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및 용변 감지 장치

  • 기술번호 : KST2019021822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방수커버, 상기 방수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는 흡수층 및 상기 흡수층의 내측에 위치하는 안감층을 포함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안감층은 인체와 접촉하는 내측면에 서로 분리 배열되는 복수의 전도성 감지선을 포함하고, 용변과 접촉 시에 상기 전도성 감지선 간의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를 개시한다.
Int. CL A61F 13/42 (2006.01.01) A61F 13/44 (2006.01.01) A61F 13/49 (2006.01.01) G01N 27/12 (2006.01.01) G01N 27/22 (2006.01.01) G06Q 50/22 (2018.01.01)
CPC A61F 13/42(2013.01) A61F 13/42(2013.01) A61F 13/42(2013.01) A61F 13/42(2013.01) A61F 13/42(2013.01) A61F 13/42(2013.01) A61F 13/4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90038022 (2019.04.01)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9-0134462 (2019.12.0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80173949   |   2018.12.31
대한민국  |   PCT/KR2018/016985   |   2018.12.31
대한민국  |   1020180096364   |   2018.08.17
대한민국  |   1020180096365   |   2018.08.17
대한민국  |   1020180059316   |   2018.05.24
대한민국  |   1020180091986   |   2018.08.07
대한민국  |   2020180003857   |   2018.08.17
대한민국  |   1020180096363   |   2018.08.17
대한민국  |   1020180096366   |   2018.08.17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04.01)
심사청구항수 3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권희 서울특별시 강남구
2 채수원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정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 *층(양재동, 혜산빌딩)(시공특허법률사무소)
2 강일신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 *층 혜산빌딩(양재동)(시공특허법률사무소)
3 유광철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 *층 (양재동, 혜산빌딩)(시공특허법률사무소)
4 백두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 *층(양재동, 혜산빌딩)(시공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04.01 수리 (Accepted) 1-1-2019-0334268-77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0.10 수리 (Accepted) 4-1-2019-5210941-09
3 우선권주장증명서류제출서
Submission of Priority Certificate
2020.07.01 수리 (Accepted) 9-1-2020-9005958-55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0.11.2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818095-5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방수커버, 상기 방수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는 흡수층 및 상기 흡수층의 내측에 위치하는 안감층을 포함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에 있어서,상기 안감층은 인체와 접촉하는 내측면에 서로 분리 배열되는 복수의 전도성 감지선을 포함하고,용변과 접촉 시에 상기 전도성 감지선 간의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고, 실 또는 밴드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안감층에 재봉공정, 접착공정 또는 인쇄공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3 3
제1항에 있어서,각 전도성 감지선의 끝부분은 상기 안감층 또는 상기 방수커버에 형성된 전도성의 전극수용부와 전도성 실을 이용한 재봉공정, 전도성 실을 이용한 결속공정,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공정 또는 이들 각 공정의 조합으로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4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전극수용부는 전도성 섬유의 직물, 편물, 펠트 또는 부직포 재질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5 5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전극수용부가 형성된 상기 안감층의 일단이 상기 방수커버의 외측면 쪽으로 접혀 부착되어 상기 전극수용부가 상기 방수커버의 외측면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6 6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전극수용부가 상기 방수커버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안감층에 형성된 상기 전도성 감지선의 일단이 전도성 실을 이용한 재봉공정, 전도성 실을 이용한 결속공정,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공정 또는 이들 각 공정의 조합으로 상기 전극수용부와 전기적으로 일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7 7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제1 감지선 및 제2 감지선으로 구성되며,상기 전극수용부는 제1 전극수용부 및 제2 전극수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극수용부의 타단이 재봉공정 또는 접착공정을 통하여 상기 안감층 또는 상기 방수커버에 추가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1 전극수용부의 고정된 양단 사이에 용변감지장치의 전극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며,상기 제2 전극수용부의 타단이 재봉공정 또는 접착공정을 통하여 상기 안감층 또는 상기 방수커버에 추가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2 전극수용부의 고정된 양단 사이에 용변 감지 장치의 전극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9 9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제1 감지선 및 제2 감지선으로 구성되며,상기 전극수용부는 단일의 제4 전극수용부로 구성되며,상기 제4 전극수용부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감지선과 전도성 실을 이용한 재봉공정, 전도성 실을 이용한 결속공정,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공정 또는 이들 각 공정의 조합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4 전극수용부의 고정된 양단 사이에 용변 감지 장치의 전극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10 10
제9항에 있어서,상기 제4 전극수용부는 상기 제1 감지선과 연결되는 제1 전도성 천, 상기 제2 감지선과 연결되는 제2 전도성 천, 및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기 제1 전도성 천과 상기 제2 전도성 천을 상호 이격된 상태로 연결하는 비전도성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11 11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단위 감지선들이 전기적으로 결속되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12 12
방수커버, 상기 방수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는 흡수층 및 상기 흡수층의 내측에 위치하는 안감층을 포함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에 있어서,상기 안감층은 인체와 접촉하는 내측면에 배열되는 단일의 전도성 감지선을 포함하고,용변과 접촉 시에 상기 전도성 감지선의 양단 간의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상기 안감층의 내측면 상에서 적어도 일 부분이 구부러져 어느 한 부분과 다른 한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14 14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탄소 섬유 및 전도성 고분자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15 15
