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다중 무선 통신 환경의 다중 모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기술번호 : KST2020006410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다중 무선 통신 환경의 다중 모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무선 통신 환경의 다중 모드 통합 관리 시스템은 무선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무선채널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접속 포인트 분할을 운영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셀룰러 기지국과 무선접속 제어기 간의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t. CL H04W 88/18 (2019.01.01) H04W 24/02 (2009.01.01) H04W 28/16 (2019.01.01) H04W 92/12 (2009.01.01)
CPC H04W 88/18(2013.01) H04W 88/18(2013.01) H04W 88/18(2013.01) H04W 88/1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80151517 (2018.11.30)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065239 (2020.06.0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조한벽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오현서 대전광역시 서구
3 김호겸 대전광역시 유성구
4 성낙선 대전광역시 유성구
5 장병태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지명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차우빌딩*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8.11.30 수리 (Accepted) 1-1-2018-1198168-4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무선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무선채널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접속 포인트 분할을 운영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셀룰러 기지국과 무선접속 제어기 간의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것인 다중 무선 통신 환경의 다중 모드 통합 관리 시스템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기 밀집도, 데이터 전송 속도 및 이동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팩터를 고려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것인 다중 무선 통신 환경의 다중 모드 통합 관리 시스템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각 단말기 별로 서비스 카테고리에 따른 총 대역폭 사용량을 계산하고, 임계치와 비교하는 것인 다중 무선 통신 환경의 다중 모드 통합 관리 시스템
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총 대역폭 사용량이 상기 임계치보다 큰 경우, 수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품질 요구 수준을 고려하여 셀룰러 서비스의 계속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것인 다중 무선 통신 환경의 다중 모드 통합 관리 시스템
5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품질 요구 수준에 따라 WIFI 통신망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접속 포인트 용량 초과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초과되는 경우 인접 접속 포인트로 경로를 변경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인 다중 무선 통신 환경의 다중 모드 통합 관리 시스템
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인접 접속 포인트에 대한 이동 명령을 전송하는 것인 다중 무선 통신 환경의 다중 모드 통합 관리 시스템
7 7
(a) 무선 채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b)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주 채널 외 부가 채널에 대한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무선 통신 환경의 다중 모드 통합 관리 방법
8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각 단말기 별로 서비스 카테고리에 따른 사용량을 계산하고, 임계치와 비교하는 것인 다중 무선 통신 환경의 다중 모드 통합 관리 방법
9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와 서비스 품질 요구 수준을 고려하여, 셀룰러 서비스의 계속 제공 여부 또는 모드 변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인 다중 무선 통신 환경의 다중 모드 통합 관리 방법
10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단말기 밀집도, 데이터 전송 속도 및 이동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요소를 고려하여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인 다중 무선 통신 환경의 다중 모드 통합 관리 방법
11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부가 채널에 대한 전환 이후, 접속 포인트 용량 초과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인접 접속 포인트에 대한 경로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것인 다중 무선 통신 환경의 다중 모드 통합 관리 방법
12 12
제11항에 있어서, (c) 상기 인접 접속 포인트에 대한 이동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무선 통신 환경의 다중 모드 통합 관리 방법
13 13
무선채널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상태 확인부;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모드 변환 여부를 결정하는 모드 변환부; 및상기 모드 변환 여부 결정에 따라 셀룰러 기지국과 무선접속 제어기 간의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접속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중 무선 통신 환경의 다중 모드 통합 관리 시스템
14 14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상태 확인부는 단말기 밀집도, 데이터 전송 속도 및 이동성 요구 수준을 확인하는 것인 다중 무선 통신 환경의 다중 모드 통합 관리 시스템
15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환부는 각 단말기 별로 서비스 카테고리에 따른 사용량이 임계치보다 큰 지 여부를 확인하고, 수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품질 요구 수준을 고려하여 모드 변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인 다중 무선 통신 환경의 다중 모드 통합 관리 시스템
16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제어부는 접속 포인트의 용량 초과 여부를 확인하여, 인접 접속 포인트로 경로를 변경시키는 것인 다중 무선 통신 환경의 다중 모드 통합 관리 시스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20178352 US 미국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티앤아이이 주식회사 방송통신산업기술개발 스마트 클라우드 기반 Multi Radio 구조의 무선랜 플랫폼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