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촉매가 기능화된 폴리머 콜로이드를 템플레이트로 이용한 촉매가 전사된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제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센서

  • 기술번호 : KST2019024061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표면에 구형 및 타원형의 기공과 불규칙한 형태의 요철 구조가 형성된 위치에 촉매 입자가 균일하게 전사된 1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센서소재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Int. CL G01N 27/407 (2006.01.01) G01N 27/327 (2006.01.01)
CPC G01N 27/4075(2013.01) G01N 27/407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126373 (2016.09.30)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10-1817015-0000 (2018.01.03)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180221)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1020170140037;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6.09.30)
심사청구항수 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일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최선진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3 김범준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4 구강희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양성보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길 ** (논현동) 삼성빌딩 *층(피앤티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09.30 수리 (Accepted) 1-1-2016-0951477-59
2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7.08.3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608414-18
3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7.10.26 수리 (Accepted) 1-1-2017-1058816-45
4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7.10.26 수리 (Accepted) 1-1-2017-1059163-18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7.10.26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7-1059189-94
6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7.11.1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791735-17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4.24 수리 (Accepted) 4-1-2019-5081392-49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5.15 수리 (Accepted) 4-1-2020-5108396-12
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12 수리 (Accepted) 4-1-2020-5131486-6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삭제
2 2
삭제
3 3
삭제
4 4
삭제
5 5
삭제
6 6
삭제
7 7
삭제
8 8
삭제
9 9
삭제
10 10
삭제
11 11
삭제
12 12
1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복합 가스센서용 부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a)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 촉매 입자가 균일하게 결착된 블록 공중합체 템플레이트를 합성하는 단계;(b) 상기 블록 공중합체 템플레이트를 금속산화물 전구체와 고분자가 녹아 있는 용액과 함께 혼합하여 전기방사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c)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방사 용액에 상기 블록 공중합체 템플레이트를 균일하게 분산시킴으로써 금속산화물 전구체/고분자 복합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 및(d) 고온 열처리 공정을 통해 상기 금속산화물 전구체/고분자 복합 나노섬유를 구성하는 고분자 매트릭스와 상기 블록 공중합체 템플레이트를 제거함으로써 표면에 구형의 기공과 불규칙한 형태의 요철 구조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기공이 형성된 위치에 상기 금속 촉매 입자가 균일하게 전사된 1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1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복합 가스센서용 부재의 제조 방법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a) 단계에서의 금속 촉매 입자는 Copper(II) nitrate, Copper(II) chloride, Cobalt(II) nitrate, Cobalt(II) acetate, Lanthanum(III) nitrate, Lanthanum(III) acetate, platinum(IV) chloride, platinum(II) acetate, gold(I, III) chloride, gold(III) acetate, silver chloride, silver acetate, Iron(III) chloride, Iron(III) acetate, Nickel(II) chloride, Nickel(II) acetate, Ruthenium(III) chloride, Ruthenium Acetate, Iridium(III) chloride, iridium acetate, Tantalum(V) chloride, Palladium(II) chloride 중 적어도 하나의 촉매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복합 가스센서용 부재의 제조 방법
14 14
제12항에 있어서,상기 (b) 단계에서의 고분자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 폴리비닐알콜(PVA), 폴미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propylene oxide, PEO),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olypropylene oxide, PPO),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PVC),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비닐풀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중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복합 가스센서용 부재의 제조 방법
15 15
제12항에 있어서,상기 (c) 단계에서는 5 kV내지 30 kV 범위의 전압과 0
16 16
제12항에 있어서,상기 (d) 단계에서는 400℃ 내지 800℃ 범위에서의 고온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복합 가스센서용 부재의 제조 방법
17 17
제12항에 있어서,(e) 상기 1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를 이용하여 저항변화식 반도체 가스센서를 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상기 저항변화식 반도체 가스센서는 환경유해 가스 또는 생체지표 가스의 검출이 가능한 가스센서용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복합 가스센서용 부재의 제조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KR101832110 KR 대한민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DOCDB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