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함수의 합성을 이용한 동형 암호 기반 암호화 방법 및 장치

  • 기술번호 : KST2021012642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함수의 합성을 이용한 동형 암호 기반 암호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동형 암호(homomorphic encryption)를 이용한 암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방법은,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사이퍼텍스트(ciphertext)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이퍼텍스트에 대응하는 모듈러스(modulus)에 대해 함수의 합성에 기초한 모듈러 리덕션(modular reduction)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사이퍼텍스트에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t. CL H04L 9/00 (2006.01.01) H04L 9/06 (2006.01.01) H04L 9/30 (2006.01.01)
CPC H04L 9/008(2013.01) H04L 9/0618(2013.01) H04L 9/3026(2013.01) H04L 9/3093(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139489 (2020.10.26)
출원인 삼성전자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130620 (2021.11.0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미국  |   63/013,706   |   2020.04.22
미국  |   63/021,761   |   2020.05.08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9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삼성전자주식회사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동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노종선 서울특별시 동작구
2 이용우 서울특별시 서초구
3 이은상 서울특별시 관악구
4 이준우 서울특별시 관악구
5 김영식 광주광역시 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무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역삼동,화물재단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10.26 수리 (Accepted) 1-1-2020-1135243-16
2 우선권주장증명서류제출서(USPTO)
Submission of Priority Certificate(USPTO)
2020.10.28 수리 (Accepted) 9-1-2020-9010365-19
3 우선권주장증명서류제출서(USPTO)
Submission of Priority Certificate(USPTO)
2020.10.28 수리 (Accepted) 9-1-2020-9010363-17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11.25 수리 (Accepted) 4-1-2020-5265458-48
5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1.07.29 수리 (Accepted) 4-1-2021-5205564-2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동형 암호(homomorphic encryption)를 이용한 암호화 방법에 있어서,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사이퍼텍스트(ciphertext)를 생성하는 단계; 및상기 사이퍼텍스트에 대응하는 모듈러스(modulus)에 대해 함수의 합성에 기초한 모듈러 리덕션(modular reduction)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사이퍼텍스트에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호화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수행하는 단계는,상기 함수 및 상기 함수의 역함수에 기초하여 상기 모듈러 리덕션을 근사(approximate)함으로써 상기 부트스트래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호화 방법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함수 및 상기 함수의 역함수에 기초하여 상기 모듈러 리덕션을 근사(approximate)함으로써 상기 부트스트래핑을 수행하는 단계는,상기 함수의 근사 다항식을 획득하는 단계;상기 역함수의 근사 다항식을 획득하는 단계; 및상기 함수의 근사 다항식 및 상기 역함수의 근사 다항식의 합성 함수에 기초하여 상기 모듈러 리덕션을 근사하는 합성 함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호화 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함수는,삼각 함수를 포함하는 암호화 방법
5 5
제3항에 있어서,상기 함수의 근사 다항식을 획득하는 단계는,상기 함수가 삼각 함수인 경우, 상기 삼각 함수에 배각 공식을 적용하여 상기 삼각 함수의 배각 함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호화 방법
6 6
제3항에 있어서,상기 함수의 근사 다항식을 획득하는 단계는,상기 근사 다항식의 차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기준점을 결정하는 단계;상기 하나 이상의 기준점에 기초하여 임의의 다항식을 획득하는 단계; 및상기 임의의 다항식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극점에 기초하여 상기 근사 다항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호화 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임의의 다항식을 획득하는 단계는,상기 하나 이상의 기준점을 지나는 조각 연속(piecewise continuous) 함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상기 하나 이상의 기준점에서 상기 조각 연속 함수와의 오차의 절대값이 미리 결정된 값이 되는 다항식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임의의 다항식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호화 방법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조각 연속 함수와의 오차의 절대값이 미리 결정된 값이 되는 다항식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임의의 다항식을 획득하는 단계는,상기 하나 이상의 기준점에 포함된 제1 기준점에서의 오차와 상기 제1 기준점과 인접한 제2 기준점의 오차의 부호가 상이하고 절대값이 상기 미리 결정된 값이 되는 다항식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임의의 다항식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호화 방법
9 9
제6항에 있어서,상기 임의의 다항식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극점에 기초하여 상기 근사 다항식을 생성하는 단계는,상기 임의의 다항식과 상기 하나 이상의 기준점을 지나는 조각 연속 함수 간의 오차의 극점 중에서 절대값이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크거나 같은 후보점들을 획득하는 단계;상기 후보점들 중에서 상기 차수에 기초한 수의 타겟점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상기 타겟점들에 기초하여 상기 근사 다항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호화 방법
10 10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9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11
동형 암호(homomorphic encryption)를 이용한 암호화 장치에 있어서,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사이퍼텍스트(ciphertext)를 생성하고, 상기 사이퍼텍스트에 대응하는 모듈러스(modulus)에 대해 함수의 합성에 기초한 모듈러 리덕션(modular reduction)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사이퍼텍스트에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암호화 장치
12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프로세서는,상기 함수 및 상기 함수의 역함수에 기초하여 상기 모듈러 리덕션을 근사(approximate)함으로써 상기 부트스트래핑을 수행하는암호화 장치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프로세서는,상기 함수의 근사 다항식을 획득하고,상기 역함수의 근사 다항식을 획득하고,상기 함수의 근사 다항식 및 상기 역함수의 근사 다항식의 합성 함수에 기초하여 상기 모듈러 리덕션을 근사하는 합성 함수를 생성하는암호화 장치
14 14
제11항에 있어서,상기 함수는,삼각 함수를 포함하는 암호화 장치
15 15
제13항에 있어서,상기 프로세서는,상기 함수가 삼각 함수인 경우, 상기 삼각 함수에 배각 공식을 적용하여 상기 삼각 함수의 배각 함수를 획득하는암호화 장치
16 16
제13항에 있어서,상기 프로세서는,상기 근사 다항식의 차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기준점을 결정하고,상기 하나 이상의 기준점에 기초하여 임의의 다항식을 획득하고,상기 임의의 다항식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극점에 기초하여 상기 근사 다항식을 생성하는암호화 장치
17 17
제16항에 있어서,상기 프로세서는,상기 하나 이상의 기준점을 지나는 조각 연속(piecewise continuous) 함수를 획득하고,상기 하나 이상의 기준점에서 상기 조각 연속 함수와의 오차의 절대값이 미리 결정된 값이 되는 다항식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임의의 다항식을 획득하는암호화 장치
18 18
제17항에 있어서,상기 프로세서는,상기 하나 이상의 기준점에 포함된 제1 기준점에서의 오차와 상기 제1 기준점과 인접한 제2 기준점의 오차의 부호가 상이하고 절대값이 상기 미리 결정된 값이 되는 다항식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임의의 다항식을 획득하는암호화 장치
19 19
제16항에 있어서,상기 프로세서는,상기 임의의 다항식과 상기 하나 이상의 기준점을 지나는 조각 연속 함수 간의 오차의 극점 중에서 절대값이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크거나 같은 후보점들을 획득하고,상기 후보점들 중에서 상기 차수에 기초한 수의 타겟점들을 선택하고,상기 타겟점들에 기초하여 상기 근사 다항식을 생성하는암호화 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