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그룹캐스트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기술번호 : KST2020003580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송신 단말에서 수행되는 사이드링크(sidelink) 그룹캐스트 전송 방법은 대상 그룹에 속한 수신 단말들을 2개 이상의 서브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2개이상의 서브그룹들에 서로 다른 그룹캐스트 피드백 방식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들에 대한 그룹캐스트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서로 다른 그룹캐스트 피드백 방식으로 상기 2개 이상의 서브그룹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그룹에 속한 단말들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t. CL H04L 1/16 (2006.01.01) H04L 1/18 (2006.01.01) H04L 5/00 (2006.01.01) H04L 12/18 (2006.01.01) H04W 4/08 (2009.01.01) H04W 4/40 (2018.01.01) H04L 1/00 (2006.01.01) H04L 27/26 (2006.01.01) H04J 11/00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90111212 (2019.09.09)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034603 (2020.03.3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90048476   |   2019.04.25
대한민국  |   1020190003922   |   2019.01.11
대한민국  |   1020190075585   |   2019.06.25
대한민국  |   1020180114133   |   2018.09.21
대한민국  |   1020190056523   |   2019.05.14
대한민국  |   1020190001640   |   2019.01.07
대한민국  |   1020180144838   |   2018.11.21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정훈 대전광역시 유성구
2 박주호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이준환 서울특별시 마포구
4 김일규 충청북도 옥천군
5 김준형 대전광역시 유성구
6 노고산 대전광역시 유성구
7 정희상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양재동, 우도빌딩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09.09 수리 (Accepted) 1-1-2019-0923810-7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송신 단말에서 수행되는 사이드링크(sidelink) 그룹캐스트 전송 방법으로서,대상 그룹에 속한 수신 단말들을 2개 이상의 서브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상기 2개이상의 서브그룹들에 서로 다른 그룹캐스트 피드백 방식을 할당하는 단계;상기 수신 단말들에 대한 그룹캐스트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및상기 서로 다른 그룹캐스트 피드백 방식으로 상기 2개 이상의 서브그룹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그룹에 속한 단말들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전송 방법
2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들은 상기 송신 단말과 상기 수신 단말들 각각의 거리 또는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의 수신 신호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2개 이상의 서브그룹들로 분류되는,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전송 방법
3 3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서로 다른 그룹캐스트 피드백 방식은 대상 서브그룹에 속한 단말들에게 개별적인 ACK/NACK 자원을 지정하는 방식, 대상 서브 그룹에 속한 단말들에게 공통 NACK 자원을 지정하는 방식, 및 대상 서브 그룹에 속한 단말들이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을 포함하는,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전송 방법
4 4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개별적인 ACK/NACK 자원 또는 공통 NACK 자원은 상기 송신 단말이 상기 수신 단말들 각각에게 또는 상기 수신 단말들 전체에게 상기 그룹캐스트 전송을 스케쥴링한 제어 채널을 통해서 명시적으로(explicitly) 설정하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전송 방법
5 5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개별적인 ACK/NACK 자원 또는 공통 NACK 자원은 상기 수신 단말들 각각이 상기 그룹캐스트 전송을 스케쥴링한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제어 채널 요소(CCE; control channel element)들의 특정 인덱스, 상기 그룹캐스트 전송에 사용되는 데이터 채널의 특정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 인덱스, 상기 그룹 캐스트 전송에 사용되는 데이터 채널의 기본 자원 단위인 서브 채널(sub channel)들의 특정 인덱스, 상기 그룹 캐스트 전송에 사용되는 데이터 채널의 슬롯(slot) 인덱스, 상기 그룹에 할당된 그룹 아이디(identifier), 및 상기 수신 단말들 각각의 아이디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암시적으로(implicitly) 결정하는,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전송 방법
6 6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개별적인 ACK/NACK 자원을 지정하는 방식은 상기 송신 단말과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위치한 단말들 또는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의 수신 신호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단말로 구성된 서브그룹에 할당되고, 상기 공통 NACK 자원을 지정하는 방식 또는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은 상기 송신 단말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단말들 또는 상기 송신 단말들로부터의 수신 신호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단말들로 구성된 서브그룹에 할당되는,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전송 방법
7 7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공통 NACK 지원을 지정하는 방식이 부여된 서브그룹들에는 서로 다른 공통 NACK 피드백 자원이 설정되는,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전송 방법
