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리포칼린-2의 선택적 과발현을 통한 염증형성 형질전환 동물모델 및 그의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20004469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리포칼린-2(Lipocalin-2; LCN2)의 선택적 과발현을 통한 염증유발 형질전환 동물모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리포칼린-2(Lipocalin-2; LCN2) 유전자를 과발현 시키는 동물모델을 제작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Cre-loxP 유전자 발현 시스템을 이용하여 조건부 LCN2의 과발현을 유도하는 형질전환 마우스를 제작하고, 상기 형질전환 마우스가 뇌 국부 염증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으로 제작된 마우스를 이용하면 진정한 뇌 내 LCN2의 기능을 밝혀내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뇌 내 세포 특이적으로 LCN2 유전자를 과발현시킴으로써 기존에는 불가능 하였던 LCN2의 세포수준의 기능과 뇌 염증에 대한 역할을 알아내는 연구를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국부적인 염증반응을 유도함으로써 뇌 내 지역별 염증반응에 대한 변화를 연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또한, 높은 수준의 LCN2 연구와 새로운 염증 동물모델의 제시로 뇌 염증에 대한 발병기전 연구 및 치료법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Int. CL C12N 15/85 (2006.01.01) A01K 67/027 (2006.01.01) C07K 14/47 (2006.01.01) G01N 33/50 (2017.01.01)
CPC A01K 67/0275(2013.01) A01K 67/0275(2013.01) A01K 67/0275(2013.01) A01K 67/0275(2013.01) A01K 67/0275(2013.01) A01K 67/0275(2013.01) A01K 67/027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90130699 (2019.10.21)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049552 (2020.05.0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80132582   |   2018.10.31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10.21)
심사청구항수 1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재용 서울특별시 성북구
2 권오성 서울특별시 노원구
3 황은미 서울특별시 성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명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길 ** (대치동) 성원타워 *층(명진 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특별시 성북구
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서울특별시 성북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10.21 수리 (Accepted) 1-1-2019-1072736-99
2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19.10.3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9-0172660-00
3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9.12.02 수리 (Accepted) 1-1-2019-1245912-31
4 [우선심사신청]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9.12.31 수리 (Accepted) 1-1-2019-1360763-44
5 [우선심사신청]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01.02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6 [우선심사신청]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0.01.03 수리 (Accepted) 9-1-2020-0000374-97
7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0.05.0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314989-79
8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0.06.24 수리 (Accepted) 1-1-2020-0650786-53
9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0.06.24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0-0650785-18
10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20.08.2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590698-9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CAG(Cytomegalovirus early enhancer/chicken beta action) 프로모터; 제 1 loxP(locus of X-over P1) 부위; 정지 코돈(stop codon) 부위; 제 2 loxP 부위; 및 LCN2의 순서로 이루어진 DNA 서열을 포함하는 뇌수종 형성 동물모델 제작용 리포칼린-2(Lipocalin-2; LCN2) 유전자 표적벡터(targeting vector)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LCN2 뒤에, p2A(porcine teschovirus-1 2A), 향상된 녹색형광단백질(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 EGFP), 우드척 간염 바이러스 전사 후 조절요소 (Woodchuck hepatitis virus posttranscriptional regulatory element; WPRE), 및 SV40 polyA signal(pA)의 순서로 이루어진 DNA 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수종 형성 동물모델 제작용 LCN2 유전자 표적벡터
3 3
제1항의 LCN2 유전자 표적벡터가 형질 전환된 뇌수종 형성 동물모델 제작용 동물세포
4 4
제3항의 동물세포를 대리모에 주입하여 제조한 뇌수종 형성 리포칼린-2(Lipocalin-2; LCN2) 키메라 동물모델
5 5
제4항의 키메라 동물모델에 Cre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바이러스를 감염시키거나 성상교세포 특이적 Cre 단백질 생산 동물모델과 교배시켜 제조한 뇌수종 형성 리포칼린-2(Lipocalin-2; LCN2) 동물모델
6 6
삭제
7 7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뇌수종 형성 리포칼린-2(Lipocalin-2; LCN2) 동물모델 제조방법:(a) 제1항 또는 제2항의 LCN2 유전자 표적벡터가 형질 전환된 동물세포를 제조하는 단계; 및(b) 상기 (a)단계의 동물세포를 대리모에 주입하여 키메라 동물모델을 제조하는 단계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제조방법은 (c) 상기 (b)단계의 키메라 동물모델에 Cre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바이러스를 감염시켜 LCN2 동물모델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9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제조방법은 (c) 상기 (b)단계의 키메라 동물모델을 성상교세포 특이적 Cre 단백질 생산 동물모델과 교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10
제7항에 있어서,상기 동물은 마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1 11
삭제
12 12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뇌수종 치료물질의 스크리닝 방법:(a) 제4항 또는 제5항의 동물모델의 피검체에 후보물질을 처리하는 단계;(b) 상기 피검체의 LCN2의 발현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c) 후보물질 비처리군에 비해, LCN2의 발현정도가 감소되는 후보물질을 뇌수종 치료물질로 선정하는 단계
13 13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뇌수종 치료물질의 스크리닝 방법:(a) 제4항 또는 제5항의 동물모델의 피검체에 후보물질을 처리하는 단계;(b) 상기 피검체의 성상아교세포 및 미세아교세포의 형태의 변화를 관찰하는 단계; 및(c) 후보물질 비처리군에 비해, 성상아교세포 및 미세아교세포의 형태의 변화가 감소되는 후보물질을 뇌수종 치료물질로 선정하는 단계
14 14
제12항에 있어서,상기 피검체는 조직, 세포, 전혈, 혈액, 타액, 객담, 뇌척수액 및 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15 15
제13항에 있어서,상기 피검체는 조직 및 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막단백 기반 뇌염증 제어기술 개발
2 미래창조과학부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통천연물기반 유전자동의보감사업 질병 막단백질 핵심마커 기반 천연물 작용기전 및 효능 규명
3 미래창조과학부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고삐핵-모노아민 중추 신경회로의 전기생리학적 연구
4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기저핵 장애 뇌질환 관련 신경회로의 구조적 연결망 규명 및 통합 DB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