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접속 제어 방법

  • 기술번호 : KST2020013154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접속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단말의 동작 방법은,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RA 프리앰블 및 RA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RA MSG-A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RA MSG-A에 대한 응답인 RA MSG-B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의 성능은 향상될 수 있다.
Int. CL H04W 74/00 (2009.01.01) H04W 74/08 (2019.01.01) H04W 72/14 (2009.01.01) H04W 74/02 (2009.01.01) H04W 72/12 (2009.01.01) H04W 28/04 (2009.01.01) H04W 84/04 (2009.01.01) H04W 88/08 (2009.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00029217 (2020.03.09)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110201 (2020.09.2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90029311   |   2019.03.14
대한민국  |   1020190045553   |   2019.04.18
대한민국  |   1020190050969   |   2019.04.30
대한민국  |   1020190099010   |   2019.08.13
대한민국  |   1020190119970   |   2019.09.27
대한민국  |   1020190031317   |   2019.03.19
대한민국  |   1020190102362   |   2019.08.21
대한민국  |   1020190118971   |   2019.09.26
대한민국  |   1020190046726   |   2019.04.22
대한민국  |   1020190054561   |   2019.05.09
대한민국  |   1020190098338   |   2019.08.12
대한민국  |   1020190058665   |   2019.05.20
대한민국  |   1020190064538   |   2019.05.31
대한민국  |   1020190118359   |   2019.09.25
대한민국  |   1020190034647   |   2019.03.26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3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재흥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양재동, 우도빌딩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3.09 수리 (Accepted) 1-1-2020-0249088-0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RA(random access) 프리앰블 및 RA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RA MSG(message)-A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 및상기 RA MSG-A에 대한 응답인 RA MSG-B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RA MSG-B는 하나 이상의 MAC 서브 PDU(protocol data unit)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MAC 서브 PDU들 각각은 MAC 서브헤더(subheader)를 포함하고, 상기 MAC 서브헤더는 MAC 서브 PDU의 타입을 지시하는 제1 지시자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 2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상기 RA 페이로드를 위한 MCS(modulation coding scheme) 레벨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상기 RA 페이로드는 상기 시스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MCS 레벨에 기초하여 전송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3 3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1 지시자는 상기 MAC 서브 PDU가 BI(backoff indicator)를 포함하는 제1 타입-MAC 서브 PDU, 상기 MAC 서브 PDU가 폴백(fallback) RAR(random access response)을 포함하는 제2 타입-MAC 서브 PDU, 또는 상기 MAC 서브 PDU가 성공적인(success) RAR을 포함하는 제3 타입-MAC 서브 PDU인 것을 지시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4 4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제1 지시자의 크기는 2비트이고, 상기 2비트 중에서 첫 번째 비트는 상기 제1 타입-MAC 서브 PDU 또는 상기 제2 타입-MAC 서브 PDU를 지시하고, 상기 2비트 중에서 두 번째 비트는 상기 제3 타입-MAC 서브 PDU를 지시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5 5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상기 RA MSG-B에 포함된 상기 제1 지시자가 상기 제1 타입-MAC 서브 PDU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RA MSG-B에 포함된 상기 BI에 기초하여 상기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6 6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상기 RA MSG-B에 포함된 상기 제1 지시자가 상기 제2 타입-MAC 서브 PDU를 지시하는 경우,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 따른 RA MSG3을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7 7
청구항 6에 있어서,상기 RA MSG3은 상기 폴백 RAR에 포함된 UL(uplink) 그랜트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8 8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폴백 RAR을 포함하는 상기 RA MSG-B는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의 RA MSG2의 포맷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9 9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제1 지시자가 상기 제3 타입-MAC 서브 PDU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는 종료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0 10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RA MSG-B가 상기 RA 프리앰블의 전송 종료 시점부터 RAR 윈도우 내에 수신되는 경우, 상기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경쟁이 해소된 것으로 판단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1 11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MAC 서브헤더는 상기 MAC 서브 PDU가 MAC SDU(service data unit)를 포함하는 제4 타입-MAC 서브 PDU인지를 지시하는 제2 지시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MAC SDU는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2 12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MAC 서브헤더는 다른 MAC 서브 PDU가 존재하는지를 지시하는 제3 지시자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3 13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으로서,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2단계-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4단계-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상기 2단계-설정 정보 및 상기 4단계-설정 정보를 사용하여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메시지 1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상기 메시지 1이 상기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의 RA(random access) MSG(message)-A인 경우, 하나 이상의 MAC 서브 PDU(protocol data unit)들을 포함하는 RA MSG-B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하나 이상의 MAC 서브 PDU들 각각은 MAC 서브헤더(subheader)를 포함하고, 상기 MAC 서브헤더는 MAC 서브 PDU의 타입을 지시하는 제1 지시자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4 14