8 8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공통 NACK 자원을 지정하는 방식이 부여된 서브그룹들에 속한 각 단말은 상기 각 단말의 수신 채널의 켤레 복소수(complex conjugate) 또는 상기 수신 채널의 위상(phase)의 켤레 복소수를 상기 각 단말의 피드백 정보에 곱하여 전송하는,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전송 방법
9 9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그룹캐스트 전송이 수행되는 시점이 미리 설정된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시점에서 상기 그룹캐스트 전송을 스케쥴링하는 제어 채널을 검출하지 못한 단말로부터 DTX(discontinuous transmission) 또는 NACK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송신 단말은 상기 미리 설정된 시점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 더미(dummy)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전송 방법
10 10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그룹캐스트 전송이 수행되는 시점이 미리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간의 연결이 설정된 이후부터, 그룹캐스트 전송을 위한 제어 채널에 대한 DTX 피드백을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전송 방법
11 11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피드백 정보는 다른 유니캐스트 또는 다른 그룹캐스트에 대한 피드백 정보와 상기 피드백 정보의 수신을 위한 제어채널(PSFCH; physical sidelink feedback channel)에 다중화되어 수신되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전송 방법
12 12
수신 단말에서 수행되는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수신 방법으로서,수신 단말이 속한 서브그룹을 확인하는 단계;상기 확인된 서브그룹에 할당된 그룹캐스트 피드백 방식을 확인하는 단계;송신 단말로부터의 그룹캐스트 전송을 수신하는 단계; 및상기 확인된 그룹캐스트 피드백 방식으로 상기 송신 단말에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거나 전송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수신 방법
13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그룹캐스트 피드백 방식은 상기 송신 단말과 상기 수신 단말의 거리 또는 상기 수신 단말에서의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의 수신 신호 크기에 기반하여 결정되는,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수신 방법
14 14
청구항 12에 있어서,상기 그룹캐스트 피드백 방식은 상기 수신 단말에게 개별적인 ACK/NACK 자원이 지정되는 방식, 상기 수신 단말이 속한 그룹의 공통 NACK 자원이 지정되는 방식, 또는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는 방식인,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수신 방법
15 15
청구항 14에 있어서,상기 개별적인 ACK/NACK 자원이 지정되는 방식은 상기 송신 단말과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거나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의 수신 신호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 상기 수신 단말에게 할당되고, 상기 공통 NACK 자원이 지정되는 방식 또는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는 방식은 상기 송신 단말과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깝거나 상기 송신 단말들로부터의 수신 신호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 상기 수신 단말에게 할당되는,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수신 방법
16 16
송신 단말에서 수행되는 그룹캐스트 전송 방법으로서,대상 그룹에 속한 수신 단말들로부터 수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수신된 수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들을 고려하여 초기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상기 결정된 초기 전력을 송신 전력으로 이용하여 상기 그룹캐스트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및상기 수신 단말들로부터의 NACK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거나 상기 그룹캐스트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송신 빔을 스위칭(switch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전송 방법
17 17
청구항 16에서,상기 수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들은 상기 수신 단말들 각각에서 상기 송신 단말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기준신호(reference signal) 도는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에 기초하여 측정된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또는 상기 송신 단말과 상기 수신 단말 각각 간의 경로 손실(path loss)인,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전송 방법
18 18
청구항 16에 있어서,상기 초기 전력은 상기 수신된 수신 전력 관련 파라미터들 중에서 N(N은 1 이상의 자연수)번째 최소값으로 설정되며, 상기 N은 상기 그룹캐스트 전송의 서비스 유형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되는,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전송 방법
19 19
청구항 16에서,상기 초기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수신 전력 파라미터들에 추가하여, 상기 송신 단말과 기지국 간의 상향링크 통신을 위한 전력 관련 파라미터가 추가로 고려되는,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전송 방법
20 20
청구항 16에 있어서,상기 증가된 송신 전력이 상기 송신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을 초과할 경우, 상기 송신 전력은 상기 송신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으로 설정되는,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전송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통신산업기술개발사업 5G초고주파 기반 고속이동체 환경에서의 채널특성 및 성능평가 국제 공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