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4급 암모늄 모이어티로 가교된 이중-빗 구조의 폴리실록산계 고체 폴리머 전해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기술번호 : KST2021001701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4급 암모늄 모이어티로 가교된 이중-빗 구조(double-comb structure)의 폴리실록산계 고체 폴리머 전해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실록산 고분자 주쇄들에 측쇄로서 폴리에테르 사슬과 같은 전하-호핑(hopping) 사이트를 도입하고, 가교 링커에 이온성을 부여하기 위해 할로겐 음이온에 4급 암모늄 모이어티로 가교시킨 고 체 폴리머 전해질은 치수 안정성이 향상되고, 30℃에서 최고 6.6×10-4 S/cm의 높은 이온 전도도를 나타내고, 이를 이용한 리튬-황 전지는 1082 mAh/g의 높은 비용량 값을 나타냄으로써, 차세대 리튬-황 전지에 고체 폴리머 전해질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Int. CL H01M 10/0565 (2010.01.01) H01M 10/052 (2010.01.01) C08G 77/12 (2006.01.01) C08L 83/04 (2006.01.01) H01M 4/38 (2006.01.01)
CPC H01M 10/0565(2013.01) H01M 10/052(2013.01) C08G 77/12(2013.01) C08L 83/04(2013.01) H01M 4/382(2013.01) H01M 2300/008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90108421 (2019.09.02)
출원인 광주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26937 (2021.03.1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광주과학기술원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재석 광주광역시 북구
2 산토스 쿠마르 광주광역시 북구
3 이재영 광주광역시 북구
4 김형진 광주광역시 북구
5 장요셉 광주광역시 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양재동, 우도빌딩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09.02 수리 (Accepted) 1-1-2019-0903544-65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계 폴리머; 및 리튬염을 포함하는 고체 폴리머 전해질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계 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폴리머 전해질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계 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50,000 내지 1,0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폴리머 전해질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계 폴리머의 가교 비율은 폴리머의 반복 단위의 몰수에 대하여 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폴리머 전해질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계 폴리머는 고체 폴리머 전해질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6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폴리머 전해질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은 양이온으로 Li+를 포함하고, 음이온으로는 F-, Cl-, Br-, I-, NO3-, N(CN)2-, BF4-, ClO4-, AlO4-, AlCl4-, PF6-, SbF6-, AsF6-, BF2C2O4-, BC4O8-, (CF3)2PF4-, (CF3)3PF3-, (CF3)4PF2-, (CF3)5PF-, (CF3)6P-, CF3SO3-, C4F9SO3-, CF3CF2SO3-, (CF3SO2)2N-, (F2SO2)2N-, CF3CF2(CF3)2CO-, (CF3SO2)2CH-, CF3(CF2)7SO3-, CF3CO2-, CH3CO2-, SCN- 및 (CF3CF2SO2)2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폴리머 전해질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리튬염은 고체 폴리머 전해질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폴리머 전해질
8 8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계 폴리머에 리튬염을 첨가하여 고체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고체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필름 또는 전극 표면에 코팅하는 제2단계; 및 코팅된 고체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건조시켜 경화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폴리머 전해질의 제조방법
9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계 폴리머는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 화학식 2의 폴리실록산 폴리머를 용매 및 촉매의 존재하에서 화학식 3의 화합물 및 화학식 4의 화합물과 그래프트 반응시켜 화학식 5의 개질된 측쇄를 갖는 폴리실록산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형성된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용매 하에서 화학식 6의 아민 가교제와 반응시켜 화학식 1의 4가 아민 모이어티로 가교된 폴리실록산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폴리머 전해질의 제조방법
10 10
제9항에 있어서,화학식 2의 폴리실록산 폴리머의 반복 단위에 대하여 화학식 3의 화합물의 반응 비율은 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폴리머 전해질의 제조방법
11 11
리튬 음극(anode);상기 리튬 음극과 대면하여 형성된 양극(cathode); 및상기 리튬 음극과 양극 사이에 위치한 고체 폴리머 전해질을 포함하고,상기 고체 폴리머 전해질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계 폴리머; 및 리튬염을 포함하는 고체 폴리머 전해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12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리튬-황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광주과학기술원 미세먼지 국가전략프로젝트 고기능성 필터용 유·무기 필터소재 및 나노섬유필터 연구개발
2 광주과학기술원 광주과학기술원 GIST 개발과제 그럽스노벨연구센터 구축 및 인력교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