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CIGS 광전지-광전극 탠덤 구조를 포함하는 광전기화학(PEC) 장치

  • 기술번호 : KST2021010510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광양극(photoanode), 광전지(photovoltaic) 및 음극(cathode)을 포함하는 광전기화학(PEC)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양극, CIGS(Cu(In,Ga)Se2) 광전지 및 음극을 포함하는 광전기화학(PEC) 장치, 상기 장치를 이용한 보조인자 재생방법, 인공광합성 방법 및 수소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력한 광전지는 생체촉매 광전기화학 플랫폼에서 장기적인 산화환원 생체변환(biotransformations)에 필수적이며, 본 발명에 따른 바이어스 없는 광-생체촉매 환원 반응을 위한 단일 CIGS 광전지를 포함하는 광양극/CIGS/음극 탠덤 어셈블리는 가시광 하에서 보조인자(cofactor)-의존적 생체촉매 반응을 긴 시간 동안 높은 효율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장기적인 인공광합성을 실현하기 위한 강력한 PEC-PV 장치로서 유용하다.
Int. CL H01G 9/20 (2006.01.01) C25B 1/00 (2021.01.01) C25B 1/04 (2021.01.01) C25B 3/25 (2021.01.01) C25B 11/04 (2021.01.01) H01L 31/032 (2006.01.01) H01L 31/0687 (2012.01.01) H01L 31/0725 (2012.01.01)
CPC H01G 9/2072(2013.01) C25B 1/00(2013.01) C25B 1/55(2013.01) C25B 1/04(2013.01) C25B 3/25(2013.01) C25B 11/051(2013.01) H01L 31/0322(2013.01) H01L 31/0687(2013.01) H01L 31/072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005986 (2020.01.16)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10-2288193-0000 (2021.08.04)
공개번호/일자 10-2021-0092503 (2021.07.2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210811)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1.16)
심사청구항수 1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찬범 대전광역시 유성구
2 김진현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이양우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장제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 (역삼동, 윤익빌딩)(*T국제특허법률사무소)
2 이처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 (역삼동, 윤익빌딩)(*T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1.16 수리 (Accepted) 1-1-2020-0051402-19
2 [공지예외적용 보완 증명서류]서류제출서
2020.02.04 수리 (Accepted) 1-1-2020-0115725-29
3 [출원서 등 보완]보정서
2020.02.04 수리 (Accepted) 1-1-2020-0115726-75
4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03.13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5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0.05.15 수리 (Accepted) 9-1-2020-0020131-78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5.15 수리 (Accepted) 4-1-2020-5108396-12
7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0.06.09 수리 (Accepted) 1-1-2020-0592873-88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12 수리 (Accepted) 4-1-2020-5131486-63
9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1.05.2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1-0418121-17
10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1.06.04 수리 (Accepted) 1-1-2021-0648980-46
11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1.06.04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1-0648948-95
12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21.08.0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1-0612263-9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광양극(photoanode), CIGS(Cu(In,Ga)Se2) 광전지(photovoltaic) 및 음극(cathode)을 포함하되, 상기 광양극은 FeOOH/BiVO4, NiOOH/BiVO4 및 NiOOH/FeOOH/BiVO4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이고, 상기 음극은 ITO(indium tin oxide),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TiO2, 유리탄소전극(glassy carbon electrode), 탄소직물(carbon cloth), 카본펠트(carbon felt) 및 탄소나노튜브 버키페이퍼(carbon nanotube buckypaper)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기화학(PEC) 장치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양극, CIGS 광전지 및 음극이 탠덤(tandem)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기화학(PEC) 장치
3 3
삭제
4 4
삭제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TO는 다공성 인듐 주석 산화물(mesoporous indium tin oxide; mesoIT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기화학(PEC) 장치
6 6
제1항에 있어서, 보조인자 재생용 또는 수소 생산용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기화학(PEC) 장치
7 7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보조인자 재생방법:(a) 제1항, 제2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광전기화학(PEC) 장치에 산화형 보조인자, 전자전달 매개체 및 전자공여체를 포함하는 용액을 첨가하는 단계; 및(b) 상기 광전기화학(PEC) 장치에 광원을 조사하여 상기 산화형 보조인자를 환원형 보조인자로 재생하는 단계
8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공여체는 물(H2O), 트리에탄올아민(TEOA, triethanolamine),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및 옥살산(Oxalic acid)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인자 재생방법
9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형 보조인자는 NAD+(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NADP+(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FAD+(flavin adenine dinucleotide) 및 FMN+(flavin monoucleotid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인자 재생방법
10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전달 매개체는 메틸비올로겐, 루테늄(Ⅱ) 복합체 및 로듐(Ⅲ) 복합체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인자 재생방법
1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듐(Ⅲ) 복합체는 (펜타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2,2'-비피리딘클로로)로듐(III):[Cp*Rh(bpy)H2O]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인자 재생방법
12 12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광합성 방법:(a) 제1항, 제2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광전기화학(PEC) 장치에 산화형 보조인자, 전자전달 매개체 및 전자공여체를 포함하는 용액을 첨가한 다음, 광원을 조사하여 보조인자를 재생시키는 단계; 및(b) 상기 재생된 보조인자를 산화환원효소의 기질의 산화환원 반응에 사용하여 유용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13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공여체는 물(H2O), 트리에탄올아민(TEOA, triethanolamine),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및 옥살산(Oxalic acid)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광합성 방법
14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형 보조인자는 NAD+(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NADP+(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FAD+(flavin adenine dinucleotide) 및 FMN+(flavin monoucleotid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광합성 방법
15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전달 매개체는 메틸비올로겐, 루테늄(Ⅱ) 복합체 및 로듐(Ⅲ) 복합체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광합성 방법
16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로듐(Ⅲ) 복합체는 (펜타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2,2'-비피리딘클로로)로듐(III):[Cp*Rh(bpy)H2O]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광합성 방법
17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환원효소는 FDH(formate dehydrogenase), GDH(glutamate dehydrogenase), ADH(Alcohol dehydrogenase), G6PDH(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LDH(lactic dehydrogenase), MDH(malate dehydrogenase) 및 SDH(succinic dehydrogenas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광합성 방법
18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된 보조인자는 (b) 단계의 산화환원 반응 후 산화되어 (a) 단계에 재첨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광합성 방법
19 19
제1항, 제2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광전기화학(PEC) 장치에 전해질 용액을 첨가한 다음, 광원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소 생산방법
20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용액은 물(H2O) 및 이온화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이온화 화합물은 염화리튬,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질산칼륨, 질산나트륨, 황산칼륨, 황산나트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생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EZBARO)생체촉매 활성 및 아밀로이드 응집제어 광감응시스템 연구단(2019)
2 교육부 한국과학기술원 글로벌박사양성사업 산화환원 생체촉매 인공광합성을 위한 광전기화학적 플랫폼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