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MMSET 매개 AURKA 메틸화를 통한 세포 증식 및 세포사멸 조절 용도

  • 기술번호 : KST2020006929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MMSET 매개 AURKA 메틸화를 통한 세포 증식 및 세포사멸 조절 용도에 관한 것이다. MMSET/WHSC1는 여러 종양 형태에서 높게 발현되고, 이의 발현은 세포 증식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자들은 MMSET가 Aurora kinase A (AURKA)와 결합하고, AURKA를 메칠화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AURKA의 MMSET-매개 메칠화가 p53과의 결합을 유도하고, AURKA의 키나제 활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p53의 프로테아좀성 분해를 일으켰다. MMSET-매개 p53 분해는 세포 증식을 증가시켰고, 종양형성(oncogenic)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MMSET의 녹아웃은 종양형성 세포를 강하게 억제시켰고, 치료 약물인 alisertib (AURKA 억제제)에 의한 성장 억제에 대해 민감성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증식하는 세포에 있어서, MMSET가 AURKA의 메칠화를 통해 p53 안정성을 조절하고, 고형암에서 잠재적인 치료 표적이 될 수 있음을 나타냈다.
Int. CL C12N 9/12 (2006.01.01) C12N 9/10 (2006.01.01) G01N 33/53 (2006.01.01) G01N 33/574 (2006.01.01) C12Q 1/6886 (2018.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90073667 (2019.06.20)
출원인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060213 (2020.05.2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80144441   |   2018.11.21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06.20)
심사청구항수 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작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서상범 서울특별시 서초구
2 박진우 서울특별시 동작구
3 김지영 경기도 김포시 중봉*로 **,
4 채윤철 서울특별시 동작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태백 대한민국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로 *** 이노플렉스 *차 ***호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특별시 동작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06.20 수리 (Accepted) 1-1-2019-0634798-12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7.29 수리 (Accepted) 4-1-2019-5151122-15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8.01 수리 (Accepted) 4-1-2019-5153932-16
4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9.10.02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5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9.12.09 수리 (Accepted) 9-1-2019-0055476-09
6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0.02.2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151864-47
7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0.04.23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0-0419458-85
8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0.04.23 수리 (Accepted) 1-1-2020-0419459-20
9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20.10.1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703461-0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1) 대장암세포 또는 폐암세포에 시험물질을 접촉시키는 단계;(2) 상기 시험물질을 접촉한 대장암세포 또는 폐암세포에서 MMSET에 의한 AURKA의 메틸화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3) 대조구 시료와 비교하여 상기 MMSET에 의한 AURKA의 메틸화 정도가 감소한 시험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장암 또는 폐암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URKA의 메틸화는 AURKA K14 또는 K117에 메틸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 또는 폐암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MSET에 의한 AURKA의 메틸화 정도가 감소하면 p53 안정성이 증가하여 대장암세포 또는 폐암세포 증식을 감소시키고 대장암세포 또는 폐암세포 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 또는 폐암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
4 4
삭제
5 5
MMSET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시험관(in vitro) 내 암세포의 AURKA 메틸화 유도용 시약 조성물
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URKA 메틸화는 AURKA K14 또는 K117에 메틸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약 조성물
7 7
시험관 내에서(in vitro) 암세포의 MMSET에 의한 AURKA 메틸화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53의 안정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8 8
MMSET 유전자의 m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안티센스 뉴클레오타이드, 작은 간섭 RNA(small interfering RNA; siRNA) 및 짧은 헤어핀 RNA(short hairpin RNA; shRN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ET 단백질 발현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또는 폐암 환자의 알리세팁(alisertib)에 대한 감수성 증진용 조성물
9 9
삭제
10 10
삭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초연구실지원사업 [3차]에피지놈 기반 생체 다차원 네트워크 기초 연구실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견연구사업 [이지바로]히스톤 H3K79 탈메칠화효소 KDM2B에 의한 세포주기 조절 메카니즘이 폐암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