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슈퍼커패시터

  • 기술번호 : KST2020004711
  • 담당센터 : 부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1-606-6561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슈퍼커패시터에 관한 것으로, 금속 박 집전체의 단면 또는 양면 표면에 2μm 이하인 미세 활성탄을 포함하는 전도층을 도포하는 전도층 도포단계 및 상기 전도층 표면에 활물질을 포함하는 전극층을 도포하는 전극층 도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전도층이 금속 박 집전체와 전극층 사이의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고, 이를 이용하는 슈퍼커패시터의 충방전 출력특성과 장기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t. CL H01G 11/86 (2013.01.01) H01G 11/32 (2013.01.01) H01G 11/68 (2013.01.01)
CPC H01G 11/86(2013.01) H01G 11/86(2013.01) H01G 11/86(2013.01) H01G 11/8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80131246 (2018.10.30)
출원인 한국전기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048787 (2020.05.0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9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기연구원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익준 부산광역시 동래구
2 양선혜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3 김민철 광주광역시 서구
4 임상민 부산광역시 동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부경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연제구 법원남로**번길 **, *층 (거제동, 대한타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8.10.30 수리 (Accepted) 1-1-2018-1075021-4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금속 박 집전체의 단면 또는 양면 표면에 2μm 이하인 미세 활성탄을 포함하는 전도층을 도포하는 전도층 도포단계; 및상기 전도층 표면에 활물질을 포함하는 전극층을 도포하는 전극층 도포단계;를 포함하는 슈퍼커패시터용 전극 제조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 집전체는,알루미늄(Al), 구리(Cu), 니켈(Ni),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탄탈(Ta), 백금 (Pt)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커패시터용 전극 제조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층의 상기 미세 활성탄은,비표면적 500 내지 4,000m2/g 범위이며, 회전밀, 유성밀, 아트리션밀, 로드밀 및 제트밀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선택하여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커패시터용 전극 제조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층은, 도전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커패시터용 전극 제조방법
5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재는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카본나노파이브, 흑연, 그래핀 및 이의 혼합으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커패시터용 전극 제조방법
6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층은 상기 미세 활성탄, 상기 도전재 및 바인더를 용매와 함께 슬러리 도포하며, 고형분 기준으로 상기 미세 활성탄의 중량비가 75 내지 95%, 상기 도전재의 중량비가 3 내지 20% 및 상기 바인더가 2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커패시터용 전극 제조방법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층은 프레스한 후 두께가 2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커패시터용 전극 제조방법
8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슈퍼커패시터용 전극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슈퍼커패시터용 전극은, 금속 박 집전체;상기 금속 박 집전체의 단면 또는 양면 표면에 도포되며, 미세 활성탄을 포함하는 전도층; 및상기 전도층 표면에 형성되며, 활물질을 포함하는 전극층;을 포함하는 슈퍼커패시터용 전극
9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슈퍼커패시터용 전극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슈퍼커패시터용 전극을 이용하는 슈퍼커패시터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전기연구원 나노기반 전기소재 부품 기술개발 소형ㆍ경량 철도차량을 위한 고에너지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및 시스템 적용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