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빛의 간섭현상을 이용한 샘플 농도 분석 장치 및 농도 분석 방법

  • 기술번호 : KST2019027131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빛의 간섭현상을 이용한 샘플 농도 분석 장치 및 농도 분석 방법에서, 빛의 간섭현상을 이용한 샘플 농도 분석 장치는 각각이 제1 원색광, 제2 원색광 및 제3 원색광을 제공하되 제1 원색광의 광량이 분석 대상 물질의 농도별로 서로 상이하게 설정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지표 영역들과, 제1 원색광은 모두 흡수 또는 차단되고 제2 원색광과 제3 원색광은 반사 또는 발광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가이드 표지부와, 가이드 표지부 상에 배치되고, 분석 대상 물질의 농도에 따라 가이드 표지부에서 방출하는 제1 원색광의 흡수량이 달라지는 바이오센싱 채널부를 포함하고, 바이오센싱 채널부를 통해 방출되는 제1 내지 제3 원색광들의 혼합으로 시인되는 이미지를 통해 분석 대상 물질의 농도를 판별한다.
Int. CL G01N 21/31 (2006.01.01) G01N 21/59 (2006.01.01) G01N 21/88 (2006.01.01) G01N 21/29 (2006.01.01) C09B 69/00 (2006.01.01) C09B 57/00 (2006.01.01) G01N 33/58 (2006.01.01)
CPC G01N 21/3103(2013.01) G01N 21/3103(2013.01) G01N 21/3103(2013.01) G01N 21/3103(2013.01) G01N 21/3103(2013.01) G01N 21/3103(2013.01) G01N 21/3103(2013.01) G01N 21/3103(2013.01) G01N 21/3103(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034871 (2016.03.23)
출원인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771848-0000 (2017.08.21)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170825)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6.03.23)
심사청구항수 1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윤현철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2 전형진 대한민국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3 한용덕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남건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 *동 ***호(엔씨 국제특허법률사무소)
2 박종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 *동 ***호(엔씨 국제특허법률사무소)
3 차상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 *동 ***호(엔씨 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03.23 수리 (Accepted) 1-1-2016-0280834-06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6.11.10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7.02.10 수리 (Accepted) 9-1-2017-0003730-70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7.05.2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357396-63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7.07.21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7-0700775-75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7.07.21 수리 (Accepted) 1-1-2017-0700766-64
7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7.08.1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566998-85
8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7.10.30 수리 (Accepted) 1-1-2017-1069917-16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적어도 2개 이상의 지표 영역들과 상기 지표 영역들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되, 지표 영역들 각각은 제1 원색광, 제2 원색광 및 제3 원색광을 제공하고, 상기 주변 영역은 제1 원색광은 제공하지 않고 제2 원색광과 제3 원색광만을 제공하며, 상기 지표 영역들이 제공하는 제1 원색광의 광량은 지표 영역들마다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표지부; 및상기 가이드 표지부 상에 배치되고, 분석 대상 물질이 주입되며, 상기 가이드 표지부로부터 제공받은 원색광들 중에서 제1 원색광은 흡수하되 분석 대상 물질의 농도에 따라 가이드 표지부에서 제공받은 제1 원색광의 흡수량이 다른 바이오 센싱 채널부를 포함하고,상기 가이드 표지부에서 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로 제공되는 제1 원색광이 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에서 흡수된 후 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가 제공하는 제1 원색광과, 상기 가이드 표지부에서 제공되어 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를 통과한 제2 및 제3 원색광의 혼합으로 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가 나타내는 컬러를 통해서 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에 주입된 분석 대상 물질의 농도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빛의 간섭효과를 이용한 샘플 농도 분석 장치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 표지부의 상기 지표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지표 영역이 제공하는 제1 원색광을 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에서 모두 흡수하여 해당 지표 영역과 주변 영역과 대응하는 바이오센싱 채널부에서 해당 지표 영역과 주변 영역의 컬러가 동일하게 나타나는 경우,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에 주입된 분석 대상 물질의 농도는 해당 지표 영역으로 지시된 분석 대상 물질의 농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빛의 간섭효과를 이용한 샘플 농도 분석 장치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지표 영역들이 제1 지표 영역 내지 제n 지표 영역(이때, n은 2 이상의 자연수)을 포함하고, 이중 제x 지표 영역(이때, x는 1이상 n 미만의 자연수)과 대응하는 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에서 나타나는 컬러가 상기 주변 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에서 나타나는 컬러와 동일하고 제x+1 지표 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에서 나타나는 컬러는 주변 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에서 나타나는 컬러와 다른 경우,분석 대상 물질의 농도는 제x+1 지표 영역으로 지시된 분석 대상 물질의 농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빛의 간섭효과를 이용한 샘플 농도 분석 장치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는 검출목표 기질을 산화시켜 반응하여 과산화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산화효소와 생성된 과산화효소를 매개로 하여 발색염료기질을 발색산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겨자무과산화효소(horseradish peroxidase, HRP) 및 과산화수소의 존재 하에서 겨자무과산화효소의 효소반응에 의해 발색산물로 변화될 수 있는 발색염료 기질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빛의 간섭효과를 이용한 샘플 농도 분석 장치