청구항 13에 있어서,상기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상기 RA MSG-A에 포함된 RA 페이로드를 위한 MCS(modulation coding scheme) 레벨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5 15
청구항 13에 있어서,상기 제1 지시자는 상기 MAC 서브 PDU가 BI(backoff indicator)를 포함하는 제1 타입-MAC 서브 PDU, 상기 MAC 서브 PDU가 폴백(fallback) RAR(random access response)을 포함하는 제2 타입-MAC 서브 PDU, 또는 상기 MAC 서브 PDU가 성공적인(success) RAR을 포함하는 제3 타입-MAC 서브 PDU인 것을 지시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6 16
청구항 15에 있어서,상기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상기 RA MSG-B에 포함된 상기 제1 지시자가 상기 제2 타입-MAC 서브 PDU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폴백 RAR에 포함된 UL(uplink) 그랜트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통해 상기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 따른 RA MSG3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7 17
청구항 15에 있어서,상기 폴백 RAR을 포함하는 상기 RA MSG-B는 상기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의 RA MSG2의 포맷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8 18
청구항 15에 있어서,상기 RA MSG-B가 상기 RA 프리앰블의 전송 종료 시점부터 RAR 윈도우 내에 상기 단말에서 수신되고, 상기 RA MSG-B에 포함된 상기 제1 지시자가 상기 제3 타입-MAC 서브 PDU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는 종료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9 19
청구항 15에 있어서,상기 하나 이상의 MAC 서브 PDU들 중에서 하나의 MAC 서브 PDU는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MAC SDU(service data unit)를 포함하고, 상기 MAC SDU를 포함하는 상기 하나의 MAC 서브 PDU를 위한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는 상기 BI, 상기 폴백 RAR, 또는 상기 성공적인 RAR을 포함하는 다른 MAC 서브 PDU를 위한 RNTI와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20 20
청구항 13에 있어서,상기 MAC 서브헤더는 상기 MAC 서브 PDU가 MAC SDU(service data unit)를 포함하는 제4 타입-MAC 서브 PDU인지를 지시하는 제2 지시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MAC SDU는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21 21
청구항 13에 있어서,상기 MAC 서브헤더는 다른 MAC 서브 PDU가 존재하는지를 지시하는 제3 지시자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22 22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RA(random access) 프리앰블 및 RA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RA MSG(message)-A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상기 RA 프리앰블이 전송된 무선 자원의 정보 및 미리 설정된 오프셋을 사용하여 RA-RNTI(random access-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결정하는 단계;상기 RN-RNTI를 사용하여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RA MSG-B의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상기 DCI에 포함된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통해 상기 RA MSG-B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3 23
청구항 22에 있어서,상기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상기 RA-RNTI는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RA-RNTI와 다르게 설정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4 24
청구항 22에 있어서,상기 RA-RNTI는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RA-RNTI에 상기 미리 설정된 오프셋을 적용함으로써 결정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5 25
청구항 22에 있어서,상기 미리 설정된 오프셋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6 26
청구항 22에 있어서,상기 PDCCH 모니터링 동작은 RAR(random access response) 윈도우 내에서 수행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7 27
청구항 22에 있어서,상기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가 CFRA(contention free random access) 방식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을 위해 전용으로 할당된 상기 RA MSG-A의 전송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8 28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으로서,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상기 설정 정보를 사용하여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RA(random access) 프리앰블 및 RA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RA MSG(message)-A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상기 RA 프리앰블이 수신된 무선 자원의 정보 및 미리 설정된 오프셋을 사용하여 RA-RNTI(random access-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결정하는 단계;상기 RN-RNTI를 사용하여 RA MSG-B의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 대한 스크램블링(scrambling)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스크램블링된 DCI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상기 DCI에 포함된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RA MSG-B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29 29
청구항 28에 있어서,상기 RA-RNTI는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RA-RNTI에 상기 미리 설정된 오프셋을 적용함으로써 결정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30 30
청구항 28에 있어서,상기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상기 미리 설정된 오프셋을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31 31
청구항 28에 있어서,상기 스크램블링된 DCI는 RAR(random access response) 윈도우 내에서 상기 단말에 전송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32 32
청구항 28에 있어서,상기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가 CFRA(contention free random access) 방식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을 위해 전용으로 할당된 상기 RA MSG-A의 전송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타사업 5G표준화 지재권 기획 연구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방송통신산업기술개발사업 5G NR 기반 지능형 오픈 스몰셀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