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나노물질에 전자전달 산화-환원 매개체가 도입되고, 또한 상기 나노물질 표면에는 다공성 구조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다공성 구조는 산-추출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자전달 산화-환원 매개체가 도입된 나노물질은 수용액 내에서 분산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나노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표지 방식의 센서
|
2 |
2
제 1 항에서,상기 전자전달 산화-환원 매개체는 나노물질의 겉표면 또는 나노물질 내에 도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표지 방식의 센서
|
3 |
3
제 1 항에서,상기 전자전달 산화-환원 매개체가 도입된 나노물질은 대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표지 방식의 센서
|
4 |
4
제 1 항에서,상기 나노물질은 실리카(Si), 은(Ag), 금(Au), 백금 (Pt), 구리(Cu), 주석(Sn), 철(Fe), 니켈(Ni), 루테늄(Ru), 타이타늄(Ti), 탄탈럼(Ta), 니오비움(Nb), 하프늄(Hf), 텅스텐(W), 이트륨(Y), 아연(Zn), 지르코늄(Zr), 알루미늄(Al), 란타넘(La), 세슘(Ce), 프라세오디뮴(Pr), 네오디뮴(Nd), 사마륨(Sm), 안티모니(Sb), 비스무트(Bi), 납(Pb), 탈륨(Tl), 인듐(In), 텔루륨(Te), 크롬(Cr), 바나듐(V), 망간(Mn), 몰리브데넘(Mo), 코발트(Co), 로듐(Rh), 팔라듐(Pd), 오스뮴(Os), 레륨(Re), 이리듐(Ir) 및 이들의 산화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표지 방식의 센서
|
5 |
5
제 1 항에서,상기 나노물질에 도입되는 전자전달 산화-환원 매개체는 페로센(ferrocene), 페로센 유도체(ferrocene derivatives), 퀴논(quinones), 퀴논 유도체(quinone derivatives), 루세늄 아민 복합체(ruthenium ammine complexes), 오스뮴(II), 오스뮴(III), 오스뮴(IV) 복합체 (osmium complex), 메탈로센(metallocene), 메탈로센 유도체(metallocene derivatives), 포타슘헥사시아노페레이트(II)(Potassium hexa-cyanoferrate (II)), 멜돌라 블루(Melola's blue), 프루시안 블루(Prussian blue), 디클로로페놀인도피놀(dichlorophenolindophenol(DCPIP)), o-페닐렌다이아민(o-phenylenediamine(o-PDA), 3,4-디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3,4-hydroxybenzaldehyde(3,4-DHB)), 비오로겐(viologen), 7,7,8,8-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7,7,8,8-tetracyanoquinodimethane(TCNQ)), 테트라티아풀발렌(tetrathiafulvalene(TTF)), N-메틸아시디니움(N-methylacidinium(NMA+)), 테트라티아테트라센(tetrathiatetracene(TTT)), N-메틸페나지니움(N-methylphenazinium(NMP+)), 3-메틸-2-벤조티오조리논히드라존(3-methyl-2-benzothiozolinonehydrazone), 2-메톡시-4-아릴페놀(2-methoxy-4-allylphenol), 4-아미노안티피린(4-aminoantipyrin (AAP)), 디메틸아닐린(dimethylaniline), 4-아미노안티피렌(4-aminoantipyrene), 4-메톡시 나프톨 (4-methylnaphthol), 3,3',5,5'-테트라메틸벤지딘(3,3',5,5-tetramethylbenzidine(TMB)), 2,2-아지노-디-[3-에틸-벤즈티아졸린술포네이트] (2,2-azinodi-[3-ethylbenzthiazolinesulfonate]), o-디아지니딘(odianisidine), o-톨루이딘 (o-toluidine), 2,4-디클로로페놀(2,4-dichlorophenol), 4-아미노페나존(4-aminophenazone), 벤지딘(benzidine)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표지 방식의 센서
|
6 |
6
제 1 항에서,상기 전자전달 산화-환원 매개체가 도입된 나노물질은 음전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표지 방식의 센서
|
7 |
7
제 1 항에서,상기 전자전달 산화-환원 매개체가 도입된 나노물질은 입자 표면에 도입된 1,3-프로페인술톤(1,3-propanesultone)의 개환 반응에 의해 음전하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표지 방식의 센서
|
8 |
8
제 1 항에서,상기 전자전달 산화-환원 매개체가 도입된 나노물질은 5 내지 3000 nm 범위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표지 방식의 센서
|
9 |
9
제 1 항에서,상기 전자전달 산화-환원 매개체가 도입된 나노물질은 500 ~ 1500 m2/g 범위의 비표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표지 방식의 센서
|
10 |
10
제 1 항에서,상기 전자전달 산화-환원 매개체가 도입된 나노물질은 표면의 제타 포텐셜(Zeta-potential)이 적어도 -40 m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표지 방식의 센서
|
11 |
11
제 1 항에서,상기 나노물질은 나노입자, 나노파이버, 나노와이어, 나노로드, 나노튜브 또는 나노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표지 방식의 센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