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전기화학적 활성을 갖는 나노물질

  • 기술번호 : KST2019014722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전기화학적 활성을 갖는 나노물질에 관한 것으로, 나노물질에 전자전달 산화-환원 매개체가 도입되고, 또한 상기 나노물질 표면에는 다공성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적 활성을 갖는 나노물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기화학적 활성을 갖는 나노물질은 수용액 상에 현탁된 상태로 장기간 보관 시 응집 및 침전이 생기지 않고 안정성을 나타내며 이에 따라 충분히 분산 되어있는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나노물질의 크기, 형태, 표면 기공성, 대전성, 전기화학적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서 최적의 나노물질을 제공할 수 있다.
Int. CL B82B 3/00 (2017.01.01) C01B 33/18 (2006.01.01) B82Y 30/00 (2017.01.01) B82Y 15/00 (2017.01.01)
CPC B82B 3/0033(2013.01) B82B 3/0033(2013.01) B82B 3/0033(2013.01) B82B 3/0033(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80007040 (2018.01.19)
출원인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9-0088674 (2019.07.2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8.01.19)
심사청구항수 1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노원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신재호 서울특별시 도봉구
2 신상경 서울특별시 노원구
3 권기학 서울특별시 강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티앤아이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 A동 ****호(문정동, 엠스테이트)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주식회사 아이코어바이오 서울특별시 노원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8.01.19 수리 (Accepted) 1-1-2018-0066279-70
2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8.01.26 수리 (Accepted) 1-1-2018-0092374-64
3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9.04.0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258425-24
4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9.06.10 수리 (Accepted) 1-1-2019-0587938-15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9.06.10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9-0587939-61
6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19.09.2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679432-52
7 [법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2019.10.18 수리 (Accepted) 1-1-2019-1063879-08
8 법정기간연장승인서
2019.10.1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9-0166708-17
9 면담 결과 기록서
2019.11.0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19-0122389-46
10 [명세서등 보정]보정서(재심사)
Amendment to Description, etc(Reexamination)
2019.11.13 보정승인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9-1165187-81
11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9.11.13 수리 (Accepted) 1-1-2019-1165186-35
12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9.11.2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843923-16
13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20.01.21 수리 (Accepted) 1-1-2020-0070625-73
14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0.01.21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0-0070626-18
15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2020.03.2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218832-91
16 [명세서등 보정]보정서(심사관 직권보정)
2020.05.19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0-5011668-4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나노물질에 전자전달 산화-환원 매개체가 도입되고, 또한 상기 나노물질 표면에는 다공성 구조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다공성 구조는 산-추출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자전달 산화-환원 매개체가 도입된 나노물질은 수용액 내에서 분산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나노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표지 방식의 센서
