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황을 개시제로서 사용한 화학기상증착(sCVD)을 이용한 고분자막,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기술번호 : KST2021010572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기상 상태의 황을 개시제로 사용하여 황과 단량체의 고분자 중합을 통해 고분자 막을 제조하는 황을 개시제로서 사용한 화학기상증착(sCVD)을 이용한 고분자 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조된 고분자 막은 다양한 단량체를 황과 공중합체로 중합이 가능하고, 황 함량이 높고 굴절률과 투명도가 우수한 고분자 막을 제조할 수 있다.
Int. CL C23C 16/448 (2006.01.01) C23C 16/453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00097375 (2020.08.04)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106872 (2021.08.3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00021570   |   2020.02.21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8.04)
심사청구항수 1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임성갑 대전광역시 유성구
2 김도흥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장원태 대전광역시 유성구
4 최건우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장제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 (역삼동, 윤익빌딩)(*T국제특허법률사무소)
2 이처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 (역삼동, 윤익빌딩)(*T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8.04 수리 (Accepted) 1-1-2020-0818201-6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황을 개시제로 사용하는 화학기상증착(sCVD)를 이용한 고분자 막의 제조방법:(a) sCVD 반응기에 기상 상태의 단량체와 고체 상태의 황을 유입시키는 단계;(b) 고체 상태의 황을 가열·기화시켜 기상 상태의 황과 단량체를 혼합하는 단계; 및 (c) 기판을 가열하여 기판 상에 황과 단량체를 흡착·중합시켜 황 함유 고분자를 증착시키는 단계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 함유 고분자는 폴리(설퍼-co-1,4-부탄디올 디비닐에테르)(poly(sulfur-co-1,4-butanediol divinyl ether, SBDDVE), 폴리(설퍼-co-디(에틸렌 글리콜)디비닐에테르)(poly(sulfur-co-di(ethylene glycol)divinyl ether, SDEGDVE), 폴리(설퍼-co-디비닐 벤젠)(poly(sulfur-co-divinyl benzene, SDVB), 폴리(설퍼-co-1,9-데카다이엔) (poly(sulfur-co-1,9-decadiene, SDDE), 폴리(설퍼-co-1,11-도데카다이엔) (poly(sulfur-co-1,11-dodecadiene, SDDDE), 폴리(설퍼-co-1,3,5-트리비닐-1,3,5-트리메틸사이클로트리실록산)(poly(sulfur-co-1,3,5-trivinyl-1,3,5-trimethyl cyclotrisiloxane, SV3D3), 폴리(설퍼-co-1,3,5,7-테트라비닐-1,3,5,7-테트라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poly(sulfur-co-1,3,5,7-tetravinyl-1,3,5,7- tetramethylcyclotetrasiloxane, SV4D4) 또는 폴리(설퍼-co-헥사비닐실록산(poly(sulfur-co-hexavinyldisiloxane, SHVD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막의 제조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 90~140℃의 기판 온도 및 500~1500mTorr의 압력에서 5분~2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막의 제조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후에 반응기 내부의 필라멘트를 330~38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분자 막의 제조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기판을 110~130 ℃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막의 제조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는 부탄디올 디비닐 에테르(butanediol divinyl ether, BDDVE), 디(에틸렌 글리콜)디비닐 에테르(di(ethylene glycol)divinyl ether, DEGDVE), 디비닐벤젠(divinylbenzene, DVB), 1,9-데카다이엔 (1,9-decadiene, DDE), 1,11-도데카다이엔 (1,11-dodecadiene, DDDE), 1,3,5-트리메틸-1,3,5-트리비닐 사이클로트리실록산(1,3,5-trimethyl-1,3,5-trivinyl cyclotrisiloxane, V3D3), 1,3,5,7-테트라비닐-1,3,5,7-테트라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1,3,5,7-tetravinyl-1,3,5,7-tetramethylcyclotetrasiloxane, V4D4) 및 헥사베닐디실록산(hexavinyldisiloxane, HVDS)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막의 제조방법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 함유 고분자의 두께는 1nm~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막의 제조방법
8 8
1
9 9
다음을 포함하는 황을 개시제로 사용하는 화학기상증착(sCVD)를 이용한 고분자 막의 제조장치(1):(a) sCVD 반응기(10); (b) sCVD 반응기(10) 하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반응기(10) 내부 고체 황을 로딩할 수 있으며, 공정 시 가열되어 황을 증발시키는 황 로딩 소스셀(100); (c) sCVD 반응기(10) 상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단량체를 기상으로 주입하기 위하여 가열한 다음, 500~1500mtorr 범위의 공정 압력을 가지도록 sCVD 반응기(10) 내부로 이동시키는 단량체 로딩부; (d) 고온의 금속 합금선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황 로딩 소스셀(100)로부터 증발된 기상 황의 결합길이를 짧게 만들어주고, 기화된 황이 기판(400)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필라멘트(300); 및(e) 그 윗면이 sCVD 반응기(10)의 하부를 향하도록 장착시킨 다음, 상기 (b)의 단량체 로딩부(200)로부터 sCVD 반응기(10) 내부로 이동한 단량체가 윗면에 흡착되고, 증발된 황과 고분자의 합성반응이 진행되는 기판(400)
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의 황 로딩 소스셀(100)의 주변에 온도 및 승온 속도를 조절하는 라인히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을 개시제로 사용하는 화학기상증착(sCVD)를 이용한 고분자 막의 제조장치(1)
11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의 단량체 로딩부(200)와 상기 sCVD 반응기(10)와의 연결 라인 위쪽에 단량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볼 밸브(ball valve)와 니들 밸브(needle valve)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을 개시제로 사용하는 화학기상증착(sCVD)를 이용한 고분자 막의 제조장치(1)
12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sCVD 반응기(10) 내부에 단량체의 주입량을 설정하는 바라트론 센서((baratron sensor)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황을 개시제로 사용하는 화학기상증착(sCVD)를 이용한 고분자 막의 제조장치(1)
13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e)의 기판(400)은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을 개시제로 사용하는 화학기상증착(sCVD)를 이용한 고분자 막의 제조장치(1)
14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의 필라멘트(300) 및 (e)의 기판(400)의 높이는 각각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을 개시제로 사용하는 화학기상증착(sCVD)를 이용한 고분자 막의 제조장치(1)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EZBARO)다기능성 초박막형 이온성 고분자 플랫폼 개발 및 소자 응용(2017)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집단연구지원(R&D) (EZBARO)웨어러블 플랫폼소재 기술센터(2019)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글로벌프론티어지원(R&D) 기상증착 고분자 기반 고성능 절연소재 개발(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