5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기질 산화효소는포도당 산화효소 (glucose oxidase), 젖당 산화효소 (galactose oxidase), 젖산 산화효소 (lactate oxidase), 피루브산 산화효소 (pyruvate oxidase), 글루탐산 산화효소 (glutamate oxidase), 알코올 산화효소 (alcohol oxidase), 아스코르브산 산화효소 (ascorbate oxidase), 콜레스테롤 산화효소 (cholesterol oxidase) 및 콜린 산화효소 (choline oxidase)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상기 발색염료 기질은테트라메틸-벤지딘(Tetramethyl-benzidine, TMB) 또는 디아민-벤지딘(3,3-Diaminobenzidine, DAB)이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4-아미노안티피린(4-aminoantipyrine, 4-AAP) 과 N-Ethyl-N-(2-hydroxy-3-sulfopropyl)-3,5-dimethylaniline (MAOS)의 혼합물, 또는 4-AAP와 N-Ethyl-N-(2-hydroxy-3-sulfopropyl)-3-methoxyaniline (ADOS)의 혼합물, 또는 4-AAP와 N-Ethyl-N-(3-sulfopropyl)-3-methoxyaniline (ADPS)의 혼합물, 또는 4-AAP와 N-Ethyl-N-(3-sulfopropyl)aniline (ALPS)의 혼합물, 또는 4-AAP와 N-Ethyl-N-(2-hydroxy-3-sulfopropyl)-3,5-dimethoxyaniline (DAOS)의 혼합물, 또는 4-AAP와 N-(2-Hydroxy-3-sulfopropyl)-3,5-dimethoxyaniline (HDAOS)의 혼합물, 또는 4-AAP와 N,N-Bis(4-sulfobutyl)-3,5-dimethylaniline (MADB)의 혼합물, 또는 4-AAP와 N,N-Bis(4-sulfobutyl)-3-methylaniline (TODB)의 혼합물, 또는 4-AAP와 N-Ethyl-N-(2-hydroxy-3-sulfopropyl)-3-methylaniline (TOOS)의 혼합물, 또는 4-AAP와 N-Ethyl-N-(3-sulfopropyl)-3-methylaniline (TOPS)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빛의 간섭효과를 이용한 샘플 농도 분석 장치
6 6
제4항에 있어서,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는분석 대상 물질과 반응하여 520 nm 내지 600 nm 또는 600 nm 내지 670 nm의 파장 범위의 제1 원색광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빛의 간섭효과를 이용한 샘플 농도 분석 장치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원색광은 적색광인 경우, 상기 제2 원색광 및 제3 원색광은 각각 녹색광 및 청색광이고,상기 제1 원색광이 청색광인 경우, 상기 제2 원색광 및 제3 원색광은 각각 적색광 및 녹색광이며,상기 제1 원색광이 녹색광인 경우, 상기 제2 원색광 및 제3 원색광은 각각 적색광 및 청색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빛의 간섭효과를 이용한 샘플 농도 분석 장치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주변 영역과 상기 지표 영역들의 제2 원색광의 광량은 서로 동일하고,상기 주변 영역과 상기 지표 영역들의 제3 원색광의 광량도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빛의 간섭효과를 이용한 샘플 농도 분석 장치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가 나타내는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빛의 간섭효과를 이용한 샘플 농도 분석 장치
10 10
제9항에 있어서,상기 이미지 표시부는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가 나타내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디지털카메라와, 상기 디지털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빛의 간섭효과를 이용한 샘플 농도 분석 장치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디지털카메라에 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빛의 간섭효과를 이용한 샘플 농도 분석 장치
12 1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가 나타내는 컬러는 관찰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빛의 간섭효과를 이용한 샘플 농도 분석 장치
13 13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 표지부는 상기 지표 영역들과 상기 주변 영역이 컬러로 인쇄된 종이 형태이고,태양광 또는 조명 장치에 의한 광의 흡수 및 반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빛의 간섭효과를 이용한 샘플 농도 분석 장치
14 14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 표지부의 지표 영역들과 주변 영역은 조명을 내장한 스마트폰의 표시 패널을 통해 나타나고, 상기 스마트폰 상에 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빛의 간섭효과를 이용한 샘플 농도 분석 장치
15 15
분석 대상 물질의 농도에 따라 제1 원색광의 흡수량이 달라지는 미지의 농도를 갖는 분석 대상 물질을 바이오센싱 채널부에 제공하여 발색시키는 단계; 및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지표 영역들과 상기 지표 영역들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되 지표 영역들 각각은 제1 원색광, 제2 원색광 및 제3 원색광을 제공하고, 상기 주변 영역은 제1 원색광은 제공하지 않고 제2 원색광과 제3 원색광만을 제공하며, 상기 지표 영역들이 제공하는 제1 원색광의 광량은 지표 영역들마다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표지부에서 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로 제공되는 제1 원색광이 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에서 흡수된 후 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가 제공하는 제1 원색광과, 상기 가이드 표지부에서 제공되어 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를 통과한 제2 및 제3 원색광의 혼합으로 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가 나타내는 컬러를 통해서 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에 주입된 분석 대상 물질의 농도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각각이 제1 원색광, 제2 원색광 및 제3 원색광을 제공하되 제1 원색광의 광량이 분석 대상 물질의 농도별로 서로 상이하게 설정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지표 영역들과, 제1 원색광은 모두 흡수 또는 차단되고 제2 원색광과 제3 원색광은 제공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가이드 표지부 상에서 상기 발색된 바이오센싱 채널부를 통해 방출되는 제1, 제2 및 제3 원색광들의 혼합으로 나타나는 이미지를 통해 분석 대상 물질의 농도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지표 영역들이 제1 지표 영역 내지 제n 지표 영역(이때, n은 2 이상의 자연수)과 대응하는 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의 컬러가 상기 주변 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의 컬러와 동일하고, 제x+1 지표 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의 컬러는 상기 주변 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바이오센싱 채널부의 컬러와 다른 경우, 분석 대상 물질의 농도는 제x+1 지표 영역으로 지시된 분석 대상 물질의 농도와 동일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빛의 간섭효과를 이용한 샘플 농도 분석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업핵심기술개발 심근경색 위험도 조기 진단 시스템 개발
2 교육부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공분야 중점연구소지원사업 신개념 그린융합소재 발굴 및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