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우울증 동물모델 및 이를 이용한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물 스크리닝 방법

  • 기술번호 : KST2020016695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CAPS2와 스트레스 반응 및 우울증과의 관계를 최초로 규명하여,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칼슘 의존 분비 단백질(calcium dependent activator protein 2: CAPS2)을 넉다운(knock-down)시켜 우울증 동물모델을 제조하는 방법과, CAPS2가 넉다운된 우울증 동물모델, 상기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물을 스크리닝하는 방법, 및 상기 CAPS2의 발현 수준 측정을 통해 우울증을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Int. CL A01K 67/027 (2006.01.01) C12Q 1/6883 (2018.01.01) G01N 33/50 (2017.01.01) G01N 33/68 (2006.01.01)
CPC A01K 67/0276(2013.01) A01K 67/0276(2013.01) A01K 67/0276(2013.01) A01K 67/0276(2013.01) A01K 67/0276(2013.01) A01K 67/0276(2013.01) A01K 67/0276(2013.01) A01K 67/0276(2013.01) A01K 67/0276(2013.01) A01K 67/0276(2013.01) A01K 67/0276(2013.01) A01K 67/027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90062478 (2019.05.28)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137064 (2020.12.0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05.28)
심사청구항수 1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현 서울특별시 광진구
2 이현우 경기도 남양주시
3 김진용 서울특별시 성북구
4 양수현 서울특별시 송파구
5 유혜정 서울특별시 성북구
6 양에스더 경기도 의정부시 오목로 **,
7 박형선 서울특별시 도봉구
8 송기명 서울특별시 성동구
9 정진택 서울특별시 강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다해 대한민국 서울시 서초구 서운로**, ***호(서초동, 중앙로얄오피스텔)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05.28 수리 (Accepted) 1-1-2019-0546480-12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0.10 수리 (Accepted) 4-1-2019-5210941-09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03.13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우울증 동물모델 제조방법:(ㄱ) 칼슘 의존 분비 단백질(calcium dependent activator protein 2: CAPS2) 유전자에 대한 RNAi 서열을 발현하는 바이러스 벡터를 제조하는 단계; 및(ㄴ) 상기 벡터를 인간을 제외한 개체의 고삐핵(habenula)에 주입하여 CAPS2 유전자를 넉다운(knock-down)시키는 단계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NAi 서열은 서열번호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동물모델 제조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벡터는 레트로바이러스(retroviruse), 렌티바이러스(lentivirus),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아데노연관 바이러스(adeno-associated virus), 및 하이브리드 벡터(hybrid vecto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벡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동물모델 제조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ㄴ) 단계는 뇌정위 수술(stereotaxic surgery) 방법에 의해 벡터를 개체의 고삐핵(habenula)에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동물모델 제조방법
5 5
고삐핵(habenula)의 신경세포에서 특이적으로 칼슘 의존 분비 단백질(calcium dependent activator protein 2: CAPS2)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knock-down)된, 인간을 제외한 우울증 동물모델
6 6
제5항의 동물모델을 이용한,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물 스크리닝 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리닝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1) 제5항의 우울증 동물모델에 후보 물질을 투여하는 단계; (2) 상기 후보 물질 투여 후 우울 증상을 평가하는 단계; 및(3) 대조군과 비교하여 우울 증상을 유의하게 감소시킨 물질을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물로 선정하는 단계
8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 우울 증상의 평가는 꼬리현수검사(tail suspension test, TST), 강제수영검사(forced swim test, FST), 개방공간검사(open field test, OFT), 고도 원형 미로 검사(elevated zero maze test, EZM),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9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리닝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a) 제5항의 우울증 동물모델에 후보 물질을 투여하는 단계; (b) 상기 후보 물질 투여 후 칼슘 의존 분비 단백질(calcium dependent activator protein 2: CAPS2)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c) 후보 물질 처리 전과 비교하여 처리 후 CAPS2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증가시킨 물질을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물로 선정하는 단계
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측정하는 CAPS2 유전자의 발현 수준은 고삐핵(habenula) 신경세포의 CAPS2 유전자 발현 수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11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CAPS2 유전자 발현 수준 측정은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 경쟁적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 실시간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 RNase 보호 분석법, 노던 블랏팅, DNA 칩, 단백질 칩 분석, 면역측정법, 리간드 바인딩 어세이, MALDI-TOF(Matrix Desorption/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분석, SELDI-TOF(Sulface Enhanc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분석, 방사선 면역분석, 방사 면역확산법, 오우크테로니 면역 확산법, 로케트 면역전기영동, 조직면역 염색, 보체 고정 분석법, 2차원 전기영동 분석, 액상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C-MS), LC-MS/MS(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Mass Spectrometry), 웨스턴 블랏,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assay) 및 샌드위치 ELIS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12 12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우울증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가) 피검체의 고삐핵(habenula) 유래의 생물학적 시료를 획득하는 단계;(나) 상기 시료에서 칼슘 의존 분비 단백질(calcium dependent activator protein 2: CAPS2)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다) 상기 피검체의 시료와 정상인 유래 시료의 CAPS2의 수준을 비교하는 단계; 및(라) 상기 피검체 시료에서 CAPS2의 수준이 정상인 유래 시료보다 낮은 경우 우울증으로 판별하는 단계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나) 단계에서 CAPS2의 수준 측정은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 경쟁적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 실시간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 RNase 보호 분석법, 노던 블랏팅, DNA 칩, 단백질 칩 분석, 면역측정법, 리간드 바인딩 어세이, MALDI-TOF(Matrix Desorption/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분석, SELDI-TOF(Sulface Enhanc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분석, 방사선 면역분석, 방사 면역확산법, 오우크테로니 면역 확산법, 로케트 면역전기영동, 조직면역 염색, 보체 고정 분석법, 2차원 전기영동 분석, 액상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C-MS), LC-MS/MS(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Mass Spectrometry), 웨스턴 블랏,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assay) 및 샌드위치 ELIS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14 14
칼슘 의존 분비 단백질(calcium dependent activator protein 2: CAPS2) 또는 CAPS2 유전자를 포함하는 우울증 진단용 마커 조성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뇌연구 4대분야 및 융합 정서장애 관련 고삐핵 신경회로 규명 및 국소적 조절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