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으로의 접속을 위한 자동 이득 조정 방법 및 장치

  • 기술번호 : KST2021009987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GC(auto gain control)을 수행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단말의 이득 값을 초기 이득(initial gain)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 전력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외부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외부 신호를 미리 설정된 목표 신호 크기만큼 증폭하는 단계; 및 상기 증폭된 신호의 수신 결과를 기초로 제1 AGC를 수행하여, 상기 단말의 AGC 이득(AGC gain) 값을 조정함으로써 제1 AGC 이득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t. CL H03G 3/30 (2006.01.01) H04B 1/40 (2015.01.01) H04B 1/18 (2018.01.01)
CPC H03G 3/3068(2013.01) H03G 3/3078(2013.01) H04B 1/40(2013.01) H04B 1/1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013490 (2020.02.05)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99749 (2021.08.1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손정보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신재승 세종특별자치시 보듬
3 이영하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양재동, 우도빌딩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2.05 수리 (Accepted) 1-1-2020-0119334-7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GC(auto gain control)을 수행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상기 단말의 이득 값을 초기 이득(initial gain)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 전력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외부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외부 신호를 미리 설정된 목표 신호 크기만큼 증폭하는 단계; 및상기 증폭된 신호의 수신 결과를 기초로 제1 AGC를 수행하여, 상기 단말의 AGC 이득(AGC gain) 값을 조정함으로써 제1 AGC 이득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 2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외부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는, 이중 슬라이딩 윈도우(double sliding window) 상에서 상기 단말의 상기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이중 슬라이딩 윈도우는, 제1 구간 및 제2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3 3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외부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구간에서 측정한 수신 전력과 상기 제2 구간에서 측정한 수신 전력의 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외부 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4 4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1 AGC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AGC를 수행하기 위한 전력인 제1 AGC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제1 AGC 전력과 미리 설정된 목표치 전력(target power)과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5 5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제1 AGC를 수행하기 위한 전력인 제1 AGC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의 구간은 하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 구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6 6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제1 AGC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상기 제1 AGC 전력의 피크 및 포화(satur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AGC 이득 값을 설정하는 단계는,상기 제1 AGC 전력의 피크 및 포화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 경우, 상기 AGC 이득 값을 감소시켜 상기 제1 AGC 이득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7 7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제1 AGC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제1 AGC 전력과 미리 설정된 제1 목표치 전력과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이 값을 기초로 상기 AGC 이득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8 8
청구항 1에 있어, 상기 제1 AGC 이득 값을 설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1 AGC 이득 값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제2 AGC를 수행하여, 제2 AGC 이득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9 9
청구항 8에 있어서,상기 제2 AGC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AGC를 수행하기 위한 전력인 제2 AGC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제2 AGC 전력이 미리 설정된 제2 목표치 전력보다 큰 경우, AGC 이득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0 10
청구항 9에 있어서,상기 제2 AGC를 수행하기 위한 전력인 상기 제2 AGC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의 구간은 상기 제1 AGC를 수행하기 위하여 전력을 측정하는 구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1 11
청구항 8에 있어, 상기 제2 AGC를 수행하는 단계 이후, 상기 미리 설정된 만큼 상기 제2 AGC를 수행한 결과, 상기 제2 AGC 이득의 안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2 12
청구항 11에 있어, 상기 제2 AGC 이득의 안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조정된 상기 제2 AGC 이득이 안정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2 AGC 이득을 폐기하고, 상기 초기 이득 값을 다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3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GC(auto gain control)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 프로세서(processor); 및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단말의 이득 값을 초기 이득(initial gain)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상기 수신 전력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외부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외부 신호를 미리 설정된 목표 신호 크기만큼 증폭하고;상기 증폭된 신호의 수신 결과를 기초로 제1 AGC를 수행하여, AGC 이득(AGC gain) 값을 조정함으로써 제1 AGC 이득 값을 설정하고; 그리고상기 제1 AGC 이득 값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제2 AGC를 수행하여, 제2 AGC 이득 값을 설정하도록 실행되는 단말
14 14
청구항 13에 있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외부 신호를 감지함에 있어, 이중 슬라이딩 윈도우(double sliding window) 중 제1 구간에서 상기 단말의 상기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그리고상기 이중 슬라이딩 윈도우 중 제2 구간에서 상기 단말의 상기 수신 전력을 측정하도록 실행되는 단말
15 15
청구항 14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외부 신호를 감지함에 있어, 상기 제1 구간의 측정한 수신 전력 및 상기 제2 구간에서 측정한 수신 전력의 비를 산출하고, 상기 상기 제1 구간의 측정한 수신 전력 및 상기 제2 구간에서 측정한 수신 전력의 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외부 신호를 감지하도록 더 실행되는 단말
16 16
청구항 13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1 AGC를 수행함에 있어, 상기 제1 AGC를 수행하기 위한 전력인 제1 AGC 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제1 AGC 전력의 피크 및 포화(satur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고; 그리고 상기 제1 AGC 전력의 피크 및 포화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AGC의 이득을 감소시키도록 더 실행되는 단말
17 17
청구항 16에 있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1 AGC를 수행함에 있어, 상기 측정된 제1 AGC 전력과 미리 설정된 제1 목표치 전력(target power)과의 차이를 산출하고; 그리고상기 제1 AGC 전력과 상기 제1 목표치 전력과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이 값을 기초로 상기 AGC 이득을 조정하도록 더 실행되는 단말
18 18
청구항 13에 있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2 AGC를 수행함에 있어, 상기 제2 AGC를 수행하기 위한 전력인 제2 AGC 전력을 측정하고; 그리고상기 측정된 제2 AGC 전력이 미리 설정된 제2 목표치 전력(target power)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AGC 이득을 감소시키도록 더 실행되는 단말
19 19
청구항 15에 있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2 AGC를 수행함에 있어, 상기 미리 설정된 만큼 상기 제2 AGC를 수행한 결과, 상기 제2 AGC 이득의 안정성 여부를 판단하도록 더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0 20
청구항 19에 있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2 AGC를 수행함에 있어, 상기 미리 설정된 횟수의 상기 제2 AGC 동작 동안 상기 조정된 상기 제2 AGC 이득이 안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설정된 제2 AGC 이득을 폐기하고, 상기 초기 이득 값을 다시 설정하도록 실행되는 단말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보통신 방송연구개발사업 셀룰러 기반 산업 자동화 시스템 구축을 위한 5G 성능 한계 극복 저지연, 고신뢰, 초연결 통합 핵심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