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한국어 동사의 규칙성을 이용한 외국인 학습자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

  • 기술번호 : KST2021003771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을 진단하기 위한 한국어 능력 진단 장치 및 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한국어 능력 진단 장치는 사용자 단말, 서버 및 판단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국어 능력 진단 장치를 통해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을 한국인의 관점에서 측정하기 때문에 현실적이고 보다 정확한 진단 시스템이 될 수 있다.
Int. CL G09B 19/06 (2006.01.01) G09B 5/06 (2006.01.01) G06Q 50/20 (2012.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00059731 (2020.05.19)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37510 (2021.04.0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90119907   |   2019.09.27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5.19)
심사청구항수 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남기춘 서울특별시 노원구
2 정재범 서울특별시 송파구
3 조성학 경기도 김포시 풍무로*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기성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아차산로 ***, ***호 (성수동*가, 영동테크노타워)(특허법인주연)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5.19 수리 (Accepted) 1-1-2020-0503793-6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사용자 단말, 서버 및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발음할 문장 또는 단어를 제시하는 녹음 스크립트 제공부;사용자의 발음을 녹음하는 녹음부;상기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제1 통신부; 및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진단 콘텐츠를 제공하는 진단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고,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판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과 통신할 수 있는, 제2 통신부;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판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하고, 처리된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학습 자료를 저장하는 학습 데이터베이스; 및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녹음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판단부에서 한국어 능숙도 판단을 하고, 상기 한국어 능숙도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한국어 능숙도에 맞는 학습데이터를 상기 학습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매칭시키는, 학습 콘텐츠 매칭부;를 포함하고,상기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녹음된 사용자의 발음을 출력하는 출력부;상기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제3 통신부;녹음된 상기 사용자의 발음에서 어절의 규칙성 및 빈도를 조사하는 어절 빈도 조사부; 및녹음된 상기 사용자의 발음을 듣는 판단자의 두피 또는 이마에 뇌파 감지기를 부착하고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 측정부;를 포함하는,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
2 2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음성을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한 후 상기 판단부로 전송하는,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
3 3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사용자 단말은 콘텐츠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단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열람될 수 있는,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
4 4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으로서,사용자 단말에, 사용자가 발음할 문장 또는 단어를 제시하는 녹음 스크립트를 제공단계;상기 사용자의 발음을 녹음하는 녹음단계;사용자 단말에서 서버로, 상기 서버에서 판단부로 녹음된 상기 사용자의 발음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서버-판단부 전송단계;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녹음되어 전송된 상기 사용자의 발음을 출력하는 출력단계;판단자의 두피 또는 이마에 뇌파 감지기를 부착한 상태에서, 녹음된 상기 사용자의 발음을 듣고, 판단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단계;상기 출력단계에서 출력된 상기 사용자의 발음에서 어절의 규칙성 및 빈도를 조사하는 어절 빈도 조사단계;상기 뇌파측정 결과 데이터 및 상기 어절 빈도 조사결과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판단부-서버 전송단계;상기 뇌파측정 결과 데이터 및 상기 어절 빈도 조사결과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하여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 및 저장단계;상기 사용자의 한국어 능숙도에 맞는 학습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매칭시키는 학습 콘텐츠 매칭단계; 및매칭된 상기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사용자 단말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
5 5
제4 항에 있어서,상기 사용자 단말은 콘텐츠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단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열람될 수 있는,한국어 능숙도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학 ICT 연구센터육성지원사업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뇌질환 예측·예방 기술개발 및 전문인력 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