컴퓨팅 서비스 처리된 서비스 패킷에 제2GTP 헤더를 결합하여 제2GTP-U 패킷을 생성하며, 상기 제2GTP-U 패킷을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S-GW로 전달하는 GTP-U 처리부를 포함하는 에지 서버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TP-U 처리부는, 상기 제1GTP 헤더에 포함된 TEID(Tunnel Endpoint Identifier)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EPS(Evolved Packet System) 베어러 ID를 획득하며,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EPS 베어러 ID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패킷에 대응하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 특성을 획득하는 에지 서버
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GTP-U 처리부는, 상기 TEID를 이용하여 기 저장된 EPS 베어러 컨텍스트를 검색하여 상기 EPS 베어러 ID를 획득하는 에지 서버
4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GTP-U 처리부는, 상기 EPS 베어러 ID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상기 S-GW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2GTP 패킷의 목적지로 선택하는 에지 서버
5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GTP-U 처리부는, 상기 목적지에 따라 서로 다른 TEID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GTP 헤더를 생성하는 에지 서버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서버는, 제1 S1 베어러를 통해 상기 기지국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트래픽을 송수신하고, 제2 S1 베어러를 통해 상기 S-GW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트래픽을 송수신하며, 상기 제1 및 제2 S1 베어러는 GTP 제어 평면에서의 제어 메시지를 통해 구성되는 에지 서버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GTP-C 처리부는, 상기 제1 및 제2 S1 베어러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MME 또는 상기 S-GW와 GTP-C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어 메시지를 처리하는 에지 서버
8 8
이동통신망에서의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에지 서버가 기지국으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패킷이 포함된 제1GTP-U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에지 서버가 상기 제1GTP-U 패킷에 포함된 제1GTP 헤더로부터 TEID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에지 서버가 상기 TEID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EPS 베어러 ID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에지 서버가 상기 EPS 베어러 ID를 이용하여, 서비스 패킷에 대한 에지 컴퓨팅 서비스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에지 서버가 상기 에지 컴퓨팅 서비스 처리된 서비스 패킷에 제2GTP 헤더를 결합하여 제2GTP-U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상기 에지 서버가 상기 제2GTP-U 패킷을 상기 기지국 또는 S-GW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EPS 베어러 ID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TEID를 이용하여 기 저장된 EPS 베어러 컨텍스트를 검색하여 상기 EPS 베어러 ID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
10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패킷에 대한 에지 컴퓨팅 서비스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상기 에지 서버가 상기 EPS 베어러 ID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패킷에 대응하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 특성을 획득하는 단계, 및상기 에지 서버가 상기 에지 컴퓨팅 서비스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패킷에 대한 에지 컴퓨팅 서비스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
11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서버가 상기 EPS 베어러 ID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상기 S-GW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2GTP 패킷의 목적지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GTP-U 패킷을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S-GW로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목적지에 따라 상기 제2GTP-U 패킷을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S-GW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
12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서버가 상기 목적지에 따라 서로 다른 TEID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GTP 헤더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
13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서버가, GTP 제어 평면에서의 제어 메시지를 통해 상기 기지국과 상기 에지 서버 사이의 제1 S1 베어러, 및 상기 에지 서버와 상기 S-GW 사이의 제2 S1 베어러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
14 14
이동통신망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에지 서버에서 제1하향링크 S1 TEID를 S-GW로 전송하여, 상기 에지 서버와 S-GW 사이의 제1하향링크 S1 베어러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S-GW에서 제1상향링크 S1 TEID를 상기 에지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에지 서버와 S-GW 사이의 제1상향링크 S1 베어러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에지 서버가 제2상향링크 S1 TEID를 MME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MME가 기지국으로 상기 제2상향링크 S1 TEID를 전달하여, 상기 에지 서버와 상기 기지국 사이의 제2상향링크 S1 베어러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제2하향링크 S1 TEID를 상기 MME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MME가 상기 제2하향링크 S1 TEID를 상기 에지 서버로 전달하여, 상기 에지 서버와 상기 기지국 사이의 제2하향링크 S1 베어러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어러 관리 방법
15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MME와 기지국 사이, 및 상기 에지 서버와 상기 S-GW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상기 제1 및 제2하향링크 S1 TEID, 및 상기 제1 및 제2상향링크 S1 TEID는, GTP 제어 평면에서의 제어 메시지를 통해 송수신되는 베어러 관리 방법
16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기지국과 상기 MME 사이의 S1 시그널링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NAS 보안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MME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EPS 베어러 아이디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베어러 관리 방법
17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향링크 S1 베어러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에지 서버에서 상기 MME로부터 상기 EPS 베어러 아이디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하향링크 S1 TEID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어러 관리 방법
18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S-GW에서 제1 S5 TEID를 P-GW(Packet data Gateway)로 전송하여, 상기 S-GW와 상기 P-GW 사이의 하향링크 S5 베어러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P-GW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IP를 할당하는 단계, 및상기 P-GW에서 제2 S5 TEID를 상기 S-GW에 전송하여, 상기 P-GW와 상기 S-GW 사이의 상향링크 S5 베어러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베어러 관리 방법
19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향링크 S1 베어러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S-GW에서 상기 P-GW로부터 상기 제2 S5 TEID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상향링크 S1 TEID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어러 관리 방법
20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AS 보안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계, 및데이터 무선 베어러의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2하향링크 S1 TEID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베어러 관리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통신산업기술개발 (통합)초연결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5G 이동통신 핵심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