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애드-온 렌즈 어셈블리의 설계 방법 및 장치

  • 기술번호 : KST2019023181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구조광 3D 카메라의 애드-온 렌즈 어셈블리를 설계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패턴 거리 및 패턴 크기를 포함하는 목표 스캔 영역 사양 (specification) 을 결정하는 단계, 구조광 3차원 카메라에 포함된 프로젝터의 사양에 기초하여 시스템 근축 모델 (paraxial model) 을 결정하는 단계, 시스템 근축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목표 스캔 영역 사양을 충족시키는 애드-온 렌즈의 근축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 및 목표 스캔 영역 사양을 기반으로 상기 애드-온 렌즈의 근축 모델을 두께를 가지는 렌즈로 변환하기 위한 가상 이미지의 투영 요구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3D 카메라를 교체하거나, 광학 시스템을 완전히 변경하지 않고서도 요구되는 정밀도 및 속도에 따라 구조광 3D 카메라의 스캔 영역을 쉽고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는 애드-온 렌즈 어셈블리를 설계할 수 있다.
Int. CL G06F 17/50 (2006.01.01) H04N 13/20 (2018.01.01) G01B 11/24 (2006.01.01) G02B 26/10 (2006.01.01)
CPC G06F 30/00(2013.01) G06F 30/00(2013.01) G06F 30/00(2013.01) G06F 30/00(2013.01) G06F 30/0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70104863 (2017.08.18)
출원인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881702-0000 (2018.07.18)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180724)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7.08.18)
심사청구항수 2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석한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2 라시드 살림 파키스탄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3 트란 칸 푸옹 베트남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인비전 특허법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길**, *층(대치동, 동산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7.08.18 수리 (Accepted) 1-1-2017-0799138-09
2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8.06.2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8-0430388-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구조광 3차원 카메라에 포함된 프로젝터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하여 상기 구조광 3차원 카메라의 특정 거리에서의 스캔 영역을 수정할 수 있는 애드-온 (add-on) 렌즈 어셈블리의 설계 방법으로서, 패턴 거리 및 패턴 크기를 포함하는 목표 스캔 영역 사양 (specification) 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구조광 3차원 카메라에 포함된 프로젝터의 사양에 기초하여 시스템 근축 모델 (paraxial model) 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 근축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목표 스캔 영역 사양을 충족시키는 애드-온 렌즈의 근축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 및상기 목표 스캔 영역 사양을 기반으로 상기 애드-온 렌즈의 근축 모델을 두께를 가지는 렌즈로 변환하기 위한 가상 이미지의 투영 요구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드-온 렌즈 어셈블리의 설계 방법
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의 투영 요구조건은 가상 이미지의 스팟 (spot) 크기 및 배율 (magnification) 을 포함하는, 애드-온 렌즈 어셈블리의 설계 방법
3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의 투영 요구조건은 상기 프로젝터의 유효 초점 거리, 작업 거리 및 DMD (Digital Mirror Device) 센서의 크기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애드-온 렌즈 어셈블리의 설계 방법
4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의 스팟 크기는 상기 프로젝터의 DMD 센서의 픽셀 크기, 작업 거리 및 유효 주단면 (effective principle plane) 으로부터 DMD 센서까지의 거리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애드-온 렌즈 어셈블리의 설계 방법
5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의 스팟 크기는 하기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되는, 애드-온 렌즈 어셈블리의 설계 방법
6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에 대한 배율은 DMD 센서의 픽셀 크기, 프로젝터의 작업 거리, 유효 주단면으로부터 DMD 센서까지의 거리, 목표 패턴 거리 범위 및 요구되는 시야 (Field of View, FOV) 에 의해 결정되는, 애드-온 렌즈 어셈블리의 설계 방법
7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에 대한 배율은 하기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되는, 애드-온 렌즈 어셈블리의 설계 방법
8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 요구조건을 기반으로 상기 애드-온 렌즈의 근축 모델을 두께를 가지는 렌즈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애드-온 렌즈 어셈블리의 설계 방법
