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 기술번호 : KST2021001611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송신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방법은, 상기 전송 블록의 제1 비트열에 대한 변조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1 변조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비트열에 포함된 비트들의 배치 순서를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변경함으로써 제2 비트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비트열에 대한 상기 변조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2 변조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변조 심볼 및 상기 제2 변조 심볼을 서로 다른 데이터 채널들에서 제2 통신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Int. CL H04L 1/08 (2006.01.01) H04L 1/00 (2006.01.01) H04L 5/00 (2006.01.01) H04L 27/34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00108059 (2020.08.26)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28111 (2021.03.1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90109174   |   2019.09.03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안석기 대전광역시 유성구
2 박성익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양재동, 우도빌딩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8.26 수리 (Accepted) 1-1-2020-0900490-9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제1 통신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방법에 있어서,상기 전송 블록의 제1 비트열에 대한 변조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1 변조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상기 제1 비트열에 포함된 비트들의 배치 순서를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변경함으로써 제2 비트열을 생성하는 단계;상기 제2 비트열에 대한 상기 변조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2 변조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및상기 제1 변조 심볼 및 상기 제2 변조 심볼을 서로 다른 데이터 채널들에서 제2 통신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방법
2 2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2 비트열을 생성하는 단계는,상기 제2 비트열에 포함되는 각 비트들이, 제1 비트열에서와 다른 신뢰도를 가지도록 상기 비트들의 배치 순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방법
3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열 및 상기 제2 비트열 각각은 m개의 비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트열에서 m개의 비트들은 x개의 MSBs(most significant bits) 및 y개의 LSBs(least significant bits)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트열에서 상기 x개의 MSBs는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제2 비트열의 LSBs로 설정되고, 상기 제1 비트열에서 상기 y개의 LSBs는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제2 비트열의 MSBs로 설정되고, 상기 m, 상기 x 및 상기 y 각각은 자연수이고, 상기 m은 상기 변조 동작의 변조 차수의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방법
4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x는 2이고, 상기 y는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방법
5 5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1 비트열에 포함된 비트들의 배치 순서를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변경함으로써 제n 비트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상기 n과 m의 함수로 정의되는 오프셋에 기초하여 설정되며,상기 n은 해당 시점까지 상기 제1 비트열에서 변경되어 생성된 비트열의 수를 의미하고, 상기 m은 상기 변조 동작의 변조 차수의 함수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방법
6 6
제1 통신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방법에 있어서,상기 전송 블록에서 제1 비트열을 선택하는 단계;상기 제1 비트열에 대한 변조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제1 변조 심볼을 제1 데이터 채널에서 제2 통신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상기 전송 블록에서 제2 비트열을 선택하는 단계; 및상기 제2 비트열에 대한 변조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제2 변조 심볼을 제2 데이터 채널에서 상기 제2 통신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비트열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 채널이 점유했던 무선 자원의 양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방법
7 7
청구항 6에 있어서,상기 제2 비트열을 선택하는 단계는,상기 제1 데이터 채널이 점유했던 무선 자원의 양을 확인하는 단계;상기 제1 데이터 채널이 점유했던 무선 자원의 양이 기 설정된 제1 설정값과 같을 경우, 상기 전송 블록에서 상기 제1 비트열로 선택된 비트들 이후에 위치한 비트들을 상기 제2 비트열로 선택하는 단계;상기 제1 데이터 채널이 점유했던 무선 자원의 양이 제1 설정값보다 작을 경우, 제1 설정 RV(redundancy Version)를 설정하는 단계; 및상기 제1 설정 RV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비트열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방법
8 8
청구항 7에 있어서,상기 제1 설정 RV를 설정하는 단계는,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된 비트들의 직후 위치에 상기 제1 설정 RV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방법
9 9
청구항 7에 있어서,상기 제1 설정 RV를 설정하는 단계는,상기 제1 비트열을 선택하는 단계에서의 상기 제1 비트열의 시작 위치,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된 비트들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설정 RV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방법
10 10
청구항 6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채널이 점유했던 무선 자원의 양은 상기 데이터 채널이 점유했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의 수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방법
11 11
통신 시스템의 제1 통신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방법에 있어서,상기 전송 블록에서 선택된 제1 비트열에 대한 변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상기 제1 비트열에 대한 변조 동작에 기초하여 계산된 유효 부호율에 기초하여, 제1 변조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상기 제1 변조 심볼을 제1 데이터 채널에서 제2 통신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상기 전송 블록에서 선택된 제2 비트열에 대한 변조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2 변조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및상기 제2 변조 심볼을 제2 데이터 채널에서 상기 제2 통신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방법
12 12
청구항 11에 있어서,상기 제1 변조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는,상기 계산된 유효 부호율과 기 설정된 제1 설정 부호율을 비교하는 단계;상기 계산된 유효 부호율이 상기 제1 설정 부호율보다 클 경우, 상기 제1 비트열에 대한 변조 동작에 적용된 제1 변조 차수를 확인하는 단계;상기 제1 변조 차수보다 큰 값을 가지는 제2 변조 차수를 정의하는 단계;상기 제2 변조 차수에 기초하여 제1 수정 비트열을 선택하는 단계; 및상기 제2 변조 차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수정 비트열에 대한 변조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 변조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방법
13 13
청구항 12에 있어서,상기 제2 변조 차수를 정의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변조 차수들 중에서 상기 제1 변조 차수보다 큰 값을 가지는 변조 차수들에 기초하여 상기 유효 부호율을 다시 계산하는 단계; 및상기 다시 계산된 유효 부호율이 상기 제1 설정 부호율보다 작게 되는 상기 변조 차수들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상기 제2 변조 차수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방법
14 14
청구항 12에 있어서,상기 제1 변조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는,상기 계산된 유효 부호율이 상기 제1 설정 부호율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제1 비트열에 대한 변조 동작에 따라 생성된 변조 심볼을 상기 제1 변조 심볼로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방법
15 15
청구항 12에 있어서,상기 제2 변조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는,상기 계산된 유효 부호율이 상기 제1 설정 부호율보다 클 경우에는, 상기 제2 변조 차수에 기초하여 수행되고, 상기 계산된 유효 부호율이 상기 제1 설정 부호율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는, 상기 제1 변조 차수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통신산업기술개발사업 지상파 UHD 송수신 환경 분석 및 망구축 기반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