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활성 산소종 관련 질환의 진단/치료용 디셀레나이드 가교결합을 함유한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19023040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활성 산소종 관련 질환의 진단/치료용 디셀레나이드 가교결합을 함유한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체 안정성이 우수한 디셀레나이드 가교 결합을 이룰 수 있는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여, 이를 선택적으로 약물전달이 가능한 약물 전달체로서 응용하고자 하는 것이다.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르면, 생체 안정성이 우수한 디셀레나이드 가교 결합을 이룰 수 있는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생체안정성이 우수하고 암 조직에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활성산소에 감응하여 소수성의 디셀레나이드 결합이 친수성의 셀렌산(selenic acid)으로 전환되어 가교 결합이 붕괴됨에 따라 진단/치료 제제를 선택적으로 방출하는데 효과적이므로, 약물 전달체로 응용할 수 있다.
Int. CL C08G 69/10 (2006.01.01) A61K 9/107 (2006.01.01) A61K 47/30 (2017.01.01) A61K 31/704 (2006.01.01) A61K 31/337 (2006.01.01) C08J 3/12 (2006.01.01) C08K 3/30 (2006.01.01) C08K 5/17 (2006.01.01)
CPC C08G 69/10(2013.01) C08G 69/10(2013.01) C08G 69/10(2013.01) C08G 69/10(2013.01) C08G 69/10(2013.01) C08G 69/10(2013.01) C08G 69/10(2013.01) C08G 69/1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142981 (2016.10.31)
출원인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818377-0000 (2018.01.08)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180116)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6.10.31)
심사청구항수 19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재형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2 디파간 인도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3 권승리 대한민국 경기도 군포시 오금로 **, *
4 고혜원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5 이한상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위병갑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 *층(대영빌딩)(위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10.31 수리 (Accepted) 1-1-2016-1058628-23
2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17.01.04 수리 (Accepted) 1-1-2017-0009633-25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02.23 수리 (Accepted) 4-1-2017-5028829-43
4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7.07.11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5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7.09.0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17-0134979-20
6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7.09.1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640045-14
7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7.11.09 수리 (Accepted) 1-1-2017-1110532-94
8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7.11.09 수리 (Accepted) 1-1-2017-1110534-85
9 [공지예외적용 보완 증명서류]서류제출서
2017.11.09 수리 (Accepted) 1-1-2017-1110535-20
10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7.11.09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7-1110533-39
11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8.01.0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8-0004441-86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A) 제2 블록, (B) 상기 제2 블록의 일단과 결합되어 있는 제1 블록, 및 (C) 상기 제2 블록의 타단과 결합되어 있는 제3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블록 공중합체로서,상기 제1 블록은 생체적합하고 친수성인 고분자 블록이고,상기 제2 블록은 생체적합하고 친수성인 폴리펩티드 블록으로서, 말단이 셀레놀(SeH) 또는 클로린(Cl)인 측쇄를 포함하며,상기 제3 블록은 생체적합하고 소수성인 폴리펩티드 블록으로서, 소수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측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은 CR11R12-R13-O, 또는 CO-CR16-NH의 반복단위가 22 내지 227의 중합도로 반복되어 형성되고,상기 R11과 R1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7의 알킬기이며,상기 R13은 (CR14R15)n1이고, 상기 R14와 R15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7의 알킬기이며, 상기 R16은 R17-COOH이고, 상기 R17은 C1 내지 C5의 알킬기이며,상기 n1은 22 내지 22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 블록은 CO-CX-NH의 반복단위가 4 내지 8의 중합도로 반복되어 형성되고,상기 X는 말단이 셀레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
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X는 R21-COO-R22-SeH이고,상기 R21은 (CR23R24)n21이며, 상기 R23과 R24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7의 알킬기이며, 상기 n21은 2 내지 4 이고,상기 R22는 (CR25R26)n22이며, 상기 R25와 R26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7 내지 C7의 알킬기이며, 상기 n22는 2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3 블록은 CO-CY-NH의 반복단위가 10 내지 25의 중합도로 반복되어 형성되고,상기 Y는 소수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측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
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Y는 R31-COO-R32-Z, 또는 R37-A이고,상기 A는 C1 내지 C5의 알킬기 또는 S-R38이며,상기 Z는 페닐, 벤질, 및 벤조일 중에서 선택되고,상기 R31은 (CR33R34)n31이며, 상기 R33과 R34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 내지 C7의 알킬기이며, 상기 n31은 1 내지 5이고,상기 R32는 (CR35R36)n32이며, 상기 R35, R36, R37 및 R38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7의 알킬기이며,상기 n32는 1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중에 하나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화학식 1a][화학식 1b][화학식 1c][화학식 1d][화학식 1e]상기 m=22-227, n=4-8, p=10-25 이다
8 8
2개 이상의 블록 공중합체의 결합체로서,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이고,상기 제2 블록의 셀레놀기가 인접한 블록 공중합체의 제2 블록의 셀레놀기와 결합하여 디셀레나이드 결합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 결합체
9 9
코어, 상기 코어를 둘러싼 제1 쉘, 상기 제1 쉘을 둘러싼 제2 쉘을 포함하는 마이셀 구조체로서,상기 마이셀 구조체는 제8항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 결합체를 포함하고,상기 코어는 상기 제3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고,상기 제1 쉘은 상기 제2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상기 제2 쉘은 상기 제1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셀 구조체
10 10
마이셀 구조체 및 약물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로서,상기 마이셀 구조체는 제9항에 따른 마이셀 구조체이고,상기 약물은 상기 코어 내에 포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체
1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소수성 약물이고,활성 산소종이 존재하는 부위에 활성을 보이는 약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체
12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항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체
13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독소루비신, 파크리탁셀, 도세탁셀, 캄토테신 및 메쏘트렉세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체
14 14
제10항에 따른 약물 전달체를 포함하는 질병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서,상기 질병은 활성 산소종을 발생시키는 질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5 15
(ⅰ) 제1 단량체 및 제2 단량체를 반응시키는 단계, 및(ⅱ) 상기 반응을 통해 생성된 생성물에 셀레늄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제1 단량체와 상기 제2 단량체는 서로 상이하고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화학식 2]상기 A는 할로겐, 또는 페닐기이고, 상기 R1, R2,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O, S 및 N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n은 1-7의 정수이고, 상기 m은 1-7의 정수이다
16 16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제1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며,상기 제2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화학식 3][화학식 4]
17 17
제15항에 있어서,상기 (ⅰ) 단계는 개시제를 더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상기 개시제는 α-Methoxy-ω-amino polyethylene glyc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18 18
제15항에 있어서,상기 (ⅰ) 단계는 20 내지 70 ℃의 온도에서 20 내지 60 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19 19
제15항에 있어서,상기 (ⅱ) 단계는 40 내지 80 ℃의 온도에서 1 내지 10 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핵심연구:후속연구지원(개인)) 암 진단/치료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바이오소재 개발
2 미래창조과학부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이공학분야 S/ERC) 진단/치료용 고분자 소재 연구센터
3 보건복지부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질환극복기술개발사업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표면전하-전환형 멀티시스템 나노입자 개발
4 보건복지부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암중개연구) 삼중음성유방암 표적치료용 나노의약품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