방수커버, 흡수층 및 안감층을 포함하는 기저귀의 내측에 부착되어 상기 기저귀에 용변 감지 기능을 부여하는 용변 감지 시트에 있어서,상기 안감층에 부착되어 인체와 접촉하는 상기 용변 감지 시트의 내측면에 서로 분리 배열되는 복수의 전도성 감지선을 포함하고,용변과 접촉 시에 상기 전도성 감지선 간의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16 16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용변 감지 시트는 상기 안감층과 동일하거나 상기 안감층에 대응하는 흡수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안감층과 접촉하여 부착되는 부착면에 부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17 17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고, 실 또는 밴드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용변 감지 시트에 재봉공정, 접착공정 또는 인쇄공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18 18
제15항에 있어서,각 전도성 감지선의 끝부분은 상기 용변 감지 시트에 형성된 전도성의 전극수용부와 전도성 실을 이용한 재봉공정, 전도성 실을 이용한 결속공정,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공정 또는 이들 각 공정의 조합으로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19 19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전극수용부는 전도성 섬유의 직물, 편물, 펠트 또는 부직포 재질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20 20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전극수용부가 형성된 상기 용변 감지 시트의 일단이 상기 기저귀의 방수커버 외측면 쪽으로 접혀 부착되어 상기 전극수용부가 상기 방수커버의 외측면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21 21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제1 감지선 및 제2 감지선으로 구성되며,상기 전극수용부는 제1 전극수용부 및 제2 전극수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22 22
제2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극수용부의 타단이 재봉공정 또는 접착공정을 통하여 상기 용변 감지 시트에 추가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1 전극수용부의 고정된 양단 사이에 용변감지장치의 전극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며,상기 제2 전극수용부의 타단이 재봉공정 또는 접착공정을 통하여 상기 용변 감지 시트에 추가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2 전극수용부의 고정된 양단 사이에 용변감지장치의 전극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23 23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제1 감지선 및 제2 감지선으로 구성되며,상기 전극수용부는 단일의 제4 전극수용부로 구성되며,상기 제4 전극수용부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감지선과 전도성 실을 이용한 재봉공정, 전도성 실을 이용한 결속공정,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공정 또는 이들 각 공정의 조합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4 전극수용부의 고정된 양단 사이에 용변 감지 장치의 전극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24 24
제23항에 있어서,상기 제4 전극수용부는 상기 제1 감지선과 연결되는 제1 전도성 천, 상기 제2 감지선과 연결되는 제2 전도성 천, 및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기 제1 전도성 천과 상기 제2 전도성 천을 상호 이격된 상태로 연결하는 비전도성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25 25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단위 감지선들이 전기적으로 결속되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26 26
방수커버, 상기 방수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는 흡수층 및 상기 흡수층의 내측에 위치하는 안감층을 포함하는 기저귀의 내측에 부착되어 상기 기저귀에 용변 감지 기능을 부여하는 용변 감지 시트에 있어서,상기 안감층에 부착되어 인체와 접촉하는 상기 용변 감지 시트의 내측면에 배열되는 단일의 전도성 감지선을 포함하고,용변과 접촉 시에 상기 전도성 감지선의 양단 간의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27 27
제26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상기 안감층의 내측면 상에서 적어도 일 부분이 구부러져 어느 한 부분과 다른 한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28 28
제26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감지선은 탄소 섬유 및 전도성 고분자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29 29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또는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에 접속되어 상기 용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또는 상기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감지선과 관련된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용변을 감지하는 용변 감지 장치에 있어서,상기 전기저항, 정전용량 및 인덕턴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기저귀 착용 대상의 용변 여부를 감지하는 용변 감지부;상기 용변 감지부를 수용하는 본체부;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기저귀 또는 상기 용변 감지 시트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수용부에 마련된 공간에 삽입되는 전극부; 및상기 본체부에 회전 힌지를 통해 결합되어 사전에 정해진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여 개폐되며, 상기 전극부와 상기 전극수용부를 체결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장치
30 30
제29항에 있어서,상기 전극부의 상측면에 전도성 소재로 도금되고 사전에 정해진 높이로 돌출된 전극접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장치
31 31
제30항에 있어서,상기 전극접점은 상기 용변 감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장치
32 32
제29항에 있어서,상기 전극부의 상측면 일단과 이에 대향하는 상기 덮개부의 하측면 일단에 자석이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덮개부가 흡인력에 의해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장치
33 33
제29항에 있어서,상기 덮개부의 하측면에 마련된 공간에 용수철 및 상기 용수철을 덮는 연질의 용수철 덮개가 설치되어, 상기 전극부가 상기 전극 수용부에 삽입되고 상기 덮개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전극접점과 상기 전극 수용부가 겹쳐진 부분에 가압력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장치
34 34
제29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부의 전원을 켜거나 끄기 위한 전원 스위치 버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장치
35 35
제29항에 있어서,상기 용변 감지부는 보호자의 단말기 또는 상기 보호자의 단말기와 통신하는 중계기에 대변 및 소변 감지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 감지 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