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FAM86A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결핍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21001048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FAM86A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결핍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FAM86A 억제제를 이용하여 멜라닌 결핍 질환 치료제를 스크리닝하는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Int. CL A61K 31/7105 (2006.01.01) A61K 39/395 (2006.01.01) A61P 17/00 (2006.01.01) C12Q 1/6883 (2018.01.01) G01N 33/68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00101715 (2020.08.13)
출원인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20825 (2021.02.2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90100308   |   2019.08.16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8.13)
심사청구항수 1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조재열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2 홍요한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3 박상희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명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길 ** (대치동) 성원타워 *층(명진 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8.13 수리 (Accepted) 1-1-2020-0852841-59
2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0.08.18 수리 (Accepted) 1-1-2020-0864887-7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FAM86A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결핍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결핍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결핍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멜라닌 결핍 질환은 백색피부증(leukoderma), 백반증(vitiligo), 쿼디크롬 백반증(quadrichrome vitiligo), 반점성 백반증(vitiligo ponctue), 백색증 증후군(syndromic Albinism)[예컨대, 알레잔드리니 증후군(Alezzandrini syndrome), 헤르만스키-푸들라크 증후군(Hermansky-Pudlak syndrome), 세디아크-히가시 증후군(ChediakHigashi syndrome), 그리셀리 증후군(Griscelli syndrome)(엘레잘데 증후군(Elejalde syndrome), 그리셀리 증후군 타입 2(Griscelli syndrome type 2) 및 그리셀리 증후군 타입 3(Griscelli syndrome type 3)), 바르덴부르크 증후군(Waardenburg syndrome), 티쩨 증후군(Tietz syndrome), 크로스-먹큐직-브린 증후군(CrossMuKusick-Breen syndrome), ABCD 증후군(ABCD syndrome), 백색증-청각장애 증후군(Albinism-deafness syndrome) 및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 증후군(Vogt-Koyanagi-Harada syndrome)], 눈 피부 백색증(oculocutaneous albinism), 백모증(canities), 멜라닌증(hypomelanosis)[물방울모양 저멜라닌증(idiopathic guttate hypomelanosis), 잎모양 저멜라닌증(phylloid hypomelanosis), 진행성 반상 저멜라닌증(progressive macular hypomelanosis)], 얼룩백색증(piebaldism), 탈색 모반(nevus depigmentosus), 염증후 색소침착저하증 (postinflammatory hypopigmentation), 백색비강진(pityriasis alba), 바가본드 백반흑피증(Vagabond's leukomelanoderma), 예맨 시청각장애 색소침착저하 증후군(Yemenite deaf-blind hypopigmentation syndrome), 웬드-바우쿠스 증후군(Wende-Bauckus syndrome), 워로노프 반지증(Woronoff's ring), 멜라닌결핍증 (amelanism), 루시즘(Leucism) 및 피부 탈색소 관련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결핍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5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닌 결핍 질환은 백반증 또는 백모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결핍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의 합성 또는 분비를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결핍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억제제는 FAM86A 활성 억제제 또는 발현 억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결핍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8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억제제는 FAM86A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화합물, 펩티드, 펩티드모방체, 기질유사체, 앱타머 및 항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결핍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9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 억제제는 FAM86A 유전자의 m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 RNAi, siRNA, miRNA, shRNA 및 리보자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결핍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shRNA는 서열번호 11 내지 서열번호 2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결핍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11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shRNA는 서열번호 21 내지 서열번호 3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염기서열을 타겟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결핍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12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miRNA는 서열번호 40 내지 서열번호 4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결핍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13 13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멜라닌 결핍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a) FAM86A의 단백질 또는 이의 mRNA를 발현하는 세포에 시험물질을 처리하는 단계;(b) 시험물질을 처리한 세포와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서 상기 FAM86A의 단백질 또는 이의 mRNA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c) 대조군 세포와 비교해 상기 FAM86A의 단백질 또는 이의 mRNA의 발현량을 감소시킨 물질을 멜라닌 결핍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로 선별하는 단계
14 14
제13항에 있어서,상기 멜라닌 결핍 질환은 백색피부증(leukoderma), 백반증(vitiligo), 쿼디크롬 백반증(quadrichrome vitiligo), 반점성 백반증(vitiligo ponctue), 백색증 증후군(syndromic Albinism)[예컨대, 알레잔드리니 증후군(Alezzandrini syndrome), 헤르만스키-푸들라크 증후군(Hermansky-Pudlak syndrome), 세디아크-히가시 증후군(ChediakHigashi syndrome), 그리셀리 증후군(Griscelli syndrome)(엘레잘데 증후군(Elejalde syndrome), 그리셀리 증후군 타입 2(Griscelli syndrome type 2) 및 그리셀리 증후군 타입 3(Griscelli syndrome type 3), 바르덴부르크 증후군(Waardenburg syndrome), 티쩨 증후군(Tietz syndrome), 크로스-먹큐직-브린 증후군(CrossMuKusick-Breen syndrome), ABCD 증후군(ABCD syndrome), 백색증-청각장애 증후군(Albinism-deafness syndrome) 및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 증후군(Vogt-Koyanagi-Harada syndrome)], 눈 피부 백색증(oculocutaneous albinism), 백모증(canities), 멜라닌증(hypomelanosis)[물방울모양 저멜라닌증(idiopathic guttate hypomelanosis), 잎모양 저멜라닌증(phylloid hypomelanosis), 진행성 반상 저멜라닌증(progressive macular hypomelanosis)], 얼룩백색증(piebaldism), 탈색 모반(nevus depigmentosus), 염증후 색소침착저하증 (postinflammatory hypopigmentation), 백색비강진(pityriasis alba), 바가본드 백반흑피증(Vagabond's leukomelanoderma), 예맨 시청각장애 색소침착저하 증후군(Yemenite deaf-blind hypopigmentation syndrome), 웬드-바우쿠스 증후군(Wende-Bauckus syndrome), 워로노프 반지증(Woronoff's ring), 멜라닌결핍증(amelanism), 루시즘(Leucism) 및 피부 탈색소 관련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결핍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15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닌 결핍 질환은 백반증 또는 백모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결핍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16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FAM86A의 단백질 또는 이의 mRNA를 발현하는 세포는 멜라닌을 과다 생성하는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결핍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17 17
FAM86A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흑모 유발 촉진용 조성물
18 18
FAM86A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개체의 색 조절용 조성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부 성균관대학교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생체분자제어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