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활성산소 생성억제제 및 활성산소 소거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21000609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바이러스 감염 질환을 예방, 치료, 및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활성산소 생성억제제 및 활성산소 소거제는 안전성이 이미 검증되어 본 발명의 조성물도 인체 적용에 안전성이 보장되고, 본 발명은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의 산화적 손상을 야기하여 그 조건에서 바이러스 복제 및 감염을 활성화시키는 기전을 역으로 이용한 것으로서, 기존의 백신과 같이 특정 바이러스에 대한 직접적인 특이성(specificity)은 없으나, 바이러스의 종류나 변이(mutation)와 무관하게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모든 바이러스에 대한 증식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바, 신종바이러스의 출현이나 바이러스 변이에 의해 매년 새로 개발해야 하는 백신의 제한적 대체제로서 글로벌(global) 감염억제제 및 치료제로 적용될 수 있으며 방역 차원의 예방제 또는 보조제 등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nt. CL A61K 31/192 (2006.01.01) A61K 31/575 (2006.01.01) A61K 31/198 (2006.01.01) A61K 31/085 (2006.01.01) A61K 9/00 (2006.01.01) A23L 33/10 (2016.01.01) A23K 20/142 (2016.01.01) A23K 20/111 (2016.01.01) A61K 31/05 (2006.01.01) A61K 31/375 (2006.01.01) A61P 31/14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00091103 (2020.07.22)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11894 (2021.02.0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90088151   |   2019.07.22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7.22)
심사청구항수 1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최상윤 서울특별시 서초구
2 정광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다해 대한민국 서울시 서초구 서운로**, ***호(서초동, 중앙로얄오피스텔)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7.22 수리 (Accepted) 1-1-2020-0766459-70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억제제 및 ROS 소거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ROS 생성억제제는 소포체스트레스 활성화 억제를 통해 ROS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고, 상기 ROS 소거제는 기존 생성된 ROS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OS 생성억제제는 4-페닐부티레이트(4-phenylbutyrate: 4-PBA), 타우린 컨쥬게이티드 우르소데옥시콜산(taurine-conjugated ursodeoxycholic acid: TUDCA), 3-MA(3-Methyladenine) 및 클로로퀸(chloroquine diphosphat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OS 소거제는 N-아세틸 시스테인(N-acetyl cysteine: NAC), 글루타치온(glutathione), 초과산화물 불균등화효소 (superoxide dismutase 1: SOD1), 카탈라아제(catalase),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e: BHA),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toluene: BHT), 아스코르부산(ascorbic acid), 및 토코페롤(tocopherol)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OS 소거제는 초과산화물 불균등화효소 (superoxide dismutase 1: SOD1)을 포함하고, N-아세틸 시스테인(N-acetyl cysteine: NAC), 글루타치온(glutathione), 카탈라아제(catalase),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e: BHA),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toluene: BHT), 아스코르부산(ascorbic acid), 및 토코페롤(tocopherol)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및 코로나바이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흡입에 의한 비강 또는 구강 투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7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억제제 및 ROS 소거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ROS 생성억제제는 소포체스트레스 활성화 억제를 통해 ROS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8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ROS 생성억제제는 4-페닐부티레이트(4-phenylbutyrate: 4-PBA), 타우린 컨쥬게이티드 우르소데옥시콜산(taurine-conjugated ursodeoxycholic acid: TUDCA), 3-MA(3-Methyladenine) 및 클로로퀸(chloroquine diphosphat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9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ROS 소거제는 N-아세틸 시스테인(N-acetyl cysteine: NAC), 글루타치온(glutathione: GSH), 초과산화물 불균등화효소 (superoxide dismutase 1: SOD1), 카탈라아제(catalase),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e: BHA),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toluene: BHT), 아스코르부산(ascorbic acid), 및 토코페롤(tocopherol)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0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ROS 소거제는 초과산화물 불균등화효소 (superoxide dismutase 1: SOD1)을 포함하고, N-아세틸 시스테인(N-acetyl cysteine: NAC), 글루타치온(glutathione), 카탈라아제(catalase),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e: BHA),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toluene: BHT), 아스코르부산(ascorbic acid), 및 토코페롤(tocopherol)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1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및 코로나바이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2 12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억제제 및 ROS 소거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로서, 상기 ROS 생성억제제는 소포체스트레스 활성화 억제를 통해 ROS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고, 상기 ROS 소거제는 기존 생성된 ROS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13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ROS 생성억제제는 4-페닐부티레이트(4-phenylbutyrate: 4-PBA), 타우린 컨쥬게이티드 우르소데옥시콜산(taurine-conjugated ursodeoxycholic acid: TUDCA), 3-MA(3-Methyladenine) 및 클로로퀸(chloroquine diphosphat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상기 ROS 소거제는 N-아세틸 시스테인(N-acetyl cysteine: NAC), 글루타치온(glutathione), 초과산화물 불균등화효소 (superoxide dismutase 1: SOD1), 카탈라아제(catalase),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e: BHA),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toluene: BHT), 아스코르부산(ascorbic acid), 및 토코페롤(tocopherol)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14 14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억제제 및 ROS 소거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방역용 조성물로서, 상기 ROS 생성억제제는 소포체스트레스 활성화 억제를 통해 ROS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고,상기 ROS 소거제는 기존 생성된 ROS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용 조성물
15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ROS 생성억제제는 4-페닐부티레이트(4-phenylbutyrate: 4-PBA), 타우린 컨쥬게이티드 우르소데옥시콜산(taurine-conjugated ursodeoxycholic acid: TUDCA), 3-MA(3-Methyladenine) 및 클로로퀸(chloroquine diphosphat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상기 ROS 소거제는 N-아세틸 시스테인(N-acetyl cysteine: NAC), 글루타치온(glutathione), 초과산화물 불균등화효소 (superoxide dismutase 1: SOD1), 카탈라아제(catalase),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e: BHA),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toluene: BHT), 아스코르부산(ascorbic acid), 및 토코페롤(tocopherol)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용 조성물
16 16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억제제 및 ROS 소거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향장 조성물로서,상기 ROS 생성억제제는 소포체스트레스 활성화 억제를 통해 ROS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고,상기 ROS 소거제는 기존 생성된 ROS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장 조성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