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근전도를 활용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

  • 기술번호 : KST2019037551
  • 담당센터 : 부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1-606-6561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근전도를 활용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근전도 계측기에서 생성된 2채널 근전도 신호(2ch EMG signal)로 제 1 근전도 채널 신호(Ch1)로 척측수근굴근 신호와 제 2 근전도 채널 신호(Ch2)로 신근(Ch2) 신호를 수신한 뒤, 제 1 근전도 채널 신호(Ch1) 및 제 2 근전도 채널 신호(Ch2)에 대해 각각 교류(AC)-직류(DC) 변환을 수행하여 2채널 근전도 데이터(2ch EMG data)인 제 1 근전도 채널 데이터(Data1)와 제 2 근전도 채널 데이터(Data2)로의 변환을 수행하는 A/D 컨버터; 및 제 1 근전도 채널 데이터(Data1)와 제 2 근전도 채널 데이터(Data2)로 이루어진 2채널 근전도 데이터(2ch EMG data)를 이용한 상태 분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Pre-processing)을 수행하여 제 1 채널 및 제 2채널의 결과값을 생성하는 전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전도를 활용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근전도를 활용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가 근전도 계측기에서 생성된 2채널 근전도 신호(2ch EMG signal)로 제 1 근전도 채널 신호(Ch1)로 척측수근굴근 신호와 제 2 근전도 채널 신호(Ch2)로 신근(Ch2)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근전도를 활용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가 제 1 근전도 채널 신호(Ch1) 및 제 2 근전도 채널 신호(Ch2)에 대해 각각 교류(AC)-직류(DC) 변환을 수행하여 2채널 근전도 데이터(2ch EMG data)인 제 1 근전도 채널 데이터(Data1)와 제 2 근전도 채널 데이터(Data2)로의 변환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상기 근전도를 활용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가 제 1 근전도 채널 데이터(Data1)와 제 2 근전도 채널 데이터(Data2)로 이루어진 2채널 근전도 데이터(2ch EMG data)를 이용한 상태 분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Pre-processing)을 수행하여 제 1 채널 및 제 2채널의 결과값을 생성하는 제 3 단계; 상기 근전도를 활용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가 미리 설정된 세 가지 상태인 다운(Down)(1), 미들(Middle)(2), 업(Up)(3)에 대한 문턱치(Threshold) 값(2)을 테이블화한 문턱치 테이블로부터 제 1 채널 및 제 2채널의 결과값과 매칭되는 상태 정보를 독출하여 세 가지 상태 분류 과정을 완료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근전도를 활용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가 타겟 디바이스에게 상태 분류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전도를 활용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의해,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상태 분류를 위해 전처리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제어의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 생성 과정에서 높은 제어 성공률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먼 인터페이스를 위한 입력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는 생체신호 중 근전도(EMG, Electromyogram)를 2채널로 입력받아 데이터 수집의 정밀성에 의해 제어를 위한 판단의 정확도를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Int. CL G06F 3/01 (2006.01.01) A61B 5/0488 (2006.01.01) A61B 5/04 (2006.01.01)
CPC G06F 3/015(2013.01) G06F 3/015(2013.01) G06F 3/01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013641 (2016.02.03)
출원인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746217-0000 (2017.06.05)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170612)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6.02.03)
심사청구항수 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사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서지윤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2 노윤홍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군
3 정도운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신태양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중로 ***, 주은리더스텔 ***호~***호 (둔산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산광역시 사상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02.03 수리 (Accepted) 1-1-2016-0118283-37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6.08.11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6.10.0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16-0126733-39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6.10.0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6-0722252-25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6.11.30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6-1175901-50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6.11.30 수리 (Accepted) 1-1-2016-1175878-97
7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7.04.1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273930-08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08.21 수리 (Accepted) 4-1-2018-5163918-2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근전도 계측기에서 생성된 2채널 근전도 신호(2ch EMG signal)로 제 1 근전도 채널 신호(Ch1)로 척측수근굴근 신호와 제 2 근전도 채널 신호(Ch2)로 신근(Ch2) 신호를 수신한 뒤, 제 1 근전도 채널 신호(Ch1) 및 제 2 근전도 채널 신호(Ch2)에 대해 각각 교류(AC)-직류(DC) 변환을 수행하여 2채널 근전도 데이터(2ch EMG data)인 제 1 근전도 채널 데이터(Data1)와 제 2 근전도 채널 데이터(Data2)로의 변환을 수행하는 A/D 컨버터; 및제 1 근전도 채널 데이터(Data1)와 제 2 근전도 채널 데이터(Data2)로 이루어진 2채널 근전도 데이터(2ch EMG data)를 이용한 상태 분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DC 오프셋 제거(DC offset cacellation), 신호 크기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RMS 추출, 이동평균필터(Moving Average Filter)에 의한 잡음 제거를 순차적으로 완료한 뒤, 제 1 채널 및 제 2채널의 결과값을 생성하는 전처리 과정(Pre-processing)을 수행하는 전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전도를 활용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2 2
근전도를 활용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가 근전도 계측기에서 생성된 2채널 근전도 신호(2ch EMG signal)로 제 1 근전도 채널 신호(Ch1)로 척측수근굴근 신호와 제 2 근전도 채널 신호(Ch2)로 신근(Ch2)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상기 근전도를 활용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가 제 1 근전도 채널 신호(Ch1) 및 제 2 근전도 채널 신호(Ch2)에 대해 각각 교류(AC)-직류(DC) 변환을 수행하여 2채널 근전도 데이터(2ch EMG data)인 제 1 근전도 채널 데이터(Data1)와 제 2 근전도 채널 데이터(Data2)로의 변환을 수행하는 제 2 단계;상기 근전도를 활용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가 제 1 근전도 채널 데이터(Data1)와 제 2 근전도 채널 데이터(Data2)로 이루어진 2채널 근전도 데이터(2ch EMG data)를 이용한 상태 분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DC 오프셋 제거(DC offset cacellation), 신호 크기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RMS 추출, 이동평균필터(Moving Average Filter)에 의한 잡음 제거를 순차적으로 완료한 뒤, 제 1 채널 및 제 2채널의 결과값을 생성하는 전처리 과정(Pre-processing)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상기 근전도를 활용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가 미리 설정된 세 가지 상태인 다운(Down)(1), 미들(Middle)(2), 업(Up)(3)에 대한 문턱치(Threshold) 값(2)을 테이블화한 문턱치 테이블로부터 제 1 채널 및 제 2채널의 결과값과 매칭되는 상태 정보를 독출하여 세 가지 상태 분류 과정을 완료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근전도를 활용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가 타겟 디바이스에게 상태 분류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전도를 활용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
3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이전에,상기 근전도를 활용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근전도 계측기와 를 I/O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근전도 계측기(10)에서 제 1 채널 전극과 제 2채널 전극을 각각 미리 설정된 제 1 채널 전극 영역인 척측수근굴근(Flexor Carpi Ulnaris)(Ch1) 영역과, 미리 설정된 제 2채널 전극 영역인 신근(Extensor Muscle)(Ch2) 영역으로의 부착을 확인하는 단계; 및상기 근전도를 활용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신호 및 데이터 연결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전도를 활용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
4 4
삭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