2 2
제 1 항에서,상기 전자전달 산화-환원 매개체는 나노물질의 겉표면 또는 나노물질 내에 도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표지 방식의 센서
3 3
제 1 항에서,상기 전자전달 산화-환원 매개체가 도입된 나노물질은 대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표지 방식의 센서
4 4
제 1 항에서,상기 나노물질은 실리카(Si), 은(Ag), 금(Au), 백금 (Pt), 구리(Cu), 주석(Sn), 철(Fe), 니켈(Ni), 루테늄(Ru), 타이타늄(Ti), 탄탈럼(Ta), 니오비움(Nb), 하프늄(Hf), 텅스텐(W), 이트륨(Y), 아연(Zn), 지르코늄(Zr), 알루미늄(Al), 란타넘(La), 세슘(Ce), 프라세오디뮴(Pr), 네오디뮴(Nd), 사마륨(Sm), 안티모니(Sb), 비스무트(Bi), 납(Pb), 탈륨(Tl), 인듐(In), 텔루륨(Te), 크롬(Cr), 바나듐(V), 망간(Mn), 몰리브데넘(Mo), 코발트(Co), 로듐(Rh), 팔라듐(Pd), 오스뮴(Os), 레륨(Re), 이리듐(Ir) 및 이들의 산화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표지 방식의 센서
5 5
제 1 항에서,상기 나노물질에 도입되는 전자전달 산화-환원 매개체는 페로센(ferrocene), 페로센 유도체(ferrocene derivatives), 퀴논(quinones), 퀴논 유도체(quinone derivatives), 루세늄 아민 복합체(ruthenium ammine complexes), 오스뮴(II), 오스뮴(III), 오스뮴(IV) 복합체 (osmium complex), 메탈로센(metallocene), 메탈로센 유도체(metallocene derivatives), 포타슘헥사시아노페레이트(II)(Potassium hexa-cyanoferrate (II)), 멜돌라 블루(Melola's blue), 프루시안 블루(Prussian blue), 디클로로페놀인도피놀(dichlorophenolindophenol(DCPIP)), o-페닐렌다이아민(o-phenylenediamine(o-PDA), 3,4-디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3,4-hydroxybenzaldehyde(3,4-DHB)), 비오로겐(viologen), 7,7,8,8-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7,7,8,8-tetracyanoquinodimethane(TCNQ)), 테트라티아풀발렌(tetrathiafulvalene(TTF)), N-메틸아시디니움(N-methylacidinium(NMA+)), 테트라티아테트라센(tetrathiatetracene(TTT)), N-메틸페나지니움(N-methylphenazinium(NMP+)), 3-메틸-2-벤조티오조리논히드라존(3-methyl-2-benzothiozolinonehydrazone), 2-메톡시-4-아릴페놀(2-methoxy-4-allylphenol), 4-아미노안티피린(4-aminoantipyrin (AAP)), 디메틸아닐린(dimethylaniline), 4-아미노안티피렌(4-aminoantipyrene), 4-메톡시 나프톨 (4-methylnaphthol), 3,3',5,5'-테트라메틸벤지딘(3,3',5,5-tetramethylbenzidine(TMB)), 2,2-아지노-디-[3-에틸-벤즈티아졸린술포네이트] (2,2-azinodi-[3-ethylbenzthiazolinesulfonate]), o-디아지니딘(odianisidine), o-톨루이딘 (o-toluidine), 2,4-디클로로페놀(2,4-dichlorophenol), 4-아미노페나존(4-aminophenazone), 벤지딘(benzidine)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표지 방식의 센서
6 6
제 1 항에서,상기 전자전달 산화-환원 매개체가 도입된 나노물질은 음전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표지 방식의 센서
7 7
제 1 항에서,상기 전자전달 산화-환원 매개체가 도입된 나노물질은 입자 표면에 도입된 1,3-프로페인술톤(1,3-propanesultone)의 개환 반응에 의해 음전하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표지 방식의 센서
8 8
제 1 항에서,상기 전자전달 산화-환원 매개체가 도입된 나노물질은 5 내지 3000 nm 범위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표지 방식의 센서
9 9
제 1 항에서,상기 전자전달 산화-환원 매개체가 도입된 나노물질은 500 ~ 1500 m2/g 범위의 비표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표지 방식의 센서
10 10
제 1 항에서,상기 전자전달 산화-환원 매개체가 도입된 나노물질은 표면의 제타 포텐셜(Zeta-potential)이 적어도 -40 m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표지 방식의 센서
11 11
제 1 항에서,상기 나노물질은 나노입자, 나노파이버, 나노와이어, 나노로드, 나노튜브 또는 나노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표지 방식의 센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천기술개발사업-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차세대의료기기플랫폼기술 알레르기 비염 진단을 위한 비침습성, 고감도 바이오센서의 개발
2 미래창조과학부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천기술개발사업-신시장창조 차세대의료기기개발사업- 신시장창조 차세대의료기기개발사업 생체적합성이 향상된 Continuous Interstitial Glucose Monitoring 센서의 개발
3 교육부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리서치펠로우 재생의학용 바이오패치 개발을 위한 생분해성 산화질소 저장/전달 수화젤 및 나노구조체의 합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