9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를 가지는 렌즈로 변환하는 단계는, 복수의 렌즈 모델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렌즈 모델들의 레이아웃이 상기 투영 요구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드-온 렌즈 어셈블리의 설계 방법
10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렌즈 모델들의 레이아웃이 상기 투영 요구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할 때까지 반복 수행되는, 애드-온 렌즈 어셈블리의 설계 방법
11 11
구조광 3차원 카메라에 포함된 프로젝터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하여 상기 구조광 3차원 카메라의 특정 거리에서의 스캔 영역을 수정할 수 있는 애드-온 (add-on) 렌즈 어셈블리를 설계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패턴 거리 및 패턴 크기를 포함하는 목표 스캔 영역 사양 (specification) 을 결정하고;상기 구조광 3차원 카메라에 포함된 프로젝터의 사양에 기초하여 시스템 근축 모델 (paraxial model) 을 결정하고;상기 시스템 근축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목표 스캔 영역 사양을 충족시키는 애드-온 렌즈의 근축 모델을 결정하고; 그리고상기 목표 스캔 영역 사양을 기반으로 상기 애드-온 렌즈의 근축 모델을 두께를 가지는 렌즈로 변환하기 위한 가상 이미지의 투영 요구조건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애드-온 렌즈 어셈블리를 설계하기 위한 장치
12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의 투영 요구조건은 가상 이미지의 스팟 (spot) 크기 및 배율 (magnification) 을 포함하는, 애드-온 렌즈 어셈블리를 설계하기 위한 장치
13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의 투영 요구조건은 상기 프로젝터의 유효 초점 거리, 작업 거리 및 DMD (Digital Mirror Device) 센서의 크기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애드-온 렌즈 어셈블리를 설계하기 위한 장치
14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의 스팟 크기는 상기 프로젝터의 DMD 센서의 픽셀 크기, 작업 거리 및 유효 주단면 (effective principle plane) 으로부터 DMD 센서까지의 거리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애드-온 렌즈 어셈블리를 설계하기 위한 장치
15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의 스팟 크기는 하기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되는, 애드-온 렌즈 어셈블리를 설계하기 위한 장치
16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에 대한 배율은 DMD 센서의 픽셀 크기, 프로젝터의 작업 거리, 유효 주단면으로부터 DMD 센서까지의 거리, 목표 패턴 거리 범위 및 요구되는 시야 (Field of View, FOV) 에 의해 결정되는, 애드-온 렌즈 어셈블리를 설계하기 위한 장치
17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에 대한 배율은 하기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되는, 애드-온 렌즈 어셈블리를 설계하기 위한 장치
18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투영 요구조건을 기반으로 상기 애드-온 렌즈의 근축 모델을 두께를 가지는 렌즈로 변환하도록 더 구성되는, 애드-온 렌즈 어셈블리를 설계하기 위한 장치
19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를 가지는 렌즈로 변환하는 것은, 복수의 렌즈 모델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것 및 상기 선택된 렌즈 모델들의 레이아웃이 상기 투영 요구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애드-온 렌즈 어셈블리를 설계하기 위한 장치
20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것 및 상기 판단하는 것은, 상기 선택된 렌즈 모델들의 레이아웃이 상기 투영 요구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할 때까지 반복 수행되는, 애드-온 렌즈 어셈블리를 설계하기 위한 장치
21 21
구조광 3차원 카메라에 포함된 프로젝터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하여 상기 구조광 3차원 카메라의 특정 거리에서의 스캔 영역을 수정할 수 있는 애드-온 (add-on) 렌즈 어셈블리를 설계하기 위한, 프로세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패턴 거리 및 패턴 크기를 포함하는 목표 스캔 영역 사양 (specification) 을 결정하고;상기 구조광 3차원 카메라에 포함된 프로젝터의 사양에 기초하여 시스템 근축 모델 (paraxial model) 을 결정하고;상기 시스템 근축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목표 스캔 영역 사양을 충족시키는 애드-온 렌즈의 근축 모델을 결정하고; 그리고상기 목표 스캔 영역 사양을 기반으로 상기 애드-온 렌즈의 근축 모델을 두께를 가지는 렌즈로 변환하기 위한 가상 이미지의 투영 요구조건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레드원테크놀러지(주) 시스템산업거점기관지원사업 복잡한 형상 검출/계측을 위한 10Hz-10m급 3D 구조광 Area 스캐너 시스템 및 전용 응용 툴 개발
2 산업통상자원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로봇 적용 범위 확장을 위해 3종의 조인트 모듈, 최대 7자유도의 기구부 조합에 따른 제어, 인지 시스템의 자동 구성이 가능한 모듈라 매니퓰레이션 기술 개발
3 산업통산자원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국제공동기술개발 개방형 수술로봇 플랫폼에 기반한 차세대 미세수술로봇 개발 